-
-
밥벌이로써의 글쓰기 - 작가로 먹고살고 싶은 이들을 위한 33가지 조언
록산 게이 외 지음, 만줄라 마틴 엮음, 정미화 옮김 / 북라이프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문학성과 상업성 사이에서 균형잡기? 밥벌이로써의 글쓰기
<밥벌이로써의 글쓰기>는 서른 세 명의 작가들의 '작가로 먹고사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책이다.
처음 부분을 읽어나가면서 '충격요법인가?'하고 생각했다.
예술가의 빈곤한 상황-삶, 혹은 다른 분야와 관련해 겪는 어려움을 가감없이 이야기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처음만이 아니었다. 이 책 전체에서 그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분량이 결코 적지 않은데도 말이다.
문학성과 상업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이야기일까? 라고 생각했지만 그보다는... '작가'라는 직업에 대한 환상을 산산조각내는 차가운
현실을 제시한다는 사실이 더 강렬하게 다가왔다. 그 현실을 알게 되었음에도 포기하지 않고 글을 쓴 사람들이 건네는 생생한 조언과 경험담을
통해서.
이
책은 작가가 벌이는 예술적·경제적 투쟁에 대한 이야기지만 창작에 대한 영감과 공감, 인내의 이야기에 더 가깝기도 하다. 다시 말해 글쓰기에 대한
엄청난 애정을 품고 때로는 예술가로, 때로는 장사꾼으로 살아가며 경력을 쌓고 있는 작가들에 의한, 작가들을 위한 책이라 하겠다. (p.8~9,
머리말)
평론가들에게
문학성을 인정받은 작품이 다수의 대중에게 선택받는 경제적 성공까지 이뤄내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아니, 작가가 '글만 써서' 경제적인 성공을
거두는 사례 자체가 찾기 어렵다. 신간이 나왔다 하면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작가들은 한정되어 있다. 결국 책을 낸 많은 작가들은 글쓰기가 아닌
다른 수단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아니면 빚에 허덕이거나.
'돈'이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글을 쓰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니 경제성도 고려해야만 한다.
이제껏 했던 모든 일을 통해 배운 단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일하는 삶이 글
쓰는 삶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삶은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p.205)
직업에 관한 소설이나 에세이를 읽을 때마다 밖에서 막연히 바라보는 것과 현실에 큰 간극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것이 어떤
직업이든간에, 실제로 겪어보기 전에는 모를 수밖에 없다.
<밥벌이로써의 글쓰기>를 읽으면서 전에 읽었던 모리 히로시의 <작가의 수지>도 떠올랐다. 작가 자신이 얻은 수익
구조를 바탕으로 작가의 수입에 대해 이야기하는 에세이였다. 그 책을 읽었을 때도 작가의 '현실'에 대해 느꼈는데, 이번에 그 '현실'을 더
강하게 느꼈다. <작가의 수지>의 저자는 다른 직업(교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경제적인 문제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리뷰에서는 작가들이 겪는 경제적인 어려움에 초점을 맞춰 썼지만, 다른 문제에 관한 이야기도 있었다. '돈을 벌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
괜찮은가 하는 논쟁. 아이를 낳은 여성 작가들이 겪는 어려움. 작가들이 겪는 소수자에 관한 차별, 성차별, 인종차별 문제들. 충격을 주며 현실을
직시하게 만들어주는 글. 그러나 아이러니한 것은 그 글들을 쓴 이들이 모두 '작가'라는 사실이다. 시행착오를 겪어가면서, 경제적 어려움이나
다양한 차별, 부조리함을 겪어가면서도 그들은 글을 썼다.
그러니 이 책은 역시 작가에 대한 '이상'도 녹아있는게 확실하다. '이 모든 어려움을 알고도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하고, 실행에 옮겨
봐야겠다면 그렇게 하세요. 그들도 그랬으니까!'
+덧. 어색한 문장과 띄어쓰기 오류가 눈에 띄어 아쉬울 때가 있었다.
p.21 그들 부부는 내가 그의 모국 이라크의 숙적인 이란 출신이었기 때문에 나는 입양했다며 웃곤 했다.
-이 문장을 몇 번을 읽었는데도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
p.71 돈에 대한 블로그 포스트는서서히 출산에 관한 내용으로 바뀌었다.
-띄어쓰기가 되어 있지 않았다.
p.119 그 책을 덕에 그럴듯한 작가처럼 보이길 기대했다.
-앞 문장을 토대로 생각해보니 '그 책을'이 '그 책들'로 바뀌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