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앤 아버스 - 금지된 세계에 매혹된 사진가
퍼트리샤 보스워스 지음, 김현경 옮김 / 세미콜론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다이앤 아버스(디앤 아버스-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디앤'이라고 불러주는 것을 더 좋아했다) 의 사진을 처음 본 것은 수전 손택의 책에서였다. 칼을 먹는 묘기를 보이는 알비노 여인을 찍은 사진과 장난감 슈류탄을 들고 있는 소년의 사진이었는데 아버스에 대한 손택의 설명과 사진에서 풍기는 묘한 불균형과 낯설음 그리고 그 둘에서 기인하는 끌림에 아버스의 사진을 여럿 찾아보았다.

 

 

아버스는 당시 소외되었던 계층이나 금기시되었던 것들에 사진기를 들이댔다. 누드촌, 동성애자, 남장여자, 10대연인, 기형인, 불구. 아버스 말고도 비일상적인 상황이나 받아들이기 어려운 대상, 눈으로 보는 아름다움 너머를 포착한 사진작가는 많다. 비록 아버스가 선구자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도, 세월이 흐르고 비슷한 대상을 탐구한 사진작가들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만약 그녀가 단순히 '특이한 대상'을 포착했다는 이유로 유명해졌다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그녀 작품의 힘은 설명할 수 없다. 그것은 아마 대상에 대한 아버스의 생각과 태도가 그 사진에서 드러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그 태도는 단순히 미화나 동정, 공감, 혹은 혐오나 구경이 아니다. 그녀의 사진들은 사람을 끌어당기는 동시에 밀어내며, 불편하게 만드는 동시에 그 불편함이 대상의 상황 때문이 아니라 관람객 자신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버스 사진들 속 대상들은 그들의 영혼의 일부를 사람들앞에 놀랄만큼 무방비하게 드러내고 있지만 동시에 아무것도 이야기해주지 않는다. 사람들은 그 무방비함에 충격을 받고 매혹당하지만 그 비어있는 부분에 머물러 길을 잃고 만다. 그녀의 사진에서는 어떤 스토리도 찾을 수 없지만 대신 찰나의 이미지가 담을 수 있는 최대한의 깊이를 담고 있으며, 그것은 세상의 가치나 기준으로부터 자유롭다. 어쩌면 아버스의 사진이 담고 있는 수 많은 느낌들은 사람이 타인을 대할 때 느끼는 온갖 감정들을 풀어헤쳐놓은 것일지도 모른다. 사회의 관습이나, '이래야 된다'는 이성적인 태도나 내 자신이 지닌 내 역사가 배제된 정말 '날 것'의 느낌 말이다. 그리고 그 감정에서 끝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은 관찰자, 나, 자신이다.

 

 

아버스는 어떻게 이런 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 전기를 잘 읽지 않는 내가, 아버스의 전기를 찾게 된 것은 그런 이유가 제일 컸다. 나는 고흐를 이해하기 위해 고흐의 삶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치 않으며, 모차르트나 바흐의 예에서처럼 어떤 전기나 뒷이야기가 그 사람의 본 모습을 왜곡하거나 흐릿하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기란, 책 뒤의 저자의 말이나 추천서처럼 읽는 나의 느낌이나 감상을 왜곡시키거나 오염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몇 줄 글이 아니라 한 사람의 일생이라 더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작품들이나 행위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삶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는데, 그럴 땐 전기를 찾아서 그 사람의 객관적인 역사-작가에 의해 취사선택된 것이겠지만을 쫓아가보는 것이 좋은 방법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솔직히, 아버스의 경우는 그녀가 가정주부였다가 사진작가가 되었다는  점에 우선 흥미가 간 것도 사실이었다.

 

 

사실은, 아버스는 처음부터 사진작가였다. 그녀가 작품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 아버스 부인이 아닌 디앤 아버스가 되었지만 말이다. 부유한 어린시절, 유대계라는 것과 엄격하면서 다소 폐쇄적인 (중상류층의 교육들이 그렇듯이) 가정교육, 패션사진작가로서의 경력은 그녀가 디앤 아버스로서 거리에 나서 사진을 찍기 시작한 후의 결과물과 다 맞물려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녀의 사진의 힘은 그녀 내면의 힘이었다. 그리고 그 시절에 그런 내면의 힘을 지닌 이들이 그러했듯이, 그녀 역시 어두운 부분을 가지고 있기도 했고 결국 그것에 먹혀들였다. 전반은 유복한 소녀의 삶, 중반은 화려함, 그리고 말년에 있어서는 서서히 침몰해가는 배를 보는 듯했다. 그리고 그 시대에 세상을 창조적으로 보았거나 그에 기여한 사람들은 그런 결말을 맞곤 하는 것 같다. 매우 아쉽게도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에 쓰여진 어떤 스캔들이나 비극적인 결말이 그녀의 사진의 힘을 퇴색하거나 더 신비롭게 만들지는 않는다. 그러기에 아버스의 사진은 비린내가 난다. 그녀 마음속에 있던 어떠한 놀람과 떨림, 흔들림, 확신 그리고 재능이 그 순간에 담겨져 있다. 아버스의 사진 속 인물들은 당당하지만 보통의 소외계층을 찍은 사진과는 달리 친근감은 보여주지 않는데 그것은 아마 그녀 마음속의 생각 때문일 것이다. 그녀는 그들을 신화적인 존재로 생각했다. 이미 태어날때부터 시련을 겪어 완성된 인간으로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런 시각이 옳은가? 나는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생각이 그녀 사진에 어떤 힘을, 분위기를, 깊이를 부여해주고는 있다. 그 결과가 꼭-쌍둥이 사진의 부친이 보였던 태도처럼-마음좋은 것만은 아닐지라도 말이다.

 

 

유족들이 책을 좋아하지 않아서 책에서는 아버스의 작품 사진은 한 장도 볼 수 가 없다. 그게 가장 아쉬운 점이다. 아마 이 에피소드는 그녀의 사진속에 담긴 밀림과 끌림의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 같다. 그녀는 책 속의 내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없는 식구들과 함께 크고 자랐다. 그 점에 어떤 비난이나 납득이 없이, 사실이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