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죽음의 나쁜 예 - 법의학이 밝혀낸 엉뚱하고 기막힌 살인과 자살
에두아르 로네 지음, 권지현 옮김 / 궁리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근래 한 사고사가 화제가 되었다. 정말 확률적으로 말도 안 되는, csi류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일어났다. 다만 그것이 현실로 일어난 일이기에 고인을 전혀 모르는 나에게도 남은 감정은 소소한 화젯거리가 아닌 안타까움이었다. 죽은 이에겐 그가 살아나갔어야 하는 남은 시간들이 있을 것이고, 그를 소중하게 여기고 그에게 소중했던 남은 이들이 있을 것이다.

 

아무리 놀랍고 이해할 수 없고 황당한 죽음이라고 해도 죽음은 죽음이다. 나 역시 잡담거리로 타인의 죽음을 듣거나 말한 적이 있지만, 그 뒷맛은 언제나 조금 쓰다. 아무래도 고인에 대한 예의문제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그렇게 황당하고 아무렇지도 않게 끝나버릴 수 있는 것이 우리 삶이라는 생각이 그런 이야기들에는 꼬리표처럼 달려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남의 죽음의 이야기는 그것이 우리 죽음의 이야기도 될 수 있기 때문에, 늘 흥미롭긴 하나 가볍게 지나칠 수는 없는 것 같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들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만든 것을 읽었고, 역시 뒷맛이 좀 쓰다.

 

미안하지만, 이건 농담이 아니다, 라는 생각이 읽는 내내 머릿속에서 맴돌았다.

 

나는 여기 서재에도 법과학 카테고리를 따로 두었고, 법과학과 관련된 신간들은 되도록 다 읽어보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읽으면 읽을수록 충격적인 묘사가 많은 책 보다는, 전문적으로 분석하되 어느것도 쉽게 단정짓지 않는, 균형을 지키려 애쓰는 책들이 기억에 오래 남는다. 특히 정확하면서도 조심스럽게 사실을 서술하고 묘사하는 책을을 개인적으로는 좋아하는 편이다. 사람의 삶이라는 것은 그것이 누구의 삶이든 간에 몇 장의 글로는 표현될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이 법과학 교양서 내에 등장하는 일개 사건일지라도, 그 죽음은 누군가의 역사가 거기서 끝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책은 때로는 그런 죽음을 농담거리 삼으며 심지어 때로는 빈정대기까지 한다. 참 고약한 유머감각이구나 라고, 느끼는 내가 너무 보수적인 사람인가? 하지만 나는 항문에 뭘 집어넣었든 간에 그로 인한 죽음이 하나도 재미있지 않다. 시체를 발견한 사람의 마음을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다. 그건 괴짜의 희안한 종말이 아니다. 평생을 자신의 비밀스런 욕구와 싸워야 했던 누군가가 정말 맞고 싶지 않았던 공포스런 종말에 더 가깝다. (자기성애에 심취한 사람들이 사고로 죽지 않기 위해서 취하는 방법들과 그에 대한 개인적인 고심들에 대해 알게 되면, 그 사람들의 공포를 비웃을 수 없게 된다. 나는 그들을 이해할 수 없지만, 그들의 욕망이 우스꽝스럽지는 않다)

 

이 책이 애초에 칼럼을 모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 책의 농담을 버무린 서술이 이해가 될 법도 하다. 신문에서 한 주에 한 두번 한 꼭지씩 만나기엔 그리 부담스러운 가벼움은 아니니까. 하지만 이게 한 권의 책이라는 게 문제고, 단숨에 읽어버릴 수 있다는 게 문제다. 마지막 장을 덮으며 왜 이책이 쓰였을까 하는 의문이 어쩔 수 없이 남는다. 저자는 가볍게 서술함으로서 충격적인 내용을 감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걸까? 하지만 내게 남는 의문은 이것이다-자기 몸에 수십개의 못을 박으며 자살한 남자의 이야기가 그렇게 희안하고 웃긴가? 분명 중증 정신질환이 있을 그 사람의 이야기나 나는 그저 안타깝고 슬프며, 그것을 읽고 있는 내 자신이 잔인하다는 생각이 들 뿐이다.

 

물론 죽음이나 사고사에 대해 우리가 매번 심각해 질 필요는 없다. 농담을 조금 섞는다고 해서 크게 문제될 것도 죽음을 대화 주제로 삼는 것에 지레 겁먹을 필요도 없다. 나는 메리 로취가 시체에 대해 쓴 '스티프'도 매우 좋아해서 가지고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내내 가볍기만 한 흥밋거리인가 아니면 저자가 그래도 희안한 사실 너머에 존재하는 그 무언가를 남기려고 했는가 하는 차이일 것이다. 아니, 저자가 자기를 놀리고 있는지(로취는 모든 저서에서 스스로를 농담거리로 자주 삼는다) 아니면 망자를 놀리고 있는지에 대한 차이일 것이다. (물론 로취의 책은 죽음이 아니고 시체에 대해 다루고 있긴 하다) 그리고 덧붙이자면, 무미건조하고 중립적인 학술논문이라고 해서 소위 흥미가 덜해지는 건 아니다. 굳이 설탕에 굴리고 식용색소를 잔뜩 첨가하지 않더라도 말이다.

 

나는 첫머리에 언급했던 사건을 들으며. 이 책을 떠올렸다. 어쩌면 고인의 비극적인 종말은 이런 책들에서 심심풀이로 쓰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에서다. 매우 황당하고 흥미로운 사고이긴 하니까. 다만 고인에게는 어린 자녀가 있다고 한다. 아이가 있어 그런가 나는 낯모르는 고인의 삶이 마음이 아프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정도는 다르지만 자기 자신을 '나쁘도록' 우습게 학대함으로서 죽음을 맞은 이들에 대해서도 마음이 아팠다. 그리고 이런 책들을 찾아 읽는 내 자신이 과연 어떤 인간인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부디 여기에 언급한 것이 그 분께 누가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