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신발 이야기 좀 해야겠다. 역시 이 이야기의 시작은 고 이윤기 선생의 '신발론'을 빌려오는 편이 좋겠다. 선생은 동서를 막론하고 신화나 전설에는 신발 이야기가 자주 나온다고 하면서 '신발을 잃어버린 사람 이야기, 잃어버린 신발을 되찾는 사람 이야기, 강가에 신발을 벗어 놓고 투신 자살하는 사람 이야기, 신발을 단서로 잃어버린 사람을 찾아 내는 사람 이야기.' 등등을 제시하면서 우리에게 신발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리스 영웅들인 모노산달로스(외짝신 사나이) '이아손', 신발로 아버지와의 신표를 정한 '테세우스'이야기 부터 삼국지의 유비, 달마대사, 콩쥐팥쥐, 신데랄라, 구약의 모세 이야기까지 신발과 관련한 다양한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결국 나와 대지(땅) 사이에 있는 신발은 나를 나타내는 징표이자 자아이면서 나의 과거이고 현재이자 나아가 미래가 아니냐는 암시를 준다.

 

고 이윤기 선생의 '신발론'에 전적으로 공감하면서 오늘 '신발 스타일(shoes style)'의 포스터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랑의 스파이, 1985]

 

 

 

톰 행크스가 출연하는 이 영화의 원제는 [외짝 빨간 신을 신은 사나이(The Man With One Red Shoe)]이다. 신발은 한짝인데 운동화 끈 끝이 마치 도화선처럼 불꽃을 일으키고 있는 재미난 포스터다. 보통 영화의 제목을 크게 부각시키는 것이 상식인데, 이 포스터는 제목도 잘 살피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다. 도대체 어떤 영화일까? Daum 영화의 줄거리를 살펴 보자.

 

모로코에서 미 CIA 요원이 마약 밀매에 관련되어 체포된다. 그러자 국회 상원 특별위에서는 CIA 국장 로스(찰스 듀닝 분)에게 이에 관해 해명할 것을 요구한다. 한편, CIA 국장 자리를 노리던 쿠퍼(다브니 콜만 분)는 기회를 놓칠세라 사방에 도청장치를 해놓고 로스를 감시한다. 그러나 맹한 쿠퍼보다 한발 앞선 로스는 이를 역 이용할 계략을 짠다. 이에 따라 로스의 부하 브라운은 공항에 나가 좀 모자라 보이는 리차드(톰 행크스 분)에게 다가가 그를 사건에 끌어들인다. 한편, 바이올리니스트로서 연주 여행을 다녀오던 리차드는 짖꿎은 친구의 장난으로 구두 한짝을 잃어버리곤 한쪽에 구두, 한쪽에 빨간 운동화를 신고 트랙을 내려오던 중이었던 것이다. 리차드가 미끼라는 사실을 까맣게 모르는 쿠퍼는 자신의 정보팀 요원들을 리차드에게 붙여놓고 끈질기에 괴롭히는데...

 Daum 영화

 

줄거리를 참조해도 영화의 정체를 알아내기가 쉽지 않은데, 리차드도 외짝신, 아니 짝짝신 사나이다. 그의 잃어버린 구두 한짝은 어디로 갔을까? 또 구두 대신 빨간 운동화의 또다른 짝은 어디로 갔을까? 젊은 '톰 행크스'도 만나볼겸 이 영화 봐야겠다.

 

 

 

 

[신데렐라, 1950]

 

 

 

신발 이야기에서 꼭 빼놓지 말아야 할 것은 '신데렐라'이야기와 '콩쥐팥쥐' 이야기다. 두 이야기는 시공간을 달리할뿐 '평행이론' 처럼 꼭 들어맞는다. 소개된 포스터는1987년 재개봉시 제작된 포스터인데 신데렐라가 잃어버린 유리구두 한짝이 반짝거리며 주인을 찾아가고 있다. 이 영화의 여러 버전의 포스터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아름다운 포스터라고 생각한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2006]

 

 

 

패션잡지사 '런웨이'에 입사한 신입사원이 촌티를 벗고 세련된 커리어 우먼으로 성공을 거둔다는 신데렐라 스토리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티저 포스터는 하이힐의 끝을 악마의 삼지창으로 표현했다. 사실 패션의 문외한인 나는 이 영화가 처음 소개되었을 때 '프라다'가 뭔지도 몰랐다. 그래서 친절한 인터넷 선생에게 물어보고 나서야 패션 브랜드 중에 하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대충 아래처럼 설명하고 있다.

