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드 그린 토마토 민음사 모던 클래식 39
패니 플래그 지음, 김후자 옮김 / 민음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에 존 애브넷 감독의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를 보면서, 영화의 제목이 무슨 뜻일까 궁금했다. 그때는 그냥 흘려버려서일까 기억이 희미하다. 최근에 소설이 재출간된다는 소식에 영화를 다시 봤는데 그제야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가 미국 남부 지방의 요리이자, 소설과 영화의 배경이 된 앨라배마 휘슬스톱에 있는 카페테리아 이름이라는 걸 알 수가 있었다.

 

공개적으로 자신이 레즈비언이라고 밝힌 패니 플래그의 원작 소설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는 짠한 감동의 도가니탕이 있는 소설이다. 영화에서는 대중성을 위해 원작 소설의 상당 부분을 각색했다고 한다. 항상 원작소설과 영화를 비교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영화가 상대적으로 원작 소설만큼의 감동이 2% 부족하다는 느낌이다.

 

소설은 1980년대 중반 48세 중년의 에벌린 카우치가 요양원에 있는 자신의 시어머니를 찾아가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곳에서 니니 스레드굿이라는 86세의 할머니와 만나 휘슬스톱에 있던 카페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에 얽힌 이야기를 듣는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 구성으로 사실상의 주인공은 왈가닥 이지 스레드굿과 그녀가 사랑한 루스 제이미슨 그리고 앨라배마 주 휘슬스톱이라는 작은 동네에 사는 여러 군상이 펼쳐내는 다이내믹하면서도 다층적인 이야기들에 초점을 맞춘다.

 

대공황 시절, 그 어렵던 시절 가정폭력을 휘두르는 남편에게서 벗어나 이지를 찾아와 새 삶을 찾은 마음씨 착하고 도무지 일탈이라고는 모르는 것처럼 보이는 루스는 이지와 함께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라는 이름의 작은 카페를 연다. 1930년대 철도와 열차운행이 호황을 이루던 시절 카페는 휘슬스톱 마을의 사랑방으로 인기를 끈다. 게다가 요리를 맡은 십시와 그녀의 아들 빅 조지가 만들어내는 바비큐 요리는 앨라배마 주 최고라고 했던가. KKK 단을 필두로 한 인종차별이 판을 치던 시절, 이지와 루스는 흑백 인종차별을 하지 않고 카페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맛있고 따뜻한 정성이 밴 음식을 대접한다. 돈을 내지 못하는 스모키 론섬 같은 노숙자들에게도 이지와 루스는 아낌없는 사랑을 베푼다. 스모키 론섬은 그런 루스에게 아가페적 사랑을 느낀다.

 

영화에서는 이지와 루스가 달리는 열차에 뛰어올라 빈민들이 사는 트라우트빌에 사는 이들에게 정부 열차에서 음식을 던져주는 장면이 나오는데 소설에서는 이지가 레일로드 빌이라는 이름으로 의적 행세를 한 것으로 나온다. 영화와 소설의 다른 점 중의 하나는 빅 조지의 쌍둥이 아들들인 재스퍼와 아티스에 대한 부분이 영화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아마 소설의 방대한 그런 디테일까지 영화에서 감당할 수가 없지 않았나 싶다. 루스와 이지의 아들 스텀프의 성공기에 대해서도 영화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는다.

 

소설에 리얼리티를 부여하는 소재로 우체국에서 일하는 윔스 여사가 발행하는 마을 소식인 <윔스 통신>도 한몫한다. 자잘한 뉴스가 주를 이루는 동네소식 <윔스 통신>에는 마을 사람들의 대소사는 물론이고, 애완고양이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는 이웃의 부탁에서부터 친절했던 이웃의 부고 소식에 이르기까지 휘슬스톱 마을 사정을 아는 이들이라면 흐뭇해지는 미소가 절로 피어나는 그런 재밌는 뉴스가 실린다.

 

패니 플래그 작가는 대공황 시절 남부 특유의 대가족 그리고 공동체적인 삶의 이야기들을 소설이라는 무대에 올린다. 아울러 흑인과 여성 같이 소외당하는 계층에 대한 따듯한 시선을 이지와 루스의 모습을 통해 조명한다. 반세기를 지나 그들의 이야기를 전해들은 에벌린 카우치 여사는 비로소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 노처녀가 되기 싫어 결혼했고, 당연히 아이들을 낳아 길렀지만 정작 뚱뚱한 중년이 된 자신의 삶에 아무런 즐거움도 느끼지 못하는 모습에 좌절한다. 하지만, 니니와의 진정한 소통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한다. 영화에서는 에벌린이 좀 더 희화적으로 묘사되었는데, 소설에서는 평범한 가정주부에서 커리어 우먼으로 변신해 가는 에벌린의 심리묘사가 탁월하게 그려진다. 영화에서 에벌린 역을 맡은 캐시 베이츠는 정말 안성맞춤의 캐스팅이었다. 패니 플래그는 이렇게 두 개의 서로 다른 이야기를 적절하게 독자에게 들려주면서 시대를 넘나드는 여성들의 유대감에 방점을 찍는다.

