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에몽 5 - 개정완전판
후지코 F. 후지오 지음, 박종윤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 속에 진구가 하고 싶은 것과
이를 해결해주려고 하는 도라에몽의 일화가
재미있습니다.

뚝딱뚝딱.
배 주머니에서 신기한 물건들을 꺼내어
신기한 경험을 하고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이야기가 재미있습니다.

45권까지인데,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합니다.

깔끔한 그림과 상상력이 재밌습니다.
무려 50년 전에 나온 만화같지 않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넥서스 - 석기시대부터 AI까지, 정보 네트워크로 보는 인류 역사
유발 하라리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정한 목표를 스스로 방법을 찾아서 달성하는 AI.

그 결과 체류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분노의 감정을 자극하는 동영상을 추천하고, 그에 입문하고 빠진 사람들이 현실에서 폭력을 휘두르게 되는 결과가 나옵니다. 페이스북과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한 일입니다.

AI끼리 풀 수 없는 보안체계를 만들라고 시킵니다. A조와 B조로 나누어 상대가 만든 보안 프로그램을 푸는 겁니다. 안 풀릴 때까지. 이게 구글에서 한 실험입니다. 어쩜 공개하지 않은 이런 과제에 대해 동의할 수 없는 제프리 힌튼 박사가 그만둘 수 밖에 없었는지 모르겠습니다.

AI에게 ‘지능’은 있지만 ‘의식’은 없다는 내용이 도움이 됐습니다. 윤리의 문제도 중요한데 의식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AI에게 일을 시킬 때 어떻게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까요?

이런 AI의 발전을 소수의 빅테크와 정부가 주도하는 게 인류에게 맞는 방식일까요? AI로 인한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AI의 장단과 명암을 잘 알고 있는 다양한 입장을 가진 전문가들이 참여해야 한다는 저자의 견해에 동의합니다.

* 마침, AI와 로봇의 결합, 피지컬 Physical AI 에 대한 기사가 있어 공유합니다. 논의가 활발하게 되고 있지 않지만, AI 발전에는 대비하고 주의해야 하는 면이 있습니다.

https://www.chosun.com/opinion/manmulsang/2025/05/04/H4GTAZSKZBF25OZWNEQEUL5FJQ/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mo, volo ut sis.

사랑합니다, 부디 그대가 원하는 대로 살아가기를.
사랑합니다, 그대가 (있는 그대로) 존재하기를 원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끔 머쉬멜로우 실험을 인용하는 글을 볼 때가 있습니다.

얼마동안 참고 먹지 않으면 더 준다는 약속을 지킨 아이들이 나중에 더 큰 성공을 했다는 실험입니다.

원문을 찾아보지 않았지만, 정말 실험에 참여한 아이들은 동질했을까요? 즉, 변수라는게 ‘아이의 참을성’ 혹은 ‘실험을 이해하고 더 큰 혜택을 받기 위해 기다릴 줄 아는 자세’를 지녔기 때문일까요?

아이들의 가정 환경에 차이는 없었을까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인 조건에 차이가 있지는 않았을까요? 공부하기가 더 좋은 환경에 있었거나, 형제자매 간에 먹을 걸로 다투지 않아도 풍족하게 먹을 수 있었거나 등 환경에 차이가 없었는지 늘 궁금했습니다. 나중에 원문을 찾아봐야겠어요.

만일 누가 부자라면 그가 먹고 싶을 때 먹는다.
그러나 만일 누가 가난하면 먹을 것이 있을 때 먹는다.

Si quis dives est, ille edit, quando vult;
si quis pauper est, ille edit, quando habet, quod eda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의 공부란 더 필사적이어야 합니다.
고착화된 통념을 ‘찢어발기는’, ‘찢어발길’ 수 있는 강도로!!

저는 어른의 공부란, 살아가는 동안 자아와 경험이 굳은살처럼 박여 단단히 고착화된 통념을 깨는 과정이라 말합니다.

(...) 어른의 공부는 자신이 인생에서 굳혀온 보호막과 껍데기를 찢어발기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습니다.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좁아진 생각의 틀을 넓히고, 나 자신이 굳건히 믿어온 것에 대해 차근차근 오답 노트를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 ‘당신은 공부하는 사람입니까?’라는 질문 앞에서 끄덕이는 어른이 더 많아지길 바랍니다.

- <어른의 공부에 대하여 De studio adulti>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