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느리를 따라 들어선 병실은 햇빛이 밝은 조용하고 작은 독방이었다. 흰 시트로 덮힌 침대 위에 깡마르고 머리가 좀 벗겨져 유난히도 이마가 넓어보이는 중년의 사내가 앉아 있다. 엄 노파는 눈을 깜박이는 것도 잊은 듯 두 눈을 크게 뜨고 그의 앞으로 다가간다. 잔인한 세월, 스물 다섯의 젊은 나이로 어미 곁을 떠날 땐 비록 가난 속에서 , 일과 공부에 여위고 힘들었지만 훤한 이마와 맑은 눈 빛이 아름다운 청년이었다. " 어머니 먼 길 오시느라 고생이 많으셨지요? 이런 모습으로 어머니를 뵙게되니 민망합니다." 명호는 무릎을 꿇고 깊이 머리를 숙인다. " 명호야, 명호야 네가 내 아들 맞느냐? " 도대체 무슨 병으로 병원에 있는게냐 ? " " 네 좀 심각합니다. " 하곤 말을 바꾸어 , " 어머니는 어떠십니까?" 하고 물으며 엄 노파를 찬찬히 살핀다. 머리칼이 희고 검버섯 돋은 얼굴에 주름살도 많았으나 허리는 꼿꼿하고 눈 빛도 형형하다.작은 체구에 두 손을 허리에 집고 버티고 서 아들을 보는 눈은 나무라는 듯 원망하는 듯 엄격하였으나 그 녀의 말은 부드러웠다. " 진작에 어미에게 소식을 보내지, 그래 이게 무슨 꼴이냐?" " 어머니, 면목 없습니다. 그러나 이제라도 이렇게 어머니를 뵈오니 정말 좋습니다. 정말 잘 오셨어요. 어머니." 맑은 눈으로 어머니를 바라보며 작은 소리로 말하는 그의 눈에는 눈물이 어룽진다. 잠시 후, 문 밖에서 지체하던 며느리가 들어서며, " 어머니, 저희 집으로 가셔서 좀 쉬시고 내일 다시 오시지요." 하자, 아들도 한 마디 거든 다. " 그러세요 어머니 식사도 하시고 푹 쉬세요." 며느리와 복도로 나오다 코너에 의지와 탁자가 있는 곳에 오니, " 어머니, 여기 잠간 앉아서 시원한 음료수 한 잔 마시세요." 뽀얗게 김이 서리도록 차가운 콜라 캔을 손 안에 뱅글뱅글 돌리며 며느리는 무겁게 입을 연다. " 어머니 지금 저이는 매우 위독해요. 닥터가 말한 사망의 시한이 넘어가 있어 몇칠을 더 갈지, 몇 달이 될지, 아무도 몰라요. 기적이라도 생기면 모를까--" " 내 짐작 좀 하였지만 생각보다 정신도 또렷아고 안색도 괜찮은데?" " 저이는 어머니를 안심시켜 드릴려고, 피를 몽땅 걸러내어 새 피로 바꾸고 몸에 연결된 여러 가지 기계들도 모두 떼어낸 거예요. 저렇게는 대여섯 시간도 버티지 못해요." " 도대체 어멈아, 어디가 아픈게냐? 무슨 병이라냐?" " 간암이예요. " "그래, 고칠 수가 없대드냐? 고칠 방법이 전혀 없대드냐?" " 우리는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다 노력해 보았어요. 사실은 십 개월 쯤 전에 간 이식 수술도 했었어요. 얼마 동안은 건강이 매우 호전되었어요. 몸 무게도 늘고 기운도 나고, 정말 완쾌된 것같이 모든게 희망적이었어요. 그런데 그게 다시 재발된 것입니다." 며느리의 눈물어린 눈을 바라보며 엄 노파는 흐느끼는 숨을 애써 누르며 지긋이 눈을 감는다. 아들의 집은 나무들이 울창하게 늘어선 고요한 주택가에 들어서 약간 경사진 언덕을 오르면 거기에 붉은 지붕을 얹은 꽤 큰 규모의 흰 건물이다. 거실의 큰 유리창 밖으로는 오리와 기러기가 한가로이 헤엄치는 호수가 보이는 아름다운 풍경이다. 명호는 중학교 때 음악시간에 배웠다는 < 언덕 위에 집> 이라는 노래를 즐겨 불렀다. 나에게는 집이 하나 있다네. 언덕 위에 내 집은 통나무 집이라네. 노래하는 새들도 함께 산다네. 달도 별도 내려와 친구가 된다네. 명호는 과연 그가 그리던 언덕 위에 집을 가졌구나. ' 얘들아 할머님이시다. 인사해라." 검은 머리를 길게 느려뜨린 처녀 애 둘에 터울이가 좀 떨어져 보이는 사내애가 하나 있었다. " 너 이름은 무엇이고 나이는 몇이지?" 할머니의 물음에 두 딸들은 제 엄마를 쳐다보며 어깨를 들썩한다. 며느리가 얼른 받아 " 큰 애는 열여덟이고 둘 째는 열여섯이얘요. 죄송하지만 그 애들은 한국 말을 몰라요." 할머니는 크게 놀랐다 그리고 서운했다.서로 멀뚱이 바라만 보는 분위기가 어색해, 엄 노파는 제 엄마 뒤로 숨어 얼굴만 빼꼼이 내민 막내의 머리를 한 번 쓰다듬어 주며 " 에미야, 내가 쉴 곳은 어디냐? 잠간 눕고 싶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