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골 강아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실종 사건 보름달문고 86
이선주 지음, 정인하 그림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님이 동화도 많이 쓰셨지만 청소년소설 쪽을 조금 더 많이 쓰신 것 같다. 이 책이 내가 읽어본 이 작가님의 두 번째 책인데, 청소년소설에 어울리는 문체를 가지셨다고 생각했다. 동화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주제도 그렇고 풀어가는 방식도 어린이로 치면 조숙한 어린이 같다고 할까. 뭔가 산전수전 다 겪고 침착해진 아이의 통달을 보는 것 같달까. 하룻강아지가 아닌 어린이.^^

 

아미골이라는 시골 마을의 순수한 두 소년이 주인공이다. 민수는 너무 흔한 자신의 이름 때문에 작은민수라고 불리는 것이 마음에 안 든다. (요즘 민수라는 이름 그렇게 흔하진 않은데.... 민준이라면 한 반에 한명씩은 있지만.^^;;;) 민수의 유일한 친구 용찬이는 심장이 약해서 조심할 것이 많고, 그로 인한 에피소드들이 내용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세 번째 주인공 아미골 강아지. 주인이 없어 이집저집 다니며 밥을 얻어먹는, 유기견이라 말할 수는 없는 자유견? 민수는 개를 키울 형편이 못되어 속상해하다가 그 강아지를 자신의 강아지로 생각하기로 했다. 어디서든 부르면 오고, 함께 뛰어노니까! 그리고 민수처럼 흔한 이름 말고 세상에 하나뿐인 이름을 지어주고 싶어서 고민한다. 장고 끝의 작명이 바로 제목에 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강아지는 이 이름에 반응했다. 민수와 용찬, 그리고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특별한 사이가 되었다.

 

사건은 중반부로 접어들면서 일어났다.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는 실종사건이다. 어느날부터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보이지 않았다. 어디 있다가도 부르면 나타나던 강아지가 보이지 않자 민수의 가슴은 철렁한다. 불길한 느낌은 현실이 되었다. 해가 바뀌도록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행방은 알 길이 없었다. 상실감과 함께 아이들은 조금씩 더 자란다.

 

그러다 용찬이가 인근 도시의 동물원 사진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를 보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말이 되나? 동네 강아지가 왜 동물원에? 하지만 용찬이의 강경한 태도에 밀려 둘은 모아둔 돈을 털어 어른들 몰래 동물원을 찾아갔다. 거기에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있었다! 우리 안에. ‘한국 토종개 삽살개라는 간판을 달고. 아 맞다, 얘가 삽살개였지. 그들의 만남은 생각보다 그렇게 드라마틱하지는 않았지만 어쨌든 반가운 해후를 했다.

 

그 다음부터가 이 책의 클라이막스라 하겠다. 안타깝게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민수와 용찬이는 어떻게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를 되찾을 것인가? 여기서 포기하면 얘기가 되겠어? 둘은 모종의 작전을 세운다. 그 작전은 꽤나 긴박감이 넘쳤다. 성공하려는 찰나! 발각되고, 추격전이 벌어지고.... 어린이 독자들이 가슴 졸이며 읽을 수 있는 아주 재미난 장면들이 펼쳐진다.

 

그 이후 결말로 가는 방식에서 이 작가님이 좀 남다르다고 느꼈다. 흑흑 우리 이젠 절대 헤어지지 말자 뭐 이런 류의 신파는 나도 좋아하지 않지만 이건 좀 너무 감동이 없는거 아니야? 그래도 결말에는 드라마틱한 뭔가가 있긴 있어야지. 새드엔딩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피엔딩도 아닌 뭐랄까 현실엔딩?ㅎㅎ

 

그 현실엔딩은 쓸쓸한 느낌이 살짝 들고, 등장인물들은 내가 이러려고 그 감정의 격동을 겪었던가. 내가 잠깐 미쳤었나 봐. 뭐 절대적인 건 없나 봐. 사는 게 그런 건가 봐.”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내가 없어도 세상은 돌아갈테고, 나도 변하고 다른 존재들도 다 변한다. 그건 한편으론 쓸쓸하지만 한편으로 다행스럽기도 하다.

 

이런 생각도 든다. 내가 지금 보라라고 할 때 빨강이었던 시절과 파랑이었던 시절은 다 의미없는 것일까? 흑역사였다거나 부질없었다고 말할 필요가 있을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변하면 변하는대로 지금의 진심은 소중한 것이다. 그것으로 아이들은 어른이 되어간다.

 

다 읽고 생각해보니 전반부에서 아미골의 배추할매가 돌아가셨을 때, 동네사람들은 별로 슬퍼하지 않았다.

할아버지, 배추할매 돌아가셨어요!”

어쩌다가?”

주무시다가요.”

잘됐다.”

할아버지가 아구구구 소리를 내며 일어섰다. 무릎에서 딱딱 소리가 났다.

복 받았네. , 복이지, .”


이런 대목은 동화로서는 매우 낯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진심으로 공감했다. 이제 그런 나이가 된 것이지. 이처럼 이 동화는 굳이 어린이 독자만을 상정하고 쓰지 않았다는 느낌을 주었다. 아이들과 함께 읽을 때 어떤 포인트에서 공감하고 어떻게 감상하는지 비교해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