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번의 마쓰모토 세이초 작품기행이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  '일본의 검은 안개'와 '잠복', 그리고 '미스터리의 계보'를 연이어 읽어낼 형편이 된다.  아마 다음번에는 계속 나오고 있는 그의 추리소설들과 자서전까지 구해서 읽어보려고 한다.  물론, 이 와중에도 이번에 구한 로맹 가리와, 김영하, 정이현, 그리고 발자크를 읽어낼 것이다. 

 

그 전의 르포집에서 약간 시식을 한 그대로 '일본의 검은 안개'는 미군정하에서 벌어진 이상한 일들을 작가 나름의 자료수집과 분석, 그리고 모티브추적을 통해 추리한 것을 모아 놓은 책이다.  사실, 한국과도 깊은 관계가 있는 군정하에서의 일부 사건 - 공산당 소탕을 위한 기획사건 같은, 그리고 하권 마지막에서 다룬 한국전 이야기 등 - 을 제외하고는 크게 관심을 갖기는 어려운 이야기들이라서, 책의 내용 자체에 대한 흥미는 적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군정하에서 군정기관끼리의 주도권 다툼과 암투, 여기에 연결되어 때로는 부려지고, 때로는 이용되며, 때로는 이용하던 일본정부기관의 관계 등이 해방 후부터 미 주둔군과 밀접한 화학관계를 가지고 있어온 한국정부, 그리고 정치인들과 대비되어 한번 정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 역시, 그런 일이 한두 가지였겠는가?  내국인을 마구잡이로 납치하던 미군정시절이 우리라고 없었겠는가?   그리고, 한국전의 발발에 대해 - 적어도 남한에서는 북한의 남침이 거의 정설인데 - 그런 다양한 의견들과, 북한남침설에 대비되는 확인된 보도/발언들이 있는것은 이번에 처음 알았고, 한국전쟁 발발 전의 민중봉기나, 공산당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미군이 출동하여 수 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행불되었던 것 역시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역시 자료를 보려면, 남북구도에서 심하게 control되어온 한국보다 외국의, 제3국의 관점에서 만들어지고, 조합된 자료들을 찾아보는 것이 정확성이 훨씬 높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쓰모토 세이초같은 르포는 나오기 어려운 환경이지만, 그래도 글쓰는 이들 중에 이런 사람도 한국에서 나와주었으면 좋겠다.  남발하는 민사소송 때문에 쉽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주진우기자를 뛰어넘는, 치밀하고 정확한 글빨로 미스테리어스 한 한국의 근현대사 이슈들을 파헤쳐줄 그런 사람 말이다.  이럴때에는 일본의 덕후근성이 부러울 때가 있다.

 

가끔 글을 써보고 싶을때가 있다.  하지만, 현실도 그렇고, 재주도 없어서 그냥 그런 생각으로 그치곤 하는데, 그래도 하루키나 세이초같이 비교적 늦게 등단한 글쟁이들을 보면, 살짝 위안이 된다.  이런 저런 습작도 계획해보게 되고 말이다.  계속 읽고 생각하고, 이렇게 조악하게나마 리뷰를 쓰다보면 다른 무엇이 생각날런지도 모르겠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이에자이트 2012-09-19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쓰모토 세이초의 한국전 해석은 I.F.Stone <한국전 비사 The Hidden History of the Korean War>와 유사해요.이 책이 일본에서 일찍 번역되어 진보계열 쪽에 큰 영향을 줬거든요.우리나라에서는 80년대 후반에 번역되었습니다.영어권에서는 아직도 원서를 구입할 수 있을 거에요.

transient-guest 2012-09-20 02:48   좋아요 0 | URL
오! 역시 노이에자이트님! 감사합니다. 찾아보아야 하겠습니다. 80년대 후반까지 번역되지 못했을것 같네요, 내용상.

노이에자이트 2012-09-20 16:51   좋아요 0 | URL
음...왜 안 믿으실까요...번역되었다고 썼는데...저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현대사에 관한 외국의 주요 좌익 저작물 상당수가 80년대에 번역되었습니다.국내 저자들의 관련저서도 많이 나왔고요.소련해체와 중국과의 수교 이후 이런 책들 낸 출판사들이 모두 문을 닫았죠.

transient-guest 2012-09-21 04:21   좋아요 0 | URL
아이쿠. 제 의도는 80년대 후반에서야 겨우 번역되었을 (즉 공안정국 = 6.25북한남침은 절대진리) 사정을 알겠다는 것이었는데, 가끔 한글이 이상하게 나오나봐요 제가. 혹 불쾌하셨다면 사과드립니다. 양해해주세요.
한국책은 절판/품절이 너무 많아요. 제가 한국나가면 책구매에 조바심까지 내면서 열을 올리는 이유들 중 하나에요.
아참. 말씀대로 The Hidden History of the Korean War은 amazon에 여럿 나오네요. 담에 한꺼번에 주문하려고 보관해두었지요.

노이에자이트 2012-09-21 19:10   좋아요 0 | URL
글로만 대화하다 보니 이런 일이 생기나 봅니다.하하하...

그래요...절판은 어쩔 수 없다지만 80년대에 명저들을 번역한 출판사들이 거의 다 사라진 것은 큰 손실이죠.그 당시 명저들 구하려면 어쩔 수 없이 헌책방을 직접 방문해서 뒤지다시피 해야 합니다.

transient-guest 2012-09-22 00:22   좋아요 0 | URL
아무래도 그렇죠?ㅎㅎ

그래서인지 헌책방에 가면 꼭 보물섬에 온 것 같을 때가 있어요. 특히 인천의 아벨서점 같이 오래된 그런 곳들이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한국의 헌책방들을 이곳저곳 다니면서 책을 사고, 읽으면서 맛난 것도 먹으러 다니고 싶네요.

노이에자이트 2012-09-22 21:07   좋아요 0 | URL
광주도 헌책방이 점점 줄고 있습니다.대를 이어 하는 곳이 한군데 있죠.몇 년 전 주인 할머니가 돌아가셔서 아들이 대를 잇고 있는데 그런 곳이 참 드물죠.

transient-guest 2012-09-24 14:27   좋아요 0 | URL
서점이 참 돈이 않되는 business가 되었죠. 예전에는 서점경영하다가 출판사도 내고, 작은 건물도 짓고 그런 분들도 있었는데. 자꾸 없어지니까, 일부러라도 자꾸 가서 책을 사오게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