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자들은 토크쇼 게스트보다 더 많은 말을 한다 - 마이클 베이든의 법의학 이야기
마이클 베이든 지음, 안재권 옮김 / 바다출판사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CSI와 유영철 사건이 사람들의 법과학과 수사기법에 대한 관심을 높여준 점은 사실인 듯 싶다. 몇 년 전만 해도 이에 관한 책들은 찾아 보기도 힘들었고, 대부분은 전문가 용이었으며, 어렵게 출간되더라도 소리소문 없이 사라지기 일쑤였다. 하지만 올해와 작년, 일반인을 대상으로 쓰인 여러권의 책들이 새로 출간되거나 재출간의 기회를 맞았고 예전보다는 확실히 많이 읽히고 있는 듯 하다. 대표적으로 <살인자들과의 인터뷰>라는 새이름을 달고 나온-하지만 사진 자료들을 몽땅 빼먹은 채로 출간된- 로버트 레슬러의 < FBI 심리수사관>이나 그리고 표지만 바꿔 새로 찍은 법곤충학에 관한 책인 <파리가 잡은 범인>등이 있다. 작년 봄엔 우리나라 DNA감식 전문가가 쓴 <대한민국과학 수사파일>이라는 책도 나왔다. 멀리 갈 것도 없이, 겨우 6년 전인 1999년에 출간된 FBI 수사관 존 더글라스의 <마음의 사냥꾼>은 현재 절판상태인데 말이다.

베테랑 법의관인 마이클 베이든의 <죽은자들은 토크쇼 게스트보다 더 많은 말을 한다> (원제는  Dead Reckoning인데 어쩌다가 기억하기 쉽지 않을 정도로 긴 데다가 약간은 경박해 보이기까지 한 제목을 달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이해가 안된다)은 법과학분야의 교양서로 가장 최근에 출간된 책이다. 제목이 다소 하수상한 것이 마음에 걸렸지만,  결론적으로는 쓸데없는 걱정이었다.

법의관으로서의 경력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진행자로서도 유명하다는 저자는 법의학에 대한 여러 흥미로운 주제들을 마치 TV다큐멘터리를 보듯 쉽고도 재미있게 풀어나가고 있다. 전문 법의관이 법의학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사실 <살인자들의 인터뷰>나 <파리가 잡은 범인>보다는 과학 칼럼리스트 메리 로취가 쓴 <스티프>에 더 가까운 인상을 받았다. <살인자..>나 <파리가...>가 준 입문서 정도의 수준으로 다소 무겁다면, <죽은자들은...>은 그보다는 가볍다. 또한 다루고 있는 내용들도 조금 더 광범위하다. 차가운 검시대 위에서 벌어지는 일 뿐만 아니라, '혈액학교'나 '벌레학교'같이 다른 법과학분야에 대한 내용도 다루고 있고,  책에서 쓰레기 과학이라 지칭된 잘못된 길을 간 법과학자들에 대한 이야기까지 그야말로 법의학을 중심으로 법과학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다. 서술의 태도도 일관적으로 진지한 대신, 검시실에서 주고 받는 농담들을 넣거나 검시실이나 교육현장들을 유머스럽게 스케치 하고 있기도 하다.

때문에 책이 조금 산만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래서 별 하나를 깎았다;;)  하지만, 편한 마음으로 법과학 전반을 둘러보기에는 안성맞춤이다. 그리고 법과학에 대한 책들이 조금씩이라도 나와주고 있다는 것이 어딘가. 한 연쇄살인범이나 한 사건을 집중적으로 다룬 책들도 많이 출간되는 미국처럼은 되기 힘들겠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일반인들을 위한 법과학서라도 앞으로 많이 접해볼 수 있었으면 한다. 우리나라도 과학수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물론 전문가의 양성이 시급하겠지만 이런 책들을 통해 처음 법과학의 세계를 접한 누군가가 법의학자나 법과학자의 꿈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고 수사직에 관심이 많은 누군가가 최소한의 교양을 갖출 수도 있으리라고 본다. 그래서 지금 출간되는 법과학서들은 아직 양이나 질에 있어서는 아쉽지만 반갑다. <죽은자들은 토크쇼 게스트들보다 더 많은 말을 한다>도 그래서, 이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한번쯤은 읽어볼만한 반가운 책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