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삼월은 붉은 구렁을'  난해한 것도 같고 단순히 말이 안 되는 듯도 싶은 제목부터 심상찮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 내용에 대한 온갖 상상을 불러일으킬 것 같으면서도, 정작 미루어 짐작해 보려 하면 비눗방울처럼 손에 잡히지 않고 툭, 터져버린다. 단순히 멋을 부리고 있는 제목일 지도 모르고 불가의 선문답처럼 뭔가 심오한 내용을 담은 종류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확실한 것은, 그 제목이 머리속에 달라붙어 도저히 떨어져 나가려 들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때문에, 어쩌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는 두근거리림을 안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 두근거림은 당연히 '이 책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에 대한 것이었고. 그리고 결론적으로, 그런 면에서만 보면 나의 기대는 조금 어긋났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이 책은 읽는 사람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종류가 아니라,.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것' , 나아가 '이야기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좋은 이야기에 대한 탐구라는 표현보다는, 이 책에 나온 기발한(또한 마음에 쏙 드는) 말처럼, '이야기가 열리는 나무'를 찾기 위한 여행이 아닌가 싶다. 뚜렷한 계획은 없지만 특별히 좌충우돌하지도 않는, 마치 며칠 동안의 긴 산책과도 같은 그런 여행 말이다.

그 여행은 네 파트로 나눠진다. 첫번째 파트는 존재하지 않는 책을 찾는 이야기이다. 즉, '쓰인 이야기'에 관한 야기인 것이다. 때문인지 이 파트에서는 독서의 여러 방향들이나 경향들에 대한 거칠거칠하지만 뼈있는 이야기들이 오고가고, 덕분에 직접적으로 작가가 등장한다고도 볼 수 있을 마지막 파트보다 오히려 더 작가의 목소리를 가깝게 느낄 수 있는 파트였다.  

그리고, 흥미진진하고 유쾌한 분위기를 마지막 까지 잃지 않는 첫번째 이야기는 바로 그 '존재하지 않는 책'자체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간다. 즉 '쓰였던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이다. 첫번째 이야기와 두번째 이야기는 환상의 책 <<삼월은 붉은 구렁을>>와 관련을 맺고 있어 세번째 파트나 네번째 파트에 비해 이질감이 덜한 편이고, 여행을 해나가면서 미스테리를 풀어간다는 구조의 힘을 빌어 가장 빠져들듯이 읽을 수 있었다. 특히 이 파트에 등장하는 '이야기란 무엇인가'에 관한 이야기는 이 책에서 가장 인상깊게 남은 구절들을 쏟아낸다. 리뷰의 제목으로 삼은 '이야기가 열리는 나무'라는 표현을 비롯해서.

세번째 파트는, 처음엔 조금 당황스러울 정도로 분위기와 내용이 달라져 있다.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란 환상의 책과 연관을 맺고 있는 첫번째 두번째 파트와는 동떨어져 있는 것도 같다. 하지만 이러한 동떨어짐은 표면적으로만 그러하다는 점을, 마지막에 가서야 알 수 있었다. 어쨌든, 세번째 파트는 '쓸 이야기'에 관한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란 제목은 단순히 책속에 등장하는 책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여기서부터 <삼월은 붉은 구렁을>만의 개성을 느낄 수 있었다. 보통의 소설처럼 단순히 잘 쓴 이야기를 내놓은 것이 아니라, 잘 쓴 이야기를 찾기 위한 여행을 하는 과정중에 있는 소설이라는 점을 느낀 것도 바로 여기서부터였다.

그런 느낌은 네번째 파트에서부터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네번째 파트에 자의적으로 이름을 붙이자면 '쓰고 있는 이야기'라 하고 싶다. 이 파트에는 작가가 직접 등장하여, 책 '밖의' 책 <삼월은 붉은 구렁을>을 쓰는 과정을 보여주거나, 전혀 다른 내용의 쓸 이야기를 펼쳐놓는다거나(역자의 글을 읽어보니, 실제로 이 이야기는 이 책에 등장하는 다른 이야기들과 함께 별도의 소설로 되었다고 한다), 작가 자신의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이 소설에서 내가 덜 다듬어진 것과 같은 느낌을 받았다면, 바로 이 파트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 소설의 거칠거칠한 감촉은 마치 처음엔 별 맛이 없다가도 씹으면 씹을수록 단물이 배어나오는 음식과도 같다. 이 소설과 비슷하게 '소설을 쓴다는 것' 혹은 '이야기를 찾는다는 것'을 표현했다고 생각되는 소설 중에 폴 오스터의 <신탁의 밤>이 있었다. 이 소설 중에 등장하는 소설은 <삼월은 붉은 구렁을>에 등장하는 이야기들에 비해 잘 다듬어져 있고, 꽤 갖추어져 있다. 하지만 덕분에 나는 이 소설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바로 소설 속에 등장하는 소설의 미완성이 내 비위를 건드렸던 것이었다.  '이야기를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주제에 가장 잘 어울렸을지도 모르는  '미완성'이란 선택은 어쩌면 그 반질반질함 때문에 '이야기 안의 이야기'에 나를 집착하게끔 만들었고 결국 작가의 뜻을 십분 이해하면서도 납득은 하지 못하게 만들지 않았을까.  그리고 이런 점을 깨닫게 되어 <신탁의 밤>을 다시 보게끔 만든 것은 바로 <삼월은 붉은 구렁을>의 힘이었다.

하지만, 결국은 별 하나를 제외하기로 하였다. 반 개의 별은 마지막 파트의 진행이 다소 산만하고 때로는 불성실하게 다가온 것에 대한 '감점'이다. 미스테리 소설을 좋아하는 만큼 '결말'에 집착하는 개인적인 성향이 영향을 미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반 개의 별은 책 밖에서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이야기, 즉 온다 리쿠의 다른 소설들의 자리이다. 이렇게 써 놓고 보니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란 소설은 결국 한 사람의 작가로서 온다 리쿠가 세워놓은 계획서 같은 소설이고 결국 나는 시쳇말로 '낚였'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뭐, 이 정도로 괜찮은 낚시질이라면 한 번쯤 낚여주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아, '낚시의 정당성'에 대한 평가는 잠시 미뤄두기로 했다. 이 작가의 '앞으로'를 언제나 그렇듯 느릿느릿한 걸음으로 따라가면서 내려도 늦지는 않을 것 같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