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말해줘
존 그린 지음, 박산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사랑을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을까? 이름을 말해줘


<안녕, 헤이즐>이라는 영화를 흥미롭게 봤지만, 원작은 아쉽게도 읽지 못했다.

읽을까 말까 망설이기만 하던 사이에, 원작 소설 작가의 작품이 또 국내에 발간되었다.
그래서 이미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대신 <이름을 말해줘>를 먼저 읽어보기로 했다.
이렇게 존 그린과의 첫만남이 성사되었다.

주인공 콜린은 아주 아이였을 때부터 책을 읽고 비상한 기억력을 가지고 있어서 신동 소리를 들어왔다.
그러나 그는 신동이었지 천재는 아니었다.
자라날수록 그의 능력은 주변 아이들에게 따라잡히고 있었다.
그에겐 세상을 놀라게할 그 무엇이 존재하지 않는 것 같았고, 그 때문에 그는 좌절감을 맛봐야했다.
예를 들면 열 아홉번째 캐서린에게 차여서 생기는 우울감.
그런 그에게 친구 하산은 자동차 여행을 제안했다. 목적지 없이 그냥 떠나는 여행.
자동차 여행 중 그들이 다다른 곳은 '건샷'이라는 시골 마을이었다.
그리고 그곳에서, 콜린은 이제까지 자신을 찬 '캐서린'들과의 결말을 바탕으로 어떤 공식을 만들기로 한다.
한 사람과 한 사람이 만났을 때, 그들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랑의 공식을.

사랑의 공식이라는 것은 꽤나 독특한 발상인 것 같다.
한 때 유행했던 '사랑의 방정식'처럼, 하트 모양의 그래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중인, 아니면 어쩌면 진전될지 모를 사랑을 예측하는 공식을 만드는 것.
만약 콜린이 그 공식을 완성한다면, 그가 바라는 대로 그는 천재적이며, 특별한 사람으로 칭송받게 될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그의 공식이 어떤 결말을 맞을지, 매우 궁금해졌다.

'건샷'이라는 마을에서 하산과 콜린은 '린지'라는 소녀를 만나고, 그녀의 어머니 '홀리스'가 콜린에게 관심을 보이면서 그들은 홀리스와 린지의 집에 머무르며 아르바이트를 하게 된다.
그것은 건샷과 공장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린지와 함께 가서 인터뷰를 하는 것이었다.
나중에 가서야 그 인터뷰를 하게 한 이유가 밝혀지는데, 그 부분은 조금 안타까웠다.
그녀는 정말 배려심 깊은 사람이었다.
자신의 사정을 감추고 타인들의 마음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 그렇게 행동한 것이니 말이다.

다시 콜린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콜린은 린지와 점점 가까워지지만 그녀에게는 이미 남자친구가 있었다.
바로 또다른 콜린으로, 하산과 콜린은 그를 '또다콜'이라 부른다.
콜린과 린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웠다.
특히 중간 중간 나오는 이야기를 사실 린지에게 해주는 이야기였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조각조각나 보이던 이야기를 하나로 연결시켜 19명의 캐서린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마지막 부분에서 콜린은 결국 공식을 완성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공식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한다.
고민을 거듭하다가 그는 알게 된다. 미래의 일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는 공식은 없다는 것을.
그렇다고 좌절하지는 않았다. 대신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앞서 나왔던 건샷의 공장 인터뷰는 이런 부분을 암시하는 것이었던 것 같다.
콜린이 이야기라는 것에 익숙해지고, 그것을 이해하게 되는 것들.

사실 캐릭터의 첫인상이 매력적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콜린이라는 캐릭터가 보이는 서서한 변화가 인상적이다.
딱딱한 공식의 세계에서 점점 이야기의 세계에 들어오는 모습.
속삭이는 방법을 몰랐던 그가 자연스레 속삭이는 법을 알게 되는 부분.
또다른 캐릭터인 하산과 린지의 변화들도 있었지만, 역시 대부분의 이야기를 끌어가는 콜린의 변화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책을 끝까지 쉼없이 읽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런 변화들이 담겨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