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낙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불안한 낙원
헤닝 만켈 지음, 김재성 옮김 / 뮤진트리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그녀는 오랫동안 침대에 누워 세뇨르 바즈의 눈빛에서 발견한 두려움에 관해 생각했다. 어머니, 아버지에게서는 그런 두려움을 보지 못했었다. 스웨덴에도 물론 상류층이 있었지만 그들과 함께한다는 것은 두려워할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여기는 달랐다. 여기는 모두가 두려워했다. 다만 백인들은 침착과 자기절제, 또는 사전 계획된 분노의 폭발 같은 가면 뒤에 두려움을 감출 뿐이었다.   

그녀는 생각했다. 나는 왜 두렵지가 않지? 두려워할 사람이 하나도 없기 때문일까? 완전히 혼자여서?  

 - p.160~161

       

"세상에는 세 가지 부류의 사람들이 있다.

죽은 사람들, 살아 있는 사람들,

그리고 바다를 항해하는 사람들이다." (플라톤)

- 책 머리에서

      

헤닝 만켈의 <불안한 낙원>은 여러 결로 읽을 수 있는 이야기같다. 한 여성 자아의 성장, 혹은 진정한 사랑찾기에 대한 이야기로 읽을 수도 있을 것이고, 제국주의 식민지 시대의 아프리카의 현실을 드러내주는 이야기로 읽을 수도 있을 것이며, 보다 더 여성적인 관점을 포함한, 다시 말해서 주인공 한나와 그의 어머니 엘린, 그리고 베르타, 백인 남성과 결혼한 흑인 여성 이사벨, 펠리시아를 비롯한 매음굴 여성들, 테레사 등등의 수많은 여성들의 목소리에서 나타나는 '여성'이라는 존재의 삶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이야기로 읽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혹시 더 나아가면 이 '불안한 낙원'이라는 명칭이 말해주는 어떤 비유와 은유에 대해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실 읽으면서 계속 느낀 것은 이 이야기들이 어떤 실체를 가진 무엇이라기보다는 단지 비유와 상징으로 가득한 어떤 신화처럼 느껴지기도 했는데, 그것은 소설 속의 이야기들이 비현실적이어서가 아니라 - 해닝 만켈은 책 뒤의 후기에서 이 이야기가 실제의 기록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 어쩌면 내가 전혀 알 수 없는 세계, 즉 20세기 초반의 스웨덴과 아프리카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서, 즉 그만큼 나의 지식과 상상력이 협소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이것을 두려움에 대한 이야기로 읽고 싶은데, 위의 인용문에 나오듯, 한나가 어쩌다 머물게 된 아프리카의 포르투갈령 로우렌소 마르케스(현재의 모잠비크)에서는 흑인과 백인 모두가 서로를 두려워한다. 흑인들은 백인이 가진 공권력과 폭력을 두려워하며, 백인들은 흑인들 내부에 오랜 억압으로 응축되어 있는 분노를 두려워한다. (그것을 한나의 표현대로 '그들의 숫자'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숫자가 많을수록 그 안에 응축된 분노의 수도 많아지는 법이니까) 다만 (위의 인용문에도 있듯이) 백인들은 그것을 가면과 위선 속에 숨기고 있을 따름이다. (예를 들어 백인들이 '흑인들이 모두 거짓말쟁이'라고 치부하는 것이나, 그들 나름의 전통적인 사고방식, 의술, 주술 등을 미개한 것이라고 꺼려하는 것도 마찬가지 맥락일 것이다. 우리의 어떤 것에 대한 꺼림 속에는 사실 은밀한 두려움이 늘 내재해 있는 법이니 말이다.) 백인들은 백인들만이 출입할 수 있는 소위 문명화된 공간이 있으며, 흑인들은 또 백인이 더럽고 위험하다며 가까이 오려하지 않는 자신들만의 나름의 공간이 있다. 심지어 같은 공간에 있어도 백인들과 흑인들은 같은 벤치에 앉지 못한다. 백인들이 앉아있을 때는 흑인들은 서 있어야 한다. (한나가 아프리카에서 가장 먼저 이상하게 생각했던 점도 이것이었다.) 그것이 그곳의 법칙이다.

 

그런 법칙이 예외가 되는 공간이 있다. 한나가 머물고 있는, 그리고 어느 틈에 한나의 것이 된 세뇨르 바즈의 매음굴. 그곳에서는 흑인과 백인이 같이 한 공간에 머물며, 같이 잠자리에 든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백인 남성이 흑인 여성에게 돈을 주고 그 댓가로 성적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물론 사실 이것은 '법칙의 예외'라고 보기 힘들며, 일종의 역설이다. 아프리카에서 흑인과 백인이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을 수 있는 공간이 매음굴이라는 어떤 아이러니. 그래서 어쩌면 한나는 그곳이 매음굴임을 알면서도 그 곳에서 떠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한나가 처음 이곳에 투숙하게 된 것은 그곳이 단순한 호텔이라고 잘못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지만, 한나는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에도 이 곳을 쉽게 떠나지 않는다. 어쩌면 그 곳이 흑인 여성들과 가장 가까이에서, 혹은 위선적인 백인사회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 공간이었기 때문은 아닐까. 한나는 서로가 서로를 두려워하는 외부의 공간을 불편하게 생각하며, 매음굴에 가득한 흑인 여성들 사이에서 묘한 동질감과 안도감을 느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한나는 그곳을 그렇게 명명했는지도 모른다. 불안한 낙원. 여자들이 자카란다 나무 아래 앉아있고, 제가 피아노로 돌아가 끝나지 않을 것만 같은 조율을 계속하며, 침팬지 카를루스가 붉은 소파에 앉아 입술을 요란하게 두드려가며 오렌지를 먹는 곳. 그러나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다. 그곳은 낙원은 낙원이되, '불안한' 낙원이라는 점. 그 곳이 '불안한 낙원'이라는 것은 그 뒤에 붙여진 이야기들이 말해준다. 매음굴 가운데에 있는 자카란다 나무 밑이 사실은 수많은 아기들의 공동묘지였다는 사실. 매음굴에서 태어난 불행한 아이들, 그리고 당연하게도 모두 흑백혼혈일 수밖에 없는 그 수많은 아이들이 그곳에 아무도 모르게 묻혔다. 아이들은 추악하지 않지만, 그 아이들을 그렇게 잉태시킨 수많은 백인들은 추악하다. 그들이 만들어낸 수많은 위선과 기만과 폭력의 산물들이 그렇게 감히 '낙원'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이 매음굴 아래에 묻혔다. 그리고 그것은 사실 이 매음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국주의 시절 백인들은 수많은 식민지에 온갖 거짓과 폭력과 위선을 행했으며, 그 결과물로 만들어진, 그들이 잉태한 추악한 부분들을 기꺼이 그 땅 속에 깊숙이 묻었다. 열대야자수가 늘어서 있는, 그들이 처음에 '낙원'이라고 불렀던 그 땅에 말이다.

