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육에 이르는 병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아비코 다케마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시공사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추리소설 리뷰는 쓰기 어렵다. 특히 이 소설처럼, 반전의 묘미가 살아있는 소설일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진정한 반전의 묘미란 것은 단순히 모자에서 토끼를 꺼내는 마술처럼 뜻밖의 결말을 독자앞에 짠 하고 펼쳐놓는 일 이상의 의미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살육에 이르는 병> 은 단순히 기술적인 의미에서의 '독자 속이기'가 아닌 책 전체의 내용과 사상을 관통하는 날카로운 창과 같은 진정한 의미의 반전의 묘미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기에 소설의 결말을 시원하게 밝혀 그 의미를 하나하나 세세히 짚어보지 못함이 아쉽고 동시에 혹 리뷰에서 결말로 연결되는 자그마한 실마리 하나라도 노출될까 싶어 마음이 많이 쓰인다.  하지만 또한 리뷰를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게 만드는 작품이기도 하다.

부끄러운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지만,  나는 사회파건 신본격이건 간에 일본의 현대 추리소설에 대해서는 크게 신뢰가 없는 편이다. 신본격의 대표작가라 할 수 있는 아야츠지 유키토에게는 실망했고, 현대 일본 추리소설의 대표작가라 할 수 있는 미야베 미유키나 히가시노 게이고에게는 흥미가 당기지 않는다. 사회파 소설들에게는 어딘지 모르게 추리소설의 황금시대 작품들에게 느낄 수 있는 작가와의 두뇌싸움의 재미가 덜 한 것 같고, 신본격 소설들은  작가 손바닥 위의 추리게임 이상이 아닌 것 같다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래서 '대단하다'는 소문을 진작부터 듣고 있었던 이 작품에 대해서도 크게 기대가 없었다. 결정적으로 이 소설을 읽게 된 이유는 입소문 보다는 19금 빨간 딱지와 개인의 리뷰들마다 나타난 '혐오와 찬탄의 혼란' 때문이었다. 소설이 얼만큼 '사실적으로 잔인한' 묘사를 할 수 있을까? 추리에 대한 흥미보다는 그 편이 컸다. 

그런고로, 다소 설렁설렁하게 이 책을 펼쳐들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첫장부터 펼쳐지는 흡인력 강한 묘사와 스피디한 사건의 진행, 그리고 소문대로 잔인한 묘사에 어느순간부터 허리를 세우고 앉아 이 소설을 읽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도 시점이 복잡하다고 해도 좋을 만큼 자주 바뀌고 있음에도, 그런 변화가 소설의 속도를 조금도 떨어트리지 않고 읽는 사람의 집중력을 조금도 흐트러지지 않는다. 게다가 마지막 장을 읽는 순간, '아 이렇게 쓰니 재미있네'하는 정도의 감상을 주었던 시점의 변화야 말로 소설을 관통하는 가장 강력한 트릭이며, 소설을 가능케 한 일본 나아가 현대 사회에 대한 작가의 시선임을 깨닫게 된다.

중간중간 나오는 잔인하고 직설적이며 무미건조한 묘사 때문에 뒷맛이 좋지 않은 이도 분명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그런 반응이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잔인한 묘사 때문에 이 소설을 놓치거나, 이 소설을 다시 보지 않는 우를 범하진 말아야 할 것이다. 두 번째, 세 번째, 잔인한 묘사와 끔찍한 상황의 벽을 기어오르며 몇 번이고 다시 읽는 동안 이 소설의 진정한 매력과 가치를 느낄 수 있을 테니까. 아니, 이런 말은 필요 없을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은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듯이, 마지막 장을 읽는 순간 첫번째 장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다. 정말 대단한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