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에 가기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일상의 철학을 이야기하다, 동물원에 가기


저자 알랭 드 보통은 국내에서 꽤 유명한 작가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잘 모르는 작가이다.(어쩐지 무라카미 하루키가 떠오른다) 한 때 그의 작품을 읽으려고 몇 번 생각했었지만 생각으로 그쳤었다. 그래서 이 책이, 그에 대한 첫 인상을 결정한다는 중요한 역할을 떠맡게 되었기도 하다. 결과는? 평점을 보면 짐작할 수 있겠지만 비교적 무난하게 읽을만 했다.


이 책은 시/에세이로 분류되어 있지만 읽다보면 마치 지어낸 이야기 같기도 한 묘한 느낌을 받게 된다. 단편집으로, 슬픔이 주는 기쁨, 공항에 가기, 진정성, 일과 행복, 동물원에 가기, 독신남, 따분한 장소의 매력, 글쓰기(와 송어), 희극 이렇게 총 아홉 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는 제각각 흥미로운 내용들을 담고 있다. 특히 각 이야기 처음에 쓰여 있는 명언들이 인상적이다. 이야기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데, 꽤 마음에 드는 명언들이라서 좋았다.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과 소재의 스타일이 조금씩 다른 점도 흥미롭다. 이 책에서 다룬 각각의 이야기는 저자가 다른 저서에서 이야기하는 내용과 통하는 부분들이 있다고 하니, 다른 책을 읽어가게 되는 하나의 연결고리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와 같이 여러 이야기가 실린 단편집에서는 보통 표제작을 선호하는 편이지만, 이 책에서는 맨 처음에 있었던 '슬픔이 주는 기쁨'이라는 이야기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이 이야기에서 저자는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에 대해 이야기한다. 현대 화가에 대해서는 잘 몰랐기 때문에, 알랭 드 보통이 묘사하는 부분들을 그대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 묘사가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그의 그림 안에서 느껴지는 슬픔과 외로움, 황량함들을 묘사하는 부분을 읽어나가며 그의 그림을 실제로 보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일상의 주변적인 장소를 그렸다는 점에서 더더욱. 그리고 저자는 나아가 그의 그림이 우리 자신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이야기하며, 그림을 일상에서 접하기 위해 그림이 담긴 엽서를 사서 눈에 잘 띄는 곳에 두는 심리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한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이야기들이 꽤나 인상적인 그런 내용이었다. 또 이 글 마지막 부분에서 운송 수단에 대한 이야기도 하는데, 이 부분은 다음으로 이어지는 '공항에 가기'와 어쩐지 연관지어지는 듯한 느낌도 있었다. 이 이야기에서는 공항 안의 다양한 풍경에서 느낀 점들을 이야기하는데, 특히 비행기의 출발과 도착을 알리는 텔레비전의 화면을 문학작품과 연결지어 이야기한 점이 흥미롭다.

그리고 또 인상적인 글, '진정성'이 이어진다. 이 이야기는 소재가 참 흥미롭다. 한 남자가 상대 여성에게 반해, 상대도 자신에게 반하게 하기 위해 유혹하는 과정에서 내적인 변화 과정을 말하고 있다. '진짜 나'가 아닌 '상대가 원하는 나'를 만들어가기 위해 질문을 던지고 그 대답을 해석하는 부분들과, 그 과정 속에서 자아에 대해 고민하는 부분이 흥미롭다.

나는 사랑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의 눈을 상상하고, 그 눈을 통하여 나 자신을 보게 되었다. "나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나는 그녀에게 누구인가?"였다. 이 질문의 재귀적 운동 속에서 나의 자아는 일종의 배신과 비진정성에 점차 물들 수밖에 없었다. (p.45)


네번째 글인 '일과 행복'에서는 일에서 행복을 찾으려는 시도를 약간 다른 시선에서 바라보는 내용이다. 목표와 기대에 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흥미로웠지만, 결론은 다소 비약적인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어지는 것은 표제작 '동물원에 가기'로, 동물원에 가서 다양한 동물들의 모습을 보고 그 안에서 주변 사람들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내용이다. 굉장히 짧은 이야기였다. 그보다 더 짧은 '독신남'은 한 독신남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연히 마주앉게 된 여성을 보고 상상의 나래를 펴는 남자, 그리고 그 꿈이 깬 후의 아쉬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의 주장이 기억에 남았던 '따분한 장소의 매력'에서는 보통 생활의 흥미로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기서는 또 한 명의 화가가 등장한다. 17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페터 드 호흐이다. 그가 그린 진부한 그림들, 전형적인 부르주아의 생활을 그린 그림들을 호의적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그런 평범한, 따분하면서 부르주아적인 도시도 진정으로 상상력을 자극하고 인간미 넘치는 장소가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글쓰기(와 송어)'에서는 글을 쓰는 것에 대해서도 언급되었지만 그보다 책을 읽는 것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쓰지 못하는 글들을 표현해 내는 작품들, 그 안에서 발견하는 독자 자신의 삶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그런 경험 이후 세상을 인식하는데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이야기한다. 굉장히 공감가는 내용이었다. 그런 위대한 책들을 더 많이 찾아내고, 읽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위대한 책의 가치는 우리 자신의 삶에서 경험하는 것과 비슷한 감정이나 사람들의 묘사에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보다 이들을 훨씬 잘 묘사하는 능력 또한 중요하다. 독자가 읽다가 이것이 바로 내가 느꼈지만 말로 표현을 못하던 것이라고 무릎을 쳐야 하는 것이다. (p.126)

마지막 이야기 '희극'에서는 풍자와 농담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하며 그것이 전달하는 교훈의 효과에 대해 이야기했다.


화가들의 그림에 대해 다루는 미술적인 측면에서부터, 그 그림 안의 세계에 대해 파악하는 것. 또한 상대의 의중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는 면과 자아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이 어우러지는 것이 꽤나 흥미로웠다. 철학이라는 것이 어떤 한 부분에만 치중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것들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그런 책이었다.


덧. 지금 이 책은 절판이 되어 있고, 동일한 내용이 <슬픔이 주는 기쁨>으로 재출간 되어 있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