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사의 결절점(critical juncture)

   역사의 신이 낡은 기득권 세력과 새로운 미래 세력을 구분해 내는 결정적 국면을 일컫는다.

 

2. 브래들리 효과(Bradley effect)

   1982년 캘리포니아 주지사에 출마한 흑인 후보 토마스 브래들리는 여론조사에서 앞섰지만 결국 백인 후보에게 졌는데, 백인들이 인종적 편견을 감추기 위해 여론조사 때는 브래들리를 지지한다고 해놓고 실제로는 백인 후보에게 표를 던진 것에서 유래. 미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 된 것도 같은 맥락. 여론조사의 부정확성, 이를 테면 미 유권자들의 0.00001%를 조사하는 것에 불과한 여론조사의 문제점을 지적. '보고 싶은 것'과 '희망사항'이 아닌 '보아야 할 것'과 '현실'을 직시해야 할 때.

 

3. [대통령의 오판]

   미 대통령의 실수를 다룬 책. 실패의 법칙을 다음과 같이 정리.

   첫째, 대통령은 자신의 능력과 인기를 과신한다.   둘째, 참모들이 정보를 왜곡한다.   셋째, 결국 모든 책임이 대통령에게 돌아온다.

 

4. 언더도그 효과

    언더도그는 투견싸움에서 '밑에 깔린 개'. 지고 있는 개가 강한 개(Topdog)를 이겨주기를 바라는 것처럼 '경쟁에서 뒤처지는 사람'에게 동정심이 이는 효과. 맬컴 그래드웰은 [다윗과 골리앗]에서 가난, 장애, 불운 등을 딛고 승리를 거머쥔 언더도그들의 반란을 다룸. 그는 "기득권의 룰을 깨고 역사의 수레바퀴를 돌리는 사람들은 불리한 조건에 놓인 약자"라며 "그들에게는 위대한 승리의 기술이 있다"고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