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이유는 없다.  이 책을 오랫만에 다시 뽑아 든 것은 말 그대로 '즐겁게 살고 싶다'는 제목에 눈에 들어왔기 때문이었다.  2012년 하루키로 시작해서 하루키로 끝난 한 해, 정말이지 징하게 하루키의 책을 읽고 때늦은 그의 팬을 자처했었다.  그 후 작년에 나온 '색채가...'를 읽은 것과 다른 이름으로 재발매된 몇 권의 에세이집을 읽은 것 외에는 그의 책을 읽지는 않았다.  뭐랄까.  한국에서는 하루키가 너무 메이저가 되어 90년대 그가 처음으로 한국의 독자들을 열광시키던 그 시기의 느낌이 없어졌다고나 할까.  역시 하루키의 책은 그 당시의 책, 그러니까 80년대에 쓰인 책들이 더 재미있고 정감이 어린다.  묘한 아날로그의 감성과 돌아올 수 없는 시간에 대한 아련한 향수라고 할까?  물론 우리에게 80년대는 전혀 다르게 기억되겠지만.


4개월이 채 못되는 금년, 업무는 작년 한 해에 걸쳐 발생한 양보다 더 많아졌다.  새끼 변호사로 일하면서 워낙 모든 처리를 도맡아 했던터라 일은 그런대로 어렵지 않게 하고 있는데, 행정적인 업무가 느끼기로는 작년의 4배는 넘어선 듯 하다.  이대로 가면 나도 회사를 키우고 직원들의 눈치를 보면서 방에 숨어 지내게 될 날이 머지 않은 듯 하다.  한국의 살인적인 업무시간과 강도는 차치하고라도 당장 다른 로펌의 일중독자들이 보면 헛웃음만 나올 소리겠지만, 내 나름대로는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보니 이 책의 제목이 눈에 꽂혔던 모양이다.  예전에 여러 번 읽은게 분명한데, 이번에 읽으니 색다르게 마음에 다가오는 것이 책은 역시 이렇게 모아두고 꺼내어 보는 맛이 각별하다.  책을 정리해서 다른 곳으로 보내거나 처분하는 것은 나에게는 무리일듯.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보지 않는 원칙아닌 버릇과 함께 지켜지는 나만의 법칙이라고나 할까.


96년에 나왔고, 수많은 사람들이 읽었을 이 책의 내용을 새삼 다시 이야기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저 이렇게 지치는 한 주를 보내는 나에게 잠깐이나마 휴식을 주었다는 점에 감사할 뿐이다.


9-11과 이라크 침공 전까지만 해도 연간 2-3억대 매출이던 블랙워터는 전쟁 후 1년만에 2-3천억대 회사가 된다.  블랙워터 뿐 아니라 군산복합체로 상징되는 미국의 군사산업은 이제 병참과 무기생산의 수익구조를 넘어 전쟁 그 자체를 민영화하여 수익모델로 만들어 버렸다.  이라크 전쟁이 한창이던 2006년, 일례로, 이라크에 주둔하던 정규군과 용병의 비율이 1대 1이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게다가 이런 류의 회사들은 전통적으로 강한 공화당과 수구세력을 지지하면 근본주의 기독교 세력의 아젠다를 고수하는 정치행태를 보여 왔는데, 그런 조직이 돈과 무기 및 고도로 훈련된 사병조직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음으로 양으로 정계의 막후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점도 상식적으로 합리적인 사람의 생각으로 보면 위험하기 짝이 없다.  


앞으로 잃어버린 10년이 확실시 되는, 이명박의 당선과 함께 시작된 과거로의 회귀나, 나찌의 행보를 그대로 빼어닮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그리고 지역적으로 조장되는 인종청소의 초기단계를 볼 때, 이런 pseudo-크리스찬 용병회사의 존재는 민주주의와 합리적인 시민사회에 있어 큰 위협이 된다.  앞서에도 말한 바 있지만 강정마을에, 한국의 통일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런 용병회사가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없고, 미국 정부, 아니 그들을 조종하는 군산복합체의 힘 앞에 한국 정부는 너무도 무력하기에 걱정이 된다.  관심이 있는 사람은 꼭 읽어볼 것을 권한다.


세월호가 말도 안되는 상황에서 좌초하고 말도 안되는 초기대응과 관련자들의 태만으로 아마도 이 정부들어 최고의 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제 한창 피어날 생명들이 그렇게 사그러져갈 때 어른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묻고 싶다.  선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의 태만과 실수는 엄중한 처벌의 대상이 되어야 하겠지만, 섣부른 마녀사냥은 경계하도록 하자.  깨인 그대들만이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