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서울편 출간 후 있었던 북콘서트(?), 저자와의 대화(?)에 다녀왔습니다. 그때 «국토박물관 순례»를 집필 중이시라며 들려준, 전곡리에서 데이트 중에 주먹도끼를 발견한 보엔 씨에 대한 얘기가 재미있었어요.

구석기시대부터 차례대로 우리 나라 곳곳을 다녀온 이야기가 구수하게 담겨져 있어요. 전곡리와 부산 영도는 아직 못 가봤지만, 울산 / 언양의 암각화편은 다녀온 곳이라 그런지 반가웠습니다. 언양불고기도 맛있었구요. 반구대 암각화가 있었던 곳에서 느꼈던 따스한 햇살이랄까요 혹은 안전한 느낌이라고 할까요, 뭔가 다른 곳과는 다른 느낌이었는데 ‘신기 내지 귀기 어린 곳’이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아쉬웠던 점은 왜 그곳이 신석기 시대에 암각화가 발견될 정도의 주거지였는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지도에는 신석기 유적지가 다수 분포해 있던데, 왜 그렇게 분포해 있는지, 다른 시기에 비해 정말 많은 건지 혹은 발굴 및 보존이 잘 된 것인지, 우리 나라는 신석기 시대에 인구가 많았던 것인지 혹은 다른 지역의 신석기 시대보다 앞선 것인지 등등이 궁금해졌습니다. 영도에 있는 패총(조개무덤)은 규모가 꽤 큰 쓰레기장이었다는 해석 대비 어떤 순서로 보는게 좋다, 무엇을 볼 수 있다고 정리되어 살짝 아쉬웠습니다.

아직 읽는 중이지만,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와 구성은 유사한 것 같습니다. 언양불고기는 맛있습니다. 전곡리에도 가보고, 다음 번 부산에 가면 영도에서 하루나 이틀을 다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고구려편이 재미있습니다. 고구려에 대해 들어본 지도, ‘고구려’라는 단어를 말로 해본지도 오래됐기 때문일까요. 한 번도 가보지 못했기 때문일까요. 전문가로 구성된 여러 답사 인원들의 지식과 대화가 담겨있기 때문일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고구려 1, 2, 3 편이 재미있습니다.

** 언젠가는 고구려 유적지와 백두산에 가보고 싶습니다. 그럴 수 있을까요. 중국 정부가 답사를 막고 있다고 합니다. 2004년 유네스코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 로 등재됐고, 책에 나오는 오녀산성, 국내성, 환도성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출처: https://heritage.unesco.or.kr/%EA%B3%A0%EB%8C%80-%EA%B3%A0%EA%B5%AC%EB%A0%A4-%EC%99%95%EA%B5%AD-%EC%88%98%EB%8F%84%EC%99%80-%EB%AC%98%EC%A7%80/)

*** ˝환인과 집안의 고구려 유적과 연길의 발해 유적에 대한 한국인의 관광을 철저히 통제하여 출입을 막는 것은 물론이고 사진조차 찍지 못하게 하는 것을 보면 동북공정의 진짜 목적이 무엇이었는가를 의심하게 되는 것이다.“(p. 280)

**** 고대 시대의 답사인 만큼 한자를 병기했으면 어떨까 합니다. ‘적석총’(쌓을 적, 돌 석, 무덤 총), ‘무기단식’(없을 무, 기단이 없는 방식) 등. 요즘에는 한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들이 줄고 있다고 하는데, 혹시나 이 책을 계기로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될 미래의 연구자 혹은 독자들에게는 더 넓은 세상을 나아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평양냉면은 북한의 단독 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고 합니다. ‘평양랭면 풍습’. 요즘에 서울에서 먹을 수 있는 밍밍한 국물일지 북한 옥류관에서 나왔다는 양념이 있는 국물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출처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2974.html)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누리집은 평양냉면을 “북한의 관습적인 사회문화적 음식이며, 평양 사람들의 삶에 깊이 뿌리내린 전통 민속 요리”라고 소개했다. 평양냉면의 요리법에 대해선 “놋그릇에 메밀국수를 담아 고기, 김치, 채소, 과일, 고명 등을 얹어 낸다. 시원한 육수나 무김치 국물을 면 위에 부어주면 완성이다”라고 소개했다.

