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예전에 서평단 활동을 하던 블로그에 공지가 떴다.
요지는 간단하다.
서평을 젭알 K문고에 올려 달라는 거다. 참 웃기지.
서평 확인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는데, 서평 도서를 받고 리뷰를 K문고 사이트에 올리는 걸 디폴트로 시행하겠다는 말인가 보다.
램프의 요정에서는 선수들이 마구마구 올려 대는데 어디서는 활성화되지 않은 플랫폼에서 서평을 애타게 찾고 있으니 말이다.
들어 보니 작년 서평 사이트를 개편하고 나서 현저하게 서평이 줄어든 모양이다.
책을 한 권이라도 더 팔아먹기 위해서는 서평이 필요한 모양이다. 그러니까 데이터의 축적이 필요하다는 말이겠지. 그런데 생각해 보니 나도 램프의 요정과 개인 블로그 외에는 다른 곳에 서평을 올리지 않는다.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여기저기 사용하다 보니 램프의 요정이 리뷰 올리기에 가장 편리해서가 아닐까.
K문고가 오프라인에서는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절대 강자겠지만, 온라인에서는 밀리는 모양이지. 그리고 보니 나도 K문고에서 가끔 책을 사곤 하는데, 절대 그 사이트에 올리지 않는다. 아니 올릴 생각도 하지 않는다. 아마 이유는 메리트가 1도 없기 때문이 아닐까.
램프의 요정에는 기존의 선수들부터 시작해서 새로운 선수들이 계속 유입되고 있는 반면, 타사이트에서는 그런 게 불가능한 모양이다. 카카오가 국내 메신저 업계를 평정한 것처럼, 램프의 요정 역시 업계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책 구매하기 전에 사람들이 반드시 찾아보는 서평 데이터를 꾸준하게 축적하고, 또 선수들을 북플에 묶어 두는 전략으로 경쟁사들을 압도하고 있지 않나 싶다.
흥미로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뱀다리] 작년 5월에 읽다만 <히틀러를 선택한 나라>를 다시 펴들었다.
참 읽다가 만 책들이 왜 이렇게 많은지.
게다가 이 책을 절반이나 읽었는데 말이지.
히틀러 집단에서 그나마 온전한 정신으로 문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던 괴벨스가 선전가로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미국에서 촉발된 경제공황 위기를 거치면서 SPD와 공산당의 요새였던 제국 수도 베를린에 나치들이 침투하는 과정도 흥미롭게 읽었다.
1930년대 경제위기와 지극히 정치적 이유 때문에 배고픔에 시달리던 독일 사람들에게 히틀러는 진정 ‘마지막 희망’이었던 걸까. 민족의 구세주라고 착각했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썩은 동앗줄이었다는 점을 알게 되었을 때, 그들은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었다는 사실에 충격을 먹지 않았을까.
엉터리 지도자를 ‘불세출의 영웅’으로 둔갑시키는데 성공한 장면이 어쩌면 이렇게 겹쳐 보이는지 모르겠다. 그렇게 역사는 비극으로 반복되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