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갈증 트리플 13
최미래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피를 잡기 어려웠던 소설, 『녹색 갈증』

제목, '녹색 갈증'이 뭘까.

작품 해설 첫머리에 답이 있다.

에드워드 윌슨에 의하면 녹색 갈증이란 다른 형태의 생명체와 연결되고 싶어 하는 욕구다. 인간에게는 자연과 생명체에 이끌리는 경향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으로의 회귀본능은 자연스러운 증상이라는 것이 윌슨의 주장이다. (p.166, 해설)

이 책으로 '녹색 갈증'이란 용어를 처음 알았다.

『녹색 갈증』이 자연으로 회귀한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라 생각했다. 아니었다.

물론 책 속에 자연이 등장하긴 했다. 등장인물들이 '등산'을 하러가니까.

관계에서 결핍을 느낀 사람들이 산으로 향했다. 자연으로 향했다.

그러나 뭔가 '초록'의 느낌이 들지 않았다.

주로 이야기가 펼쳐지는 곳이 자연 밖이였기 때문일까?

코로나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도시가 이 소설의 주된 배경이다.

프롤로그, 설탕으로 만든 사람, 빈뇨 감각, 뒷장으로부터.

네 가지 이야기가 모여 『녹색 갈증』을 이루고 있다.

차례로 읽다보니 점점 길을 잃는 느낌이었다.

이해하기보다는 분위기에 녹아드는 편이 좋을 소설들이 있다.

『녹색 갈증』은 후자에 속한다.

이해하려고 노력할수록, 더 갈피를 잡지 못하는 느낌이다.

새롭게 등장하는 인물들과, 현실과 환상이 섞여든다.

화자의 현실인 줄 알았던 이야기가, 소설이라고 한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였을까. 소설은, 화자의 현실은.

화자와의 거리감이 좀처럼 좁혀들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멍하게 떠 있는 느낌이 든 건 그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윤조라는 인물을 잘 모르겠다.

그가 정말 현실의 인물인건지.

아니면 화자가 만들어낸 모습대로 환상 속에서 나타난 인물인지.

프롤로그의 윤조도, 뒷장으로부터에서 다시 나타난 윤조도.

잘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이해되지 않는 것들은 왜 모조리 다 슬픈 것인지. (p.74)

이해되지 않는 것들은 왜 자꾸 나를 살고 싶게 하는지. (p.148)

하지만 너무 잘 이해되어서 씁쓸해지는 것보다는, 이해되지 않아서 슬픈 게 더 낫다고 생각한다.

한국 소설을 읽을 땐 특히나 공감보다는 거리감을 두는 게 차라리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