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미스터리한 일상
와카타케 나나미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상 고사 상태의 한국추리소설계를 생각해 볼 때, 이웃나라 일본의 상황은 이 땅의 독자들에게 부러움을 일으키는 것이 사실이다. 좋은 작가들이 매우 다양한 주제의식과 스타일을 가지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일본 추리소설계의 힘은 무엇일까. 특히나 '나의 미스터리한 일상'같은 소설을 만날때면 그런 궁금증이 불쑥 솟아오르게 한다.

'나의 미스터리한 일상'은 말 그대로 일상의 미스터리를 추척해 나가는 '코지 미스터리'의 일종이다. 작은 단편들로 이루어진 이 작품 속에는 괴담도 있고, 살인사건도 있으며, 너무 사소해서 슬며시 미소를 짓게 만드는 동네 야구팀의 음모(^^)에 관한 것도 있다. 그리고 어떤 종류의 미스터리이던지 간에 손에 땀을 쥐게 만들기보다는 마치 친구들끼리 밤을 새며 나누는 이야기처럼 조근조근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조근조근한 이야기라서 흡인력이 덜한 것이 아니다. 잠들어 있던 친구도 어느새 깨어 무릎걸음으로 다가와 '그래서? 그 다음엔? 어떻게 되었어?'라고 물어올 것만 같은 부드럽지만 결코 느슨하지는 않은 흡인력이 이 안에 있다.

무엇보다도 이 작품을 '한나절 읽기에 즐거운 작품'에서 '아, 대단한 미스터리!'라고 생각케 만드는것은 독자의 키를 뛰어넘는 작가의 야심일 것이다. 작가가 각 단편들마다 그리고 작품 전체에 뿌려놓은 그물망이 생각보다 촘촘했구나 라고 깨닫는 순간은 마치 친구들끼리 밤새워 이야기를 나눈 다음 날 아침 '가만 생각해보니 한 사람이 더 많았던 것도 같다'는 생각이 들 때처럼 은근히 신경쓰이는 뒷맛을 남긴다. 

힌트를 주자면, 작은 것 하나라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속는 것을 즐기는 독자라면 뒤에 쓰인 작품 해설부터 읽어서는 아니된다. 작품 해설에 강력한 스포일러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소설의 가장 결정적인 재미에 대한 힌트가 거기에 있다. 그렇다고 해서 작가의 조분조분한 말솜씨에 넘어가지 않으려고 각을 세울 필요는 없다. 첫 술은 천천히 느긋하게 즐겨야 소화도 잘 된다. 머리를 싸매게 되는 것은 두번째 부터라도 좋지 않을까. 그리고 이 작품을 이루고 있는 단편들에도 이 작품에도 두뇌회전을 강력히 요하는 트릭은 별로 없으니 첫술에 배부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독자는 작가를 이겼으면 하는 동시에 작가가 너무 쉽게 져주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는 법이 아니던가. (어, 나만 그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