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유금속’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일반적으로 언론에 나오는 단어로는 ‘희토류‘인 것 같습니다.

일본어와 우리 말 표현이 다른 건지, 이렇게 번역한 이유가 궁금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자는 이 책을 아주 쉽게 써서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려고 한 것 같습니다.

어떤 책들은 잘 안 읽히는데, 그럴 땐 일단 끝까지 책장을 넘겨보라던 누군가의 말이 생각납니다. 한참 전 대학생 때, 평소 접할일이 적었던 역사/사회과학 책을 읽을 때 들었는데, 눈에 들어오지 않는 책을 읽을 때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아마도 이 책을 필자만큼 이해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그래도 두 번째 읽으니 좀 낫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널리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마르크스는 ‘커먼’이 재건된 사회를 가리켜 ‘어소시에이션 association‘이라고 불렀다. 마르크스는 미래 사회를 그리면서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같은 표현은 거의 쓰지 않았다. 그 대신 사용한 용어가 ’어소시에이션‘이다. 노동자들의 자발적인 상호부조(어소시에이션)가 ’커먼‘을 실현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가운 이름들입니다. EBS <위대한 수업>을 다시 봐야겠습니다.

스티글리츠는 더욱 공정한 미래 비전을 ‘올바른 자본주의’라고 하며 기존의 ‘짝퉁 자본주의’와 대치시켰는데, 그 과정에서 또 다른 가능성을 놓쳤다. 그 가능성이란, 스티글리츠가 동경하는 2차 세계대전 후부터 1970년대까지의 ‘황금기’야말로 오히려 예외적인 ‘짝퉁 자본주의’의 시대였을지 모른다는 것이다. 그리고 스티글리츠가 규탄하는 현재의 자본주의야말로 실은 ‘진짜 자본주의’인 것이다.
지금이 ‘진짜 자본주의’라는 말은, 스티글리츠가 추구하는 ‘개혁’과 자본주의의 유지가 양립할 수 없다는 뜻이다. 바로 그 때문에 그의 ‘개혁’은 결코 실현할 수 없지 않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개혁을 자본주의를 유지하기 위함이라며 진지하게 주장하는 스티글리츠를 지젝은 진정한 ‘공상주의자’라고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번스의 역설 - 효율화가 환경 부하를 가중한다

(...) 신기술이 개발되어 효율성이 높아져도, 상품이 그만큼 저렴해지는 바람에 결국은 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 신기술 덕에 효율성이 올라가 ‘상대적 디커플링’이 일어나는 듯해도 소비량이 증가하여 효율화 효과가 상쇄되고 무의미해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