 

사실 500쪽이 훌쩍 넘는 두툼한 분량에 이걸 언제 다 읽나 싶었지만, 일단 니니 스레드굿의 이야기에 한 번 빠져들기 시작하니 어느새 다 읽어 버렸다. 말미에 실린 십시의 레시피를 보자니, 절로 입맛이 다셔졌다. 책의 표지에 나온 덜익은 초록색 토마토를 보며, 할 줄도 모르는 풋토마토 튀김 요리에 한 번 도전해 보고 싶어졌다. 왜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마을 휘슬스톱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지 모르겠다.


[뱀다리] 9년 전에 숨넘어간 모클이 다시 부활하려나?

요즘 모클에서 미처 읽지 않은 그리고 절판된 책들을 사냥하고 있는데...

잉고 슐체의 <심플 스토리>에 이어,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도 다시 나왔네. 아마 판권이 살아 있나 보다.

다음 타자는 누굴까? 아울러 새로운 친구들도 내 주면 좋겄다. 



< 인터넷으로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 튀김을 검색해봤다.우리나라 호박전하고 비슷하지 않나? >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넬로페 2024-01-11 17: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두 번 정도 이 영화를 본 것 같은데 감동적 이었어요.
혹자는 이 영화의 어떤 장면이 잔인하다고도 표현 하더라고요.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란 단어에 어떤 상징성이 있을까 궁금하네요~~

레삭매냐 2024-01-11 18:59   좋아요 1 | URL
저도 한 두어번 본 기억이 납니다.
처음에는 그냥 저냥 봤었는데...
두번 째로 볼 적에는 좀 더 진중하게스리.

기억해 보니 어떤 부분에서 그런 기억이
나는 것도 같네요... 아마 빅 조지와 관련
된 스토리가 아닐까 싶네요.

서니데이 2024-01-11 18: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 오래전 영화같은데요.
영화보다 원작이 더 좋은가보군요.
미국 대공황 시기가 이제는 거의 1세기 정도의 시차가 생기는 시기가 되었어요.
이제 그 시기를 겪은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 같지만, 1980년대에는 부모세대가 될 수도 있는 거네요.
잘 읽었습니다.레삭매냐님,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

레삭매냐 2024-01-11 19:01   좋아요 2 | URL
영화는 오래 전에 만들어져서 좀
촌스런 맛이 없지 않지만...
괜찮았던 것으로 기억하네요.

원작 소설을 능가하는 영화는
아직 못본 것 같습니다.

대공황, 베이비 부모 그리고
80년대에는 아마 대공황 세대
가 할아버지 정도가 되지 않았
을까 싶네요.

stella.K 2024-01-11 20: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헉, 저게 풋토마토 튀김이라굽쇼?
영화에선 되게 맛있게 보암직도하고 먹음직도 하던데.
무슨 양파튀김도 연상도 되고. 근데 파삭하게 튀겨질 수 있을까?
의문스럽기도하더군요. 토마토가 수분이 좀 있잖아요.
풋토마토는 좀 덜 할까요? 암튼 저도 그 영화 두 번쯤 봤는데
의외로 두 번 보신 분이 많네요. ㅋ

레삭매냐 2024-01-11 23:10   좋아요 1 | URL
말쌈 듣고 나서 영화를 좀 찾아 보려고
하는데... 찾아볼 수가 없네요 ㅠㅠ 아쉽.

전 영화 처음에 볼 적에는 몬 영화인지
도 모르고 보고... 그 다음에는 소설을 읽
고 나서 작정하고 봤더니 잼나더라구요.

coolcat329 2024-01-12 09: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 새로운 표지로 다시 나왔군요. 저도 영화는 봤는데 기억이 잘 안 나지만 좋았던 거 같아요. 영화 다시 봐야겠습니다.
좋은 소설일수록 영화로 만드는 게 어려운 거 같아요.

레삭매냐 2024-01-12 13:43   좋아요 1 | URL
영화는 유투바 리뷰로 해서 다시
한 번 보려구요.

아무래도 영화가 원작 소설을 따
라가기가 역부족이지 싶습니다.

그레이스 2024-01-12 22: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영화를 봐야겠네요.

레삭매냐 2024-01-12 23:53   좋아요 1 | URL
지금 막 20분 짜리 영화 소개를
다시 봤는데 명작이네요.
아무래도 찾아서 다시 한 번 봐
야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