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아는 일본의 문학이란 결국 나쓰메 소세키 정도이고, 접해온 대부분의 일본 도서란 결국 공상과학, 괴기, 만화, 등의 분야이지라, 다자이 오사무로 대표된다는 일본의 데카당 또는 무뢰파 문학이란 것은 매우 낯설다.  아니, 일본의 문학이라는 것 자체가 상당히 낯설다고 봐야겠다.  아직도 잘 모르는 러시아 문학보다도 훨씬 더 모르고 있다.  난해해서가 아니라, 접하지 않아서이데, 이런 부분의 어떤 한계를 느낀 바, 일종의 목적의식을 가지고 출판사에서 선별하는 일본의 문학이라는 것을 읽어보려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써, 나쓰메 소세키가 아닌 다른 작가의 작품을 고른 것이 아필 이 '인간 실격'과 합본으로 수록된 '직소'인데, 다자이 오사무란 작가가 쎴다.   설명에 의하면 이 작가는 일본의 패전 후의 시대를 휩쓴 데카당 문학의 대표주자라고 한다.  데카당의 은 데카당스로도 읽히는데 19세기 말에 나왔던, 절망에서 도래한 퇴폐주의 문화를 가리킨다고 사전에 나와있다.  좀더 뒤로 가자면 (내 기억으로는), 데카당스/데카당의 데카는 숫자의 완전수, 또는 끝을 표현하는 데카, 즉 10에서 기인한 '절망' 또는 '막장'을 나타내는 말이고, 어떤 절망적인 사회적인 행동, 주의, 등등에 모두 쓰인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러니 데카당 문학은, 적어도 이 작품을 보면, 말 그대로 절망과 염세주의에 빠진 그야말로 막장의 심리상태나 자아비판적인 것을 소재로 한 어떤 한 문학의 지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는 매우 부정확하고 완전할 수 없는 정의이긴 하지만, 현재로썬 달리 파악이 되지 않는다.  좀 알고 싶어서 인터넷을 뒤졌는데, 기껏 나오는 평이 책 끝부분에 나오는 역자의 평과 정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심지어는 출전이 다른 블로거들의 글의 내용이나 표현이 겹치는 것도 볼 수 있었으니...  

자전적인 이 소설과, 예수밀고 직전의 유다의 불안정한 심리를 그린 '직소'를 보면 무엇인가 느껴지는 것이 있는데, 어떤 자성, 운명, 막장, 뭐 이런 것들이다, 대충.  글로 정리가 잘 되지 않는 것은 아마도 이 무뢰파 문학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이 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아무튼, 읽어볼 만한 작품이라고 생각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