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일리치의 죽음 펭귄클래식 28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은정 옮김, 앤서니 브릭스 서문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라틴어 표현 중에 '메멘토 모리(mememto mori)'라는 말이 있다.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라'라는 뜻으로, 인간의 유한성을 의미한다. 참 공평하기도 하지, 빈부의 차이나 지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차등을 두어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죽음'은 어느 누구를 비켜가는 일 없이 똑같이 마딱뜨리는 필연이다. 그렇다면 차이는 '어떻게 살았느냐' 또는 '어떻게 죽을 것이냐'의 문제일 터. 이 문제에 대한 깊은 사색을 요하는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짧지만 긴 여운을 남기는 작품이다.

 

이반 일리치는 좋은 집안에서 태어나 좋은 교육을 받고 엘리트 코스를 밟아 판사의 자리까지 올랐다. 그는 공평무사하게 판결을 내렸음을 자부하고, 남의 여자를 탐한다든지 부정한 짓은 하지 않는 등 꽤 괜찮은 공직생활을 해왔다. 그런 그가 병에 걸렸고, 고생 끝에 죽었다. 이제 그의 삶을 좀 더 깊이 들여다 볼 차례. 그의 삶은 행복했던 것일까? 그의 죽음은 가족과 친구들의 애도 속에 축복을 받으며 진행되었을까? 톨스토이는 투병과 사망에 이르는 과정을 '장편소설에서 구사했던 유려하고 묘사적인 장문 스타일을 버리고 이 소설에서는 내내 빠르고 사무적인 톤과 속도감(19쪽)'으로 생생하게 묘사한다. 서문을 쓴 앤서니 브릭스는 간단하게 요약한다. 이렇게.

 

병 자체를 보기 전에 이반 일리치의 생활방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톨스토이가 미묘하지만 초지일관 그려낸 그의 생활 방식은 무미건조하고 메마르며 무용한 것으로, 돌아봤을 때는 후회의 대상이요, 사고할 줄 아는 사람이 밖에서 보면 경멸의 대상이다. 16쪽

 

이반 일리치가 죽었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그의 동료들 반응 또한 씁쓸하다. 꼭 이반 일리치와 그 동료들이 아니었더라도 공직 사회에서 있을 법한 속물 근성을 딱히 부정할 수 없으므로 더 씁쓸하다.

 

이반 일리치는 방 안에 모인 신사들의 동료였고, 그들 모두 이반 일리치를 좋아했다. 이반 일리치가 병을 얻어 자리에 누운 지 벌써 몇 주가 지났고, 사람들은 그런 그를 두고 불치의 병에 걸렸다고들 했다. 그의 자리는 그가 돌아올 때를 대비해 아직 공석으로 남아 있었지만, 만약에 그가 사망할 경우 알렉세예프가 그의 자리로 가고, 알렉세예프의 자리엔 빈니코프나 시타벨이 임명될 것이라는 설이 공공연히 나돌고 있었다. 때문에 셰베크의 집무실에 모여 있다 이반 일리치의 사망 소식을 접하게 된 신사들은 하나같이 머릿속으로, 이반 일리치의 죽음이 자신과 동료들의 자리 이동이나 승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하고 계산하기에 바빴다. 30쪽

 

병이 진전되고 커지면서 이반 일리치는 더 큰 결핍을 느낀다. 그가 느낀 감정은 아버지이기에, 가장이기에 감정에 솔직하지 못했던 한국사회의 많은 남자들에게 공감될 수도 있다. 그 사실이 슬프지만... 

 

오랫동안 고통스러운 병마에 시달리고 난 뒤 때때로 이반 일리치는, 사실대로 고백하기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었지만, 누군가 자신을 아픈 아이 대하듯 그렇게 가엾게 여겨주기를 그 무엇보다 간절히 소원했다. ~그는 자신이 중요 직책을 맡은 관리인데다 벌써 수염이 희끗희끗해 가는 나이이기 때문에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111쪽

 

'난, 내가 조금씩 조금씩 산을 내려오는 것도 모르고 산 정상을 향해 나아간다고 믿고 있었던 거야, 정말 그랬어. 세상 사람들이 보기엔 산을 오르는 것이었지만, 실은 정확히 그만큼씩 내 발밑에서 진짜 삶을 멀어져 가고 있었던 거지.....  그래, 이제 다 끝났어. 죽는 일만 남은 거야.'  131쪽

 

무엇을 후회하는 것일까. 무난하게 살아 오지 않았던가. 무난하게? 이것이 문제가 아닐까. 더 사랑하고 그 사랑에 몸앓이, 마음앓이도 하면서 인생의 희노애락을 더불어 느끼는데 게을리 한 게 후회의 근원이 아닐까. 예컨데, 이면에 감춰져 있는 억울함을 보듬어 주지 않고 판사로서의 기계적인 법령 해석으로 '무난한' 판결을 내렸을 때, 그것이 용납되어졌다 할지라도 과연 정의라고 말할 수 있을까. 단지 바람을 피우지 않고 크게 다투지도 않으면서 '무난하게' 결혼 생활을 유지한다고 해서 그걸 가지고 가정에 충실했다고, 행복한 가정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잘 죽기 위해서는 잘 살아야 한다는 진리, '잘못 산 인생은 편안한 죽음에 장애가 된다(17쪽)'는 톨스토이의 철학이 이반 일리치를 통해 구현된 작품이다.

 

 

- 참고로 접어둔 페이지

 

사랑이란 주제를 놓고 보자면, 그는 도스토옙스키의 이성적 이론가 이반 카라마조프처럼, 인류 전체를 사랑하는 것은 쉽지만 옆집에 사는 이웃을 사랑하기가 몹시 힘들다고 깨달은 듯이 행동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아내와 가까운 지인들을 무자비하게 대한 톨스토이의 처사는 그의 명성에 흠으로 남아 있다. 서문 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