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는 신출내기 작가의 책 이야기를 했었는데...
오늘은 거장의 반열에 오른 어느 작가에 대해 이야기해야할 것 같다.
나는 이 작가의 책 <네버 렛 미 고>로 그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바로 팬이 되어 버렸다. 내가 이 책을 회사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하면서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건강검진을 진행해 주시던 간호사 선생님이 이 책에 관심을 보였지 아마. 나중에 이 책을 영화화한 동명의 작품을 보았는데, 병원복을 입고 수술대에 오르던 주인공들의 모습들이 떠올랐다.
그 다음 순서는? 바로 책 사냥이었다. 그리고 보니 소설집 <녹턴>은 도서정가제 실시에 앞서 저렴한 가격으로 토머스 핀천의 <중력의 무지개>와 함께 마지막으로 샀던 기억이다. 나머지 책들은 중고로 사거나 새책으로 사거나 그랬던 것 같다. 그렇게 해서 모두 8권의 소설 중에서 도서관에서 빌려다 읽다만 <위로받지 못한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7권을 읽었다. 이 정도면 전작이라고 하지 않을까 싶다.
아, <남아 있는 나날>도 좋았다. 영화에서는 영국의 어느 장원의 집사로 등장하는 앤소니 홉킨스 연기가 아주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보니 이 작가의 작품들은 죄다 영화로 만들어지는건가 보다. 그전에 부커상도 받았지만, 피크는 노벨문학상이었다. 급이 다른 상을 받은 다음, 출판사는 쾌재를 불렀으리라. 8권의 책 중에 7권을 냈으니 말이다. 노벨상을 받고서 중고서점에서 해당 작가의 책들 가격이 치솟는 현상도 목도했다.
개인적으로 가장 최근작이라고 할 수 있는 <파묻힌 거인>은 좀 그랬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거장이라고 해서 항상 걸작만 발표하는 건 아니니까 말이다. 이 정도는 내가 어떤 작가를 말하고 있는 지 바로 알지 싶다. 그렇다, 오늘의 주인공은 바로 가즈오 이시구로다.
지난달에 미국에서 이시구로 작가의 신간 <클라라와 태양>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우리나라에는 언제나 나올까 싶었는데, 오늘 램프의 요정에서 친절하게도 이달 말 즈음해서 <클라라와 태양>이 나올 거라는 알림을 보내 주었다. 어제도 한 권 질렀는데 오늘도 적립금 1,500원이 날아가지 전에 질러야 한다는 걸까. 사실 고민할 필요도 없다. 어차피 살거면 1,500원 할인 받아서 사는 게 뭐가 문제란 말인가라고 자기합리화를 시켜 본다.
바로 NYT 사이트로 달려가 리뷰를 찾아본다. 요즘 구글이 좋아져서 좀 엉터리이긴 하지만 한국어 번역도 친절하게 해주더라. 원문과 엉터리 한국 번역을 대조해 가면서 읽는다면 호기심이라는 급한 불길을 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본다. 요즘에 NYT가 돈발이 섰는지, 무료 기사에도 제한을 두고 자꾸만 한 주에 1달러씩 내고 무제한으로 기사를 보라고 꼬신다. 개뿔, 내가 무슨 다른 기사에 관심이 있다고 꼴랑 북리뷰 정도만 보면 될 것을. 암튼 제한이 걸릴까봐 잽싸게 PDF 파일로 저장한다. 나중에라도 출력해서 보려는 꼼수다.
일단은 여기까지. 3월은 항상 바쁘다. 다시 급한 불 끄러 갔다가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