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의 비밀 - 호크니가 파헤친 거장들의 비법
데이비드 호크니 지음, 남경태 옮김 / 한길아트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데이비드 호크니는 특히 사진을 이용한 꼴라주 작업과 인위적으로 화면에서 깊이와 시선을 배제한 회화작품등으로 유명한 우리시대의 화가이다. 그는 1960년대 영국 팝아트계열에서 명성을 얻었다고 한다. 그 후 그는 특히 사진과 회화의 경계를 탐구하며 나아가 '그리는 행위'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이다)

 
David Hockney, Merced River, Yosemite Valley, 1982. (1992)


예술가의 초상 (1971)

그런 데이비드 호크니가 쓴 책 '명화의 비밀'은 우연찮게도, 아니 역시나, 회화의 역사중에 베르메르 같은 화가들이 보조적으로 채택하였다고 알려진 광학적 기구들의 도움이 좀 더 폭넓게 있었음을 증명하려고 한다. 특히 현대인의 입을 떡 벌어지게 하는 정밀한 묘사들에 있어서 말이다. 호크니가 주장하듯이 실제로 어느 순간에 있어 그림 그리는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은 단순히 개인이나 시대의 차이라 믿어졌지만, 호크니는 그것은 기술의 차이였다고 말한다.그리고 사진이 등장하면서, 정밀묘사의 가치는 떨어지고 인상파 야수파등 현실을 화가의 눈으로 해석한 그림들이 나오게 된다는 것이다. 어느 시대의 그림들은 기구를 이용한 모사이다-이것은 매우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져서, 이 주장에 대한 다큐멘터리와 비평들이 많이 쏟아져 나왔던 것이 생각난다.

호크니는 그것을 문헌적 증거보다는 특히 명화의 분석 그리고 자신이 화가라는 방법을 십분 이용한 재현으로 증명해보인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백마디 말보다 한 번 맛보기가 더 낫겠으나, 기술문제로(;;;) 해당 부분을 첨부하지 못해 아쉽다. 하지만 몇몇 분이 이미 그 부분을 알라딘에나 블로그에 올려놓으신 것 같으니, 찾아보면 될 것 같다. 어쨌든 책에 나온 앵그르의 드로잉, 비율이 이상한 그림들, 왼손잡이 모델, 카메라 옵스큐라를 이용한 실제 드로잉 장면들은 무척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호크니는 이것을 '단순한 모사'라던가 '사기'라고 말하고 있지 않다. 호크니는 그들이 광학적 도구의 도움을 받았을지라도 색상을 쓰는 방법이라던가 그림에 스민 대상에 대한 이해와 깊이, 개성은 화가들 고유의 것이라 말한다. 나는 그것에 크게 수긍한다. 호크니에게 처음 의혹을 불러일으켰던 앵그르와 실제로 도구를 이용한 증거가 남아있는 베르메르의 그림은 전혀 다른 느낌을 주니까. 그리고 어떠한 잘못된 신비나 미신보다는 정확한 이해와 분석이 결국은 그 가치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감상의 깊이 그리고 작품을 대할 때의 감동을 더 해 준다는 것은 원칙적으로 옳은 소리가 아닌가. 

그러므로 이 책이 주장하는 바가 분명 충격적이긴 하지만, 그것을 너무 충격으로 받아들여 낙담할 필요는 없다. 가설 자체에만 집중해본다면 개인적으로는 흥미로우며 어느정도 타당하다 생각하지만, 나는 전문가나 전공자도 아니고 사실은 그림에 대해서는 거의 무지한 이에 가까우므로 단순히 혹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비전문가들도 새로운, 흥미로운 가설과 그림을 읽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받는다는 점에서는 한 번 읽어볼만한 그리고 생각해 볼 만한 책과 주장이라 생각한다. 그림도 많으니 재미도 있다.

다만, 문제는 한 번 읽어보기엔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것. 책의 크기나 두께도 무기용으로 써도 손색이 없다. 그림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하여 증거를 제시하는 책이니 책이 이렇게 비싼 것도 이해는 간다. ...곤란한 점이 아닐 수 없다.

덧 ; 표지에 나온 그림은 데이비드 호크니가 실제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해 스케치를 하는 장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