유네스코는 평양냉면의 의미에 대해 “장수·행복·환대·유쾌함·친근함과 관련이 있으며, 존경·친밀감·단합을 키운다고 믿어진다. 정월대보름을 하루 앞두고 가족과 이웃이 모여 국수를 즐기며 삶이 국수만큼 길기를 기원한다. 미리 술을 마시는 것이 관례”라고 설명했다.

******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는 2025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심사를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2024.11월 ~ 2025.5월)

(2025.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꾸 생각나는 야미츠키 우유”가 나옵니다.

단노 하나가 1리터 짜리 팩을 입대고 마시는 장면입니다.

‘백성귀족’ 아라카와 히로무 작가가 그렸으니 혹시나 훗카이도산 우유일까요? ㅎㅎㅎ

* ‘야미‘는 ’맛있다‘는 뜻일텐데 ’츠키‘는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천의 츠가이» 1권을 2022년 말에 읽었습니다.

‘츠가이’라는 존재도 구성도 새로워서 새 책이 나올 때마다 앞 권을 읽어야 겨우 연결이 됩니다.

이번에는 6권과 7권을 한꺼번에 읽려고 하니, 앞 권 내용을 몽땅 잃어버려서 다시 읽었습니다. ㅎㅎ

‘츠가이’는 한 쌍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일본 만화에는 이세계물이 많은 것 같습니다. 어쩜 더 자유롭게 이 세상을 상상하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 일본에서는 9권까지 나온 것 같은데, 어서 한글판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줄거리를 잊어버리기 전에요. ㅎㅎ

** 아하, 웹툰 형식으로 볼 수가 있군요. 7권이 28화, 웹툰은 37화까지 나온 것 같으니, 8권, 9권과 10권 일부까지 볼 수가 있네요. 찾아보길 잘 했습니다. ㅎㅎㅎ

*** 그래도 «은수저»나 «백성귀족» 같이 편하게 볼 후 있는 만화는 아닙니다. 마치 무혀소설처럼 결투와 죽음이 난무합니다. 작가의 «강철의 연금술사»와 맥락이 닿습니다. «아르슬란 전기»는 원작을 만화로 그리는 작업을 합니다. 그러니까 오리지널 연재물은 «황천의 츠가이»입니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리게 가는 마음
윤성희 지음 / 창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풍경은 저기에 있습니다. 나는 ‘저기 있는 풍경’이 인물의 ‘여기 있는 마음’과 합쳐지는 순간을 느리게 기다렸습니다. 느리게 기다리다보니 느리게 쓸 수밖에 없었습니다.

- <작가의 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리게 가는 마음
윤성희 지음 / 창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각한 상황이지만 왠지 웃음이 나기도 합니다.

지금, 여기에서 할 수 있는 게 무엇일지 찾아서 행하는 것이 지금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한다면, 개그를 다큐로 받는 거라는 건 잘 알고 있습니다만, 뻔하게 치킨집을 차리지 않고 쌀국수 가게를 차린 선택을 존중합니다. 초반의 고비를 잘 넘기고 수십 년째 운영하는 쌀국수 가게가 되었기를 바래봅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아버지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쌀국수 가게를 차렸다. 장사는 잘되지 않았고 월세도 내지 못하게 되자 부부싸움이 잦아졌다. 어머니는 동남아도 가본적 없는 사람이 쌀국수 가게를 차린 것부터가 잘못된 거라고 빈정댔다. 아버지는 어머니의 그런 말투에 늘 상처를 받았다며 화를 냈다. 나는 부모님이 이혼을 하면 캐나다에 사는 큰이모한테 가겠다는 다짐을 했다. 공항에서 떠나는 나를 붙잡고 부모님이 우는 장면을 상상하면 복수하는 기분이 들었다.

- <보통의 속도>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