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효의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를 보면 영화에 미친 주인공이 극장에서 나누어 주는 '프로그램'을 모은다. 나도 소설 속의 주인공만큼은 아니어도 어렸을 때부터 영화를 무척이나 좋아했고 극장에서 나누어 주는 그림엽서, 캘린더, 브로슈어, 브로마이드, 포스터 등 모을 수 있는 것은 죄다 모았었던 '시네마 키드'였다. 그것은 초등학교 2학년때부터 시작되었다. 첫번째 수집품은 실베스타 스탤론이 출연한  영화 [록키]의 한장면이 멋지게 표현된 낱장 캘린더. 그 후로 제대하고 대학 3학년 때까지 수집품은 라면박스로 3박스에 두루마리로는 10개가 넘었었다. 전체 숫자는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아마도 3천점 이상은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졸업이 가까와지자 그것들이 짐이 되기 시작했다. 졸업 후가 여전히 불안했지만, 문득 문득 영화라는 환상 속으로 들어가면(수집품을 감상하기 시작하면) 반나절은 쉽게 지나가고 마는 것이었다. 접어 버린 꿈에 대한 댓가는 막연한 시간의 손실로 이어졌고 스스로를 조급하게 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몽땅 처분했다. 친구에게 전부 넘겼다. 15년 동안이나 내 손을 탄 소중한 자료와 각각이 간직한 추억을 10분 만의 고민으로 작별했다.

 

그 후, 졸업하고 직장을 잡고 틈틈히 영화도 보면서 내 친구의 소유가 된 그 자료들이 어떻게 또는 얼마나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을까 가끔 생각했다. 그리고 다시 하나 둘 모으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온라인도 활용되었다. 그것도 벌써 10년이 넘어서 나름 희귀자료가 꽤 많다. 오늘부터 그간 온라인 상으로 수집한 다양한 영화 포스터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한다. 그렇다, '영화'이야기가 아니라 '영화 포스터'이야기다. 이 중에는 본 영화도 있겠지만 보지 못한 영화가 태반이므로 주제넘게 작품성이 어쩌니 저쩌니 건방떨지는 않겠다. 그저 취미로 영화포스터를 모으던 아마추어로서 가볍게 시작하느니 만큼 오류도 많고 글도 매끄럽지 않겠지만 일단 한번 시작해 보자.

 

첫번째 포스터 이야기는 '팩트 스타일(facts style)'이다.

 

우선 몇가지 포스터를 먼저 보자.

 

 

 

 

 

 

첫 번째는 유쾌한 코미디 영화 [완다라는 이름의 물고기, 1988], 두 번째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미지와의 조우, 1977] 포스터다. 뭔 이렇게 글자가 많나 하겠지만 이런 타입의 포스터 특징은 어떤 특정한 주제에 대한 꽤 심도있는 정보의 제공에 있다. 예컨대 [미지와의 조우]의 경우 UFO에 대한 여러가지 잡다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이다. 영화 자체에 대한 카피는 'We are not alone'이라는 알듯 말듯한 문구 하나뿐이다. 특수효과가 어떻고 제작비가 얼마나 들었다는 요란스런 홍보성 표현은 하나도 없다. 그러나 이만한 홍보가 또 있을까?

 

대부분 이런 포스터는 오리지널 포스터 타입이 따로 있다. 아래는 두 영화의 가장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포스터 타입이다. 위의 팩트 스타일과 비교해 보라.

 

 

 

 

 

 

포스터가 각각 있을 때에도 비교적 잘된 포스터이지만 함께 있게 되면 세트가 되어 이 영화에 대한 궁금증은 증폭된다. 포스터 전체의 절반 이상을 글자로 채우고 있음에도 절대 스포일러를 제공하지 않아 오히려 영화 내용에 대한 호기심이 일게 만들고 있다. 한 때 많은 영화 관객들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 넣었던 [죠스, 1975] 또한 이런 스타일의 포스터를 활용했고, 영화들은 하나같이 흥행에 성공했다.

 

 

 

 

 

 

 

 

 

 

 

 

 

 

 

 

 

 

 

 

 

 

 

 

 

 

영화는 종합예술이라는 말처럼 '포스터'자체도 또 하나의 예술이다. 그리고 그 표현방식은 생각보다 다양하다. 오늘 소개한 '팩트 스타일'은 그 중에 하나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