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독 밀리어네어 - Slumdog Millionair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스포일러 그 자체인 글이니 영화를 보실 분들은 읽지 마시길 바랍니다.)




영화를 본 후 마음 편하게 몇 개의 리뷰 글들을 읽었다. 리뷰 글들은 다양하나 크게 두 갈래로 갈리는 듯 하다. 하나는 인도의 현실을 묘사한 잘 만든 영화이고, 충분히 아카데미상을 받을 만하다는 의견, 그리고 다른 하나는 잘 만든 영화이기는 하나 상을 받을 정도는 아니다, 평범한 할리우드산 성공스토리에 불과한 이 영화가 상을 받은 것은 아카데미의 오리엔탈리즘적인 시선이 개입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다. 또 한편으로 각색의 아쉬움을 지적한 글도 있었고, 이야기의 얼개가 잘 짜인 잘 만든 영화에 더 무엇을 논하느냐는 의견도 있다.

글쎄. 읽다보니 이것도 맞는 얘기 같고, 저것도 맞는 얘기 같아서 약간은 어리둥절하기도 하지만, 몇 가지는 저것은 좀 이상한데..라고 느껴지는 것도 있다. 먼저 각색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은 나로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원작을 전혀 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영화와 같이 책(소설)이 원작이고, 그것을 영화화할 경우, 그 영화들이 받는 부당한 공격들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책과 영화는 그 매체적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인간의 상상력으로 활자의 나머지 공간들을 채워 나가야 하는 소설과, 그 상상력이 하나의 화면으로서 제시된 영화가 같아야 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인간의 상상력을 모독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것을 지적하는 사람들은 단지 영화가 책의 일부로서 거대한 삽화가 되기를 기대하는 것인가? 글쎄. 나로서는 도리어 소설의 빈공간들을 채워넣지 못하고 평이한 재현(재해석이 아니라)으로만 끝나는 영화들에 대해 찬성하기는 힘들다.

그리고 또 다른 의견, 과연 이 영화가 아카데미상을 받을만 한가, 이것은 할리우드의 오리엔탈리즘적인 시선이 가미된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 일반적으로 말하는 오리엔탈리즘은 아마도, 동양의 사상이나 문화가 비정상적이고, 비합리적이며, 열등한 것이라는 시선, 따라서 합리적이고, 정상적인 서구의 지배를 받는 것이 당연하다는 시선을 의미하는 것일게다. 그리고 그런 시선에서 본다면, 그리고 이 영화가 서구의 영화감독 대니 보일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지적한다면, 그렇게 보이는 몇몇 장면들이 있음 또한 사실이다. 이의 대표적인 장면으로 힌두교도들이 회교도들을 습격하여 주인공 자말의 어머니가 죽는 장면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아무것도 설명되지 않는다. 인도의 역사에서 힌두교와 이슬람교 사이의 얼마나 오랜 대립이 있어왔는지, 이런 습격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 어떤 맥락도 설명되지 않는다. 심지어는 그들을 습격하는 자들이 힌두교도라는 것도 설명되지 않는다. 그저 그들은 습격하고, 어머니는 죽고 자말과 그의 형 살림은 내달릴 뿐이다. 이것은 마치 동양에는 이런 비상식적이고, 잔인한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는 그런 인상을 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와 반대되는 장면도 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장면인데, 타지마할에 방문한 서양관광객을 자말이 멋지게 속여먹는 장면이다. 또 장엄하게 느껴지는 거대한 빨래터를 묘사한 장면도 있다. 왠지 이 영화는 오리엔탈리즘적인 것과 그의 반대로서 옥시덴탈리즘적인 것이 혼합되어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어쩌면 감독은 이 두가지를 혼합함으로써 영화의 중심을 잡아보려고 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극과 극의 시선은 버무려지기 힘든 것이다. 물과 기름을 혼합하면, 그 사이의 층만 도드라져 보일 뿐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영화가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데에는 작년 작가협회 파업으로 아카데미상이 차분히 지나갔던 것에 대한 반동적인 의미와 아카데미상을 좀 더 세계적인 영화 축제로 만드려는 할리우드의 시선이 혼합된 결과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그런 것들이 의외의 일본 영화 <굿' 바이>에게, 수상이 유력해 보였던 <바시르와 왈츠를>을 제치고 외국어영화상을 안기고, 이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에게 작품상을 수여하는 모험을 하게 만든 원동력이 아닌가하고 쓰잘데 없는 음모론을 생각해보게 만든다. 사실 <밀크>, <프로스트 VS 닉슨>은 아직 보지 않았으니 논외로 하더라도, 나 같아도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나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보다는 이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에 작품상을 주었을 것 같다. <벤자민..>은 기대보다는 훨씬 평이한 스토리에 너무나도 할리우드 산 느낌이 물씬 난다는 점에서, <더 리더>는 얼마전 이스라엘의 침공이 문제가 되었던 시점에서 또다시 제노사이드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점에서, <슬럼독..>을 선택하는 것이 신선하고도, 안전한 선택처럼 느껴진다는 것이다. 

..................................................
 

