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질량
설재인 지음 / 시공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느낌들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 소설, 『우리의 질량』


이 책 정보를 처음 접한 건 인스타에서였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들이 다시 한 번 삶을 살아가는 세계에 대한 이야기.

이 세계에 오게 된 이들은 모두 목 뒤에 매듭을 짓고 있는데, 그 매듭을 다 풀어내야 떠날 수 있다.

매력적인 설정이라 생각해 읽고 싶었다.


책을 받고 더 매력을 느꼈다.

물 속으로 빠지고 있는 누군가의 모습.

사진에서는 무지갯빛이 짙게 나타났지만, 실제로 보면 은은한 감도로 빛을 반사하는 부분.

흩어지는 듯한 부분이 있는 제목은 이미지 위가 아니고, 옆 부분에 올려져 있어 좋았다.

책을 읽기 전, 소개를 읽으며 상상했던 느낌과 통하는 것 같았다.

부유하는 듯한 느낌, 약간의 공허함.


이곳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들의 세계다.

사는 게 버거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들만이 이 세계에 떨어져 또 꾸역꾸역 살아가야 한다. 살아가기보단 견디며 건너야 한다고 표현해야 더 맞을까. (p.8~9)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들의 세계. 모든 것이 동일하게 주어지기에 그곳에 머무는 이들은 오로지 '인간 관계'에 집중한다. '일정 농도'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자신의 목에 매인 매듭을 풀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관계에 집착하는 모습에 거부감을 느끼고 접촉을 피하던 서진은, 과거에 사귀었던 건웅을 발견한다. 그리고, 자신에게 폭력을 행사하던 남편 장준성도 발견한다.

서진과 건웅의 시점을 번갈아 가며, 그들의 과거 이야기가 풀려나온다.

둘 중 누구의 시선을 따라 가느냐에 따라, 그들이 살았던 세계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과거, 그리고 현재. 현재의 세계에서 떠돌던 서진과 건웅은 우연히 만난 선형과 지내다가 그의 죽음이 장준성 때문이었음을 알게 된다. 그 내막이 정말 충격적이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싶은 마음이 든다. 건웅이 초반에 언급했듯이, '세상엔 미친 놈이 너무 많았다. 필요할 땐 언제든지 제정신인 척 할 수 있는 미친놈이.(p.36)'

마침내 서진은 장준성과의 악연을 끝내기 위해 다른 이들과 함께 행동에 나선다...


설정이 독특해 읽기 시작했는데. 그렇게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낼 수는 없는 거였다.

처음부터 강렬하게 감정을 건드리는 부분은 없었는데, 이상하게 읽기 힘겨웠다.

이야기 자체는 환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현실의 문제를 품고 있었던 등장인물들의 이야기.
점점 답답함이, 먹먹함이, 공허함이, 그들의 슬픔이 스르르 밀려온다.
그런 느낌들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책을 읽는 어려움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