 

그러니까 이 매음굴은 일종의 식민지 아프리카라는 공간의 상징이며, 동시에 어떤 경계선이다. 많은 것들이 그 내부에 깊숙이 들어가 있을 때는 보이지 않는다. 어떤 것들은 경계에 섰을 때만이 볼 수 있다. 한나가 처음 아프리카에 도착했을 때 백인 사회로 깊숙이 들어가 버렸다면 그녀는 아마도 다른 것을 보고, 다른 삶을 살았을 것이다. 그녀는 대신에 불안한 낙원, 흑백 혼혈아기들이 묻힌 이곳에 있는 유일한 백인 여성으로서 다른 어떤 것들을 보았고, 그 결과 다른 사람이 되었다. 그것을 단지 우연이라고만 말할 수 있을까. 아버지와 어머니가 물려주신 이름, 한나 렌스트룀에서 선상요리사 한나 룬드마르크로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매음굴을 운영하는 세뇨라 바즈에서 이제 다시 스스로 선택한 이름, 아나 브랑카로. 이 이름들의 변화는 누군가의 보호 속에서 존재하는 여성에서 이제 스스로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주체로서의 여성이라는 주인공의 변화를 말해주면서, 동시에 이 여성이 계속 서 있던 위치에 대해서, 그리고 그 위치의 공통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타인에 의해서든,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서든, 혹은 어떤 우연의 결과물이든 간에 그녀는 항상 경계에 서 있었다. 강력한 추위가 지배하던 땅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 서 있던 그녀는 이제 죽은 사람도 아니고, 살아 있는 사람들도 아닌, 바다를 항해하는 사람들(위의 플라톤의 말)이라는 또다른 의미에서의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 서 있는 인물이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흑과 백의 경계선에 서 있는 매음굴의 여주인에서 다시 더 나아가 흑인 사회와 백인 사회의 경계선에 스스로를 위치시킨다. 그녀는 기만과 위선이 존재하는 백인 사회에서 매음굴의 백인 여주인이라는 이유만으로도 떨어져 나와있지만, 본인 스스로, 남편을 죽인 흑인여자를 구명하려 함으로써 그 사회와 더욱 확실하게 경계선을 긋는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녀가 흑인 여성들 사이로 완전히 들어갈 수는 없다. 그녀와 매음굴의 흑인 여성들 사이에는 여전히 (침묵이라는) 경계가 남아있으며, 그녀는 그 경계선 위에 위태롭게, 혹은 불안하게 서 있다. 침팬지 원숭이 카를루스처럼. 어쩌면 그녀가 침팬지 카를루스에게 애착을 느끼는 것은 그것도 어떤 경계선 위에 서 있다고 생각해서 일지도 모른다. 동물과 인간의 경계에 있는 침팬지. 숲에서 태어났지만 인간사회에 너무 깊숙이 동화되어 숲으로 돌아갈 수 없는 침팬지. 그리고 하늘에 있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땅에 있을 수도 없는, 땅 위의 나무에 있거나 천장에 매달려 있는 침팬지. 

 

하지만 땅에 닿는 순간 카를루스는 마치 발을 데기나 한 것처럼 움찔했다. 그리고 코를 킁킁대더니 잽싸게 문밖으로 나갔다.  

한나는 놀라 카를루스를 바라보았다. 왜 나무 아래 땅바닥을 두려워하는 것일까? 전혀 짐작되지 않았다. 카를루스는 아무렇지도 않게 그녀 옆에 앉아 차창 밖의 해풍이 얼굴을 어루만질 때마다 이를 드러내고 웃었다.  

- p.216

 

그러므로 이 책의 결말은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경계 근처에 온 사람, 혹은 경계에 서 있는 사람만이 경계 너머를 들여다보고 그 경계를 넘어 탈주할 것을 소망할 수 있으니. 사실 어쩌면 처음부터 그녀는 추운 겨울 나무벽 사이로 꿈틀거리던 냉기가 느껴졌던 그 때부터 그 경계 너머의 삶을 꿈꾸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모르겠다. 그녀가 행복했기를 빈다. 경계 너머의 삶 속에서.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1-21 02: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22 00: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이리시스 2016-01-21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불안한 낙원이다^^

맥거핀 2016-01-22 00:28   좋아요 0 | URL
썼습니다. 그런데 막상 다 읽고 나니 무슨 말을 하면 좋을지 잘 정리가 안되는 소설이었습니다. 느낌이 독특했어요. 그런데 아무튼 좋았습니다.^^

2016-01-27 02: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27 22:5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