프라다는 1913년 마리오 프라다에 의해 이탈이아 밀라노에 가죽제품 판매 상점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1978년 마리오 프라다의 외손녀인 디자이너 미우차 프라다가 이어받아 파산 직전의 매장을 오늘날의 명품 브랜드로 변화시켰다. 이후 최고경영자 파트리치오 베르텔리가 경영을 맡아 더욱 성장하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개발된 블랙 나일론 백팩은 값싼 소재인 나일론에 세련된 디자인을 가미해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모두 구현한 역작으로 평가받았다. 현대 직장여성의 기호에 딱 맞는 아이템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프라다의 명성을 한층 끌어올렸다. 이후 1993년 세컨드 브랜드인 미우미우를, 1997년 프라다스포츠 등을 론칭하면서 비약적인 사업확장을 하였다. 또한 구찌, 질샌더, 펜디 등을 인수 및 매각해 사세를 더욱 넓혔다. 전세계에 있는 프라다 매장 건물들은 아름다운 건축물로 가치가 높은데, 유명한 건축가 렘 쿨하우스, 헤르조그와 드 뫼론, 마이클 엘름그린, 잉가 드래그셋 등이 건축에 참여했다. 본사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다.

 Daum 백과사전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패션의 완성은 구두라고 보는 사람도 꽤 많은 것 같다. 신발이 그 주인의 정체성을 나타낸다면 일응 타당한 견해다.

 

 

 

외짝신 포스터에 이어 두짝 다 있는 신발 유형 포스터도 있다.

 

 

 

 

[후지어스, 1986]

 

 

 

영화제목 '후지어'는 '시골뜨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또 인디애나 주의 별칭이기도 한데, 영화 [후지어스]는 후자의 의미로써 인디애나 주립 고등학교의 농구팀을 지칭한다. 포스터는 시골의 목가적인 풍경을 배경으로 낡은 농구화를 클로즈 업으로 잡고 있다. 진 해크만, 바바라 허쉬, 데니스 호퍼 같은 명배우들이 공연한 이 영화는 스포츠 영화가 줄 수 있는 감동을 고스란히 제공하는 수작이다.

 

 

 

서울에서 근무할 때, 노상에서 구두를 닦은 적이 있다. 능숙하게 광을 내주던 아저씨가 뜬금없이 "00에서 근무하지 않으세요?" 하고 묻는 것이다. 깜짝 놀라 어떻게 아셨냐고 물어 보니까 아저씨는 30년 가까이 구두를 닦다 보니까 구두만 딱 봐도 직업이 무엇인지, 어떤 습관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웃으면서 말씀하시던 것이 떠오른다. 가만히 생각하니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다. 그렇게 우리가 신고 다니는 신은 어느때부터인가 나 자신이 되어 있는 것이다. 내가 신발신고 걸어온 길이 '이력서(履歷書)'에 기재할 내 과거가 되는 것이고, 내 온몸을 떠않고 다녔던 신발은 나의 취향부터 걸음걸이 습관이나 질병 여부까지 말해주며 나의 일부가 되어 온 것이다.

 

그러니...신발, 소중히 다루어야겠다. 그리고 신고 걷는 그 걸음걸음 허투루 해서는 안되겠다. 서산대사의 한시가 마음을 다잡게 하는 하루다.

 

踏 雪 野 中 去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때에는

不 須 胡 亂 行           그 발걸음을 어지러이 하지 말라.

今 日 我 行 跡           오늘 걷는 나의 발자국은 

遂 作 後 人 程           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서산대사 ‘野雪’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