이 영화가 잘 만들어진 영화임은 부인하기 어렵다. 퀴즈쇼가 하나의 액자로서 기능하고, 그 안에서 자말의 이야기가 들어왔다 나왔다하며 전개되는 이 영화는 자칫 잘못 만들었으면, 복잡하고 어지러운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고, 영화의 줄기를 잡아내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자말의 이야기와 퀴즈쇼를 버무려내는 솜씨가 좋다. 아카데미 작품상까지 단언할 수는 없으나, 편집상 정도는 얼마든지 줄 수 있다. 그러나 잘 만들었다고 해서, 이야기가 매끄럽다고 해서 좋은 영화인가라는 물음에는 고개를 갸웃거리게 된다. 만약 그렇다면 레니 리펜슈탈의 <의지의 승리> 도 좋은 영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이야기는 사실 자말을 둘러싼 이야기만 놓고 본다면, 시쳇말로 쌍팔년도 스토리이다. 어렸을 때 고아가 된 두 형제가 한 소녀를 만나고, 그 소녀를 동생은 사랑하게 되고, 형은 조직으로 들어가고, 동생은 그 소녀와 헤어지게 된다. 그런데 하필 소녀가 그 조직 보스의 정부가 되고, 개과천선한 형은 소녀를 꺼내주고 장렬한 죽음을 맞고, 동생은 소녀와 천년만년 잘 산다는 그런 이야기. 뭐 이 스토리를 비난할 생각은 없다. 누군가의 말대로 아무리 쌍팔년도 스토리라도 잘 만들어졌다면 아카데미 작품상 그 이상도 얼마든지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사뭇 신파조의 스토리를 신파가 아닌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 이 이야기의 노련한 점이다. 바로 그 이야기를 둘러싼 퀴즈쇼. 이것이 하나의 액자가 되고, 거대한 맥거핀이 되어 이야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나도 이 때까지는 영화를 즐기며 재미있게 보았다. 그러나 이 맥거핀은 점점 커져 급기야는 퀴즈쇼와 자말의 이야기는 하나로 결합되며, 급기야는 퀴즈쇼가 자말의 이야기를 삼키려 든다. 여기서부터 조금은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든다.

이상하다는 느낌이 든 것은 사회자가 퀴즈에 개입하려 든 순간부터이다. 그리고 그 때까지 자신의 예전의 경험을 토대로 문제를 맞춰나가던 자말에게 경험이란 사라져 버렸다(즉, 경험의 문제는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자말은 사회자와 심리게임을 하며 한 문제를 찍어서 맞추고는 마지막 문제도 찍어서 맞춘다. 그리고 관객이 잊고 있었던 처음 문제의 해답에 대한 자막이 마지막에 제시된다. 자말이 이 모든 문제를 맞추고 우승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It is written' 운명이었다. 운명이었다? 운명이었다라니. 결국 그의 운이라는 것인가.

나는 물론 모든 퀴즈 프로그램은 운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상식이 풍부한 사람이 더 많이 맞출 확률이 올라간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 확률의 영향은 생각 이상으로 미미하다고 본다. 아무리 상식이 풍부한 사람이라도 모든 분야의 모든 문제의 해답을 다 알 수는 없다. 아무리 많이 아는 사람이라도 그가 모르는 문제가 출제되면, 그는 틀릴 수 밖에 없다. 그럼 많이 아는 분야가 출제되면 되지 않느냐고? 그래, 하지만 그것 또한 운이다. 퀴즈는 어떤 의미에서는 로또와 비슷하다. 자신이 선택한 번호가 선택될지 않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가끔 로또 번호를 분석한다 어쩐다 하는 사람들을 보는데, 정말 이해하기 힘들다. 그들이 로또 번호를 분석한다는 것은 그 로또의 우연성과 불규칙성을 믿고 있지 않음을, 거기에 어떤 무언가가 개입되고 있는 불공정한 게임이라고 믿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나는 반면 로또의 우연성을 100% 믿는다. 그래서 가끔 로또를 산다. 나의 운을 시험해보기 위해. 그리고 가끔 퀴즈 프로그램도 열심히 본다. 나의 운을 가늠해보기 위해. 그러나 이 영화는 영화 내내 자말이 이 해답을 맞추게 되었던 것이 그의 삶 때문이었다고 항변하고는 마지막에 슬그머니 사실은 운이 좋아서..라는 이상한 결론에 도달한다.

이야기가 조금 딴 길로 샜지만, 내가 이 영화에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은 이 영화가 퀴즈의 해답으로서 제시한 이 마지막 메시지에 있다. 자말이 백만장자가 된 것이 그의 운명, 그의 운이라니. 그렇다면 그의 형 살림이 총을 맞아 죽어간 것도 그의 운 때문이고, 백만장자가 된 자말에 환호하면서도 흙길을 맨발로 달리고 있는 가난한 인도의 아이들이 이렇게 살아가는 것도 그들이 단지 운이 없기 때문인가. 이것에는 정말 동의하기 힘들다. 자말은 마지막에 이 문제들을 틀렸어야 했다. 왜? 그는 이 해답을 모르기 때문이다. 뭐 돈 다 잃으면 어떤가. 그의 곁에는 라티카가 있는데. 그렇다면 나는 이 마지막에 기꺼이 박수를 보냈을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9-04-23 19: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영하의 소설 '퀴즈쇼'가 생각나는 영화였어요.
지혜의 힘을 빌려 우연과 맞서는 인간의 운명을 시뮬레이션한 퀴즈쇼..
우리는 어딜 가나 똑 같고 세월이 흘러도 마찬가지이고 사람은 변하지 않고..
그저 신이 다 짜놓은 각본일까요..
늘 좋은 리뷰 잘 읽고갑니다.

맥거핀 2009-04-26 00:46   좋아요 0 | URL
글쎄요. 모두 신이 다 짜놓은 각본이라고 한다면 사는 재미가 없지 않겠습니까.^^
자신의 운이나, 정해진 운명같은 것은 없다고 믿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 영화가 조금은 맘에 안들은 건지도 모르지요.
끌끌...늘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