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 괜찮은 죽음 - 살아 숨 쉬는 현재를 위한 생각의 전환
헨리 마시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7월
평점 :
죽음 이야기를 읽는 것은 참 힘든 일이었다, 『참 괜찮은 죽음』
알고 있었다. 죽음에 대한 글을 읽는 건 힘들거라고.
지금보다 어릴 때부터,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하는 글은 읽어보고 싶어졌다.
어릴 때는 죽음이라는 미지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이 있었다면, 지금은 죽음을 대하는 태도들, 죽음이 끌어내는 감정들을 알고, 선명히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큰 것 같다. 그 사이 죽음이 어떤 것인지 느끼게 된 사건들이 존재했기 때문일 것이다.
『참 괜찮은 죽음』은 뇌를 수술하는 신경외과 의사의 에세이다. 이제까지 만났던 환자들의 이야기들을 담았다. 한순간의 의사의 손길에 의해 결정된 환자의 운명. 병원 경영진, 법과 실제 현장간의 갈등에 관한 내용도 있다. 직접 수술을 경험하게 되며 생각하게 된 내용들. 우크라이나에서의 경험도 있었다. 모두 저자가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최선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내용이었다.
최근 호스피스에 병문안을 다녀왔다. 그 기억의 영향인지, 『참 괜찮은 죽음』이 조금 읽기 힘들었다. 환자들의 사례를 읽으니 연상되는 기억들. 그게 그대로 스트레스를 주었나보다. 신체적인 고통까지 있었다. 책을 다 읽은 후에는 조금 나아진 것 같았는데, 서평을 쓰며 기억을 떠올리니 다시 힘들다.
그러나 거듭 이야기하지만, 우리에게 가장 큰 성공은 환자들이 일상을 되찾아 우리와 영영 헤어지는 것이다. 병이 나은 환자들은 우리를 다시 볼 일이 없다. 아니, 볼 일이 생기면 안 된다. (p.54)
환자들이 의사를 다시 볼 일이 없어야 한다는 말. 이 말이 슬펐다. 병이 다 나으면 좋은데, 재발하는 경우들이 있다. 희망을 줬다가, 잔인하게 빼앗는건 어째서일까.
조그만 방을 나와 어두운 병원 복도를 걸어가며 다시 한 번, 인간은 어째서 삶에 그토록 간절히 매달리는지 의문이 들었다. 그러지 않으면 훨씬 덜 고통스러울 텐데. 희망 없는 삶은 사뭇없이 힘든 법이지만 생애 끝에서는 희망이 너무도 쉽게 우리 모두를 바보로 만들 수 있는데. (p.196)
안타까운 이야기보다는 그래도 해피엔딩에 가까운 에피소드들이 많았지만, 하나하나 진한 감정의 동요를 느끼게 한다. 삶과 죽음이라는 문제를 마주한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들이었다.
읽기 힘든 이유가 하나 더 있다. 저자 헨리 마시의 해외 경험을 담았는데, 그곳은 우크라이나였다. 열악한 환경에서 치료받아야 하는 사람들. 지금의 현실과 맞물려 더 안타깝고, 씁쓸함이 있었다. 이런 문장이 있었다. 우크라이나 인구의 4분의 1이 20세기에 일어난 폭력에 의해 죽은 것이다. (p.327) 지금은 21세기인데, 지금 상황을 생각해보면 비극이 멈추지 않았을거라는 점이 슬프다. 희생되는 많은 이들이 대부분 연약한 이들일 거라는 생각이 드니까.
"다시는 선생님을 뵙고 싶지 않아요."
"저도 그렇습니다." (p.376)
책의 마지막 부분. 예전에 수술을 받았던 환자와 진료실에서 다시 만나 이야기한 내용이다.
가장 큰 성공은 환자와 의사가 다시 만나지 않는다는 초반의 이야기가 떠오르며 긴 여운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