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은 늘 마음이 급하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닌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러할 것이다. 근 몇 주간을 밤 늦게 자게 되어 아침에 늦게 일어나서 허겁지겁 출근하는 것을 반복했다. 원래의 생활패턴을 되찾기 위해서 다시 새벽 이른 시간에 일어나는 것을 시작했는데, 결과만 얘기하자면 별 문제 없이 일어나서 책을 보다가 다시 잠이 들어서, 8시가 넘은 시간에 부랴부랴 씻고 회사로 가야했다. 몇 번 이러다보면 제자리를 찾을 것이다.
어인 일인지 지난 주간에는 크게 바쁠 것도 없었는데도 책을 거의 읽지 못했다. 그래서 작심하고 주말을 위해 금요일 오후에 퇴근하면서 책을 몇 권 싸들고 집에가서 주말 내내 짬짬히 읽어냈다. 꼭 의무감이 있거나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쌓아놓은 책을 한 권씩 읽어내려가는 것은 그 나름대로의 맛과 멋이 있다. 한가로운 주말 오후에 TV를 켜놓고, 또는 늦은 밤에 마트에 나가서 사온 와인을 마시면서 책을 읽는 것은 나의 된장질이라고 볼 수 있겠다. 예전과는 달리 서점에서 책을 읽고 있는 것은 그다지 즐기지 못하는데, 우선은 서점 카페의 배치와 구조가 오래 앉아있기에는 불편해진 것도 있고, 서점 내 곳곳에 있던 편안한 일인용 소파도 다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에는 지난 3년 간 근처에 있던 반스앤노블 서점 4군데가 2군데로 줄어들만큼 악화된 경영난이 이유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오래 앉아만 있는 사람보다는 책을 살 사람이 필요한 것일게다.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개인 사무실을 차린 2012년 이후, 누군가를 상사로 모실 일이 없어졌다. 그 전에도 기실 작은 사무실의 no. 2의 자리에서 5년간 일을 했기 때문에 상하좌우로 촘촘하게 얽힌 회사에서의 인간관계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이 책을 읽은 이유는 그저 구본형의 책이라는 것과 앞으로 누군가를 고용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좋은 상사가 될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이 있을까 싶어서였다.
좋은 이야기도 있고, 도움이 될 만한 phrase도 있었지만, 근본적으로는 나의 관심을 충분히 끌만한 이야기는 별로 없었다고 생각된다. 다만, 부하직원의 관점에서 상사를 이렇게 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점은 여러 번 느낄 수 있었는데, 이 역시 구체적으로 맘에 와 닿지는 않은 것을 보면, 역시 현실에서 경험하면서 답을 찾는 것이 선행학습보다는 훨씬 더 나은 공부방법인 것 같다. 아마도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조금 더 직접적인 공부가 될 것 같다.
이 책은 앞서의 책보다 훨씬 더 통상의 자계서에 가까운 책이다. 인생의 성찰이나 하루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에서 느껴지는 구본형의 모습은 그리 많이 느낄 수 없는 책이기도 하다. 물론 전적으로 나의 관점에서 하는 말이다.
반 정도 읽다가 말았는데, 업무효율과 강점의 극대화를 위해서 task를 20가지로 규정하여 나누고, 잘하는 것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그렇지 못한 일에는 잘해야 평균정도만 유지하라는 말에는 일견 공감하는 부분이 있지만, 과연 조직생활에서 이런 것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다. 자계서의 특성상 지극한 일반화를 통해 단순한 모델을 제시하는 형식의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앞서의 책과 함꼐, 자계서를 읽을 때마다 느껴지는 것은 '완벽한' 세상이라면, 모든 이가 룰을 지키는 그런 곳이라면 아마도 조금 더 실행이 용이한 이야기를 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쿵후영화를 보면 소위 '합'이라는 것을 맞춰가면서 고수의 대결이 이어지고, 고수와 저잣거리 건달의 싸움에서도 일정한 '합'이라는 법칙이 유지된다. 하지만 현대 MMA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애초에 '합'이 정해진 싸움은 없는 것이다. 실전에서는 뒤엉켜 난리를 치면서 치고박는 것이 더 일반적인 모습인데, 아쉽게서 자계서에서 내가 느끼는 것은 '합'이 성립할 수 있는 환경의 '가정'이다. 이런 점에서 어떤 자계서라도 말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비판적인 관점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환경에 맞춘 rephrasing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그것이 설사 구본형의 책이라해도 말이다.
보통 자계서를 읽으면 읽는 당시에만 그렇다해도 적정수준의 motivation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이렇게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라는 책에는 더 이상 공감하기가 어렵다. 내가 더 깨인 탓인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아니면 덜 절박해서 그런지 모르겠다. 하지만, 언젠가 다른 이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정체기에 오른 나의 인생에서 다시금 한번 inspiration을 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