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남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2 ㅣ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 소설,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남성작가 편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여성작가 편에 이어 남성작가 편도 읽었다.
원래 이 책이 먼저 나왔는데, 개정판으로 새로 나오면서 여성작가 편을 추가한 것이라 했다.
반영론적 시각으로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한국 남성작가 12명과 그들의 대표작을 살피는 내용이다.
작품은 작가 혼자 궁리해서 쓰는 게 아니다. 시대 상황에 조응하는 방식으로 탄생한다. (p.19)
여성작가 편 리뷰에서 이야기했지만, '반영론'을 선호하는 편은 아니었다. 그런데 이번 남성작가 편까지 읽으면서 작품에 '시대 상황'을 담기는 것, 소설의 미덕이 당대성을 보여야 한다는 이야기를 약간 이해할 수 있었다.
여성작가 편의 작품들과, 남성작가 편의 작품들을 살펴봤을 때, 남성작가 편의 작품들이 '다양성'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것이 시대의 특수성을 담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은 것이다. 시대 자체의 특수함. 그 시대에 살아가는 인물들이 시대의 영향을 받아 특징을 갖게 된 내면, 행동원리. 서로간의 관계. 시대를 바라보는 작가의 관점.
같은 시기를 담았음에도 남성작가 편과 여성작가 편의 시대별 대표작가의 비중이 다르다. 여성작가 편은 1960년대가 3명이었지만 1970년대는 1명이었고, 2010년대 작가도 포함했다. 반면 남성작가 편은 1960년대가 3명, 1970년대가 4명, 1980년대가 3명으로 비교적 과거 시기의 비중이 높다. 그 시기는 시대적 특수성이 강한 시절과 일치한다. 다양한 사회 경험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 높다는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작가 스스로가 경험한다면 생생하게 쓰는데 도움이 될 테니까.
남성작가 편의 작품들은 학교 교과서에서 접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는 등 유명한 소설이 상당했다.
이름도 대부분 아는 작가들이었는데, 그랬기에 처음 알게 된 작가들이 오히려 궁금해졌다.
1960년대 작가인 이병주와 작품 《관부연락선》. 시대 권력과 결부되어 있어 비교적 최근인 2005년부터 재평가되기 시작한 작가라고 한다. '한국의 발자크'를 자처했다고 했다. 발자크의 어떤 점들을 반영했는지 궁금하다.
1990년대 작가인 이승우의 《생의 이면》도 궁금하다. 다만 국내보다 프랑스에서 반응이 더 좋다는 언급에 고민도 된다. 개인적으로 프랑스 소설을 대부분 읽기 어렵다 느꼈는데, 이승우의 소설도 그러지는 않을까 하는 불안함이 있다.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이라는 부제가 이 남성작가 편에서는 잘 맞았다는 생각이 든다. 세계 문학 작품과 작가, 문학론과 연계한 해설이 인상적이다. 익숙한 작가들과 작품들이지만 완독한 작품은 이번에도(!) 드물었고 일부만 알고 있던 작품들은 줄거리 파악 정도로 끝낸 경우가 많았다. 그간 겉핥기로 알고 있었던 작품들을 보다 넓은 시야로 살펴볼 수 있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