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전에 어떤 영화를 보고 있었다. 그 영화에서 J.D.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이 반복적으로 노출된 적이 있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해당 영화에 대한 모든 이미지가 사라진 후에도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에 대한 잔상은 지금까지도 남아있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아마 그 영화는 멜깁슨과 줄리아 로버츠가 출연한 1997년작 [컨스피러시] 인 듯 하다. 돌이켜 보건데 그 영화는 [호밀밭의 파수꾼]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모튼 하켓의 감미로운 목소리로도 기억되는 나름 괜찮은 영화였던 기억이 난다.

 

그때의 잔상으로 말미암아 다른 여러 매체에서 [호밀밭의 파수꾼]을 접할 때마다 일종의 강박관념에 시달렸다. 사실 이전에도 몇번이나 이 작품에 도전한 적이 있었던 것이다. 유시민은 '글쓰기 고민상담소'에서 '[호밀밭의 파수꾼]은 몇번이나 완독에 실패했다'면서 '남들은 재미있다고들 하는데 자신과는 아마도 궁합이 맞지 않는가 보다'고 한 적이 있다. 내가 도전에 실패한 이유를 생각해 봤다. 이번에 읽으면서도 느꼈지만 초반부터 주인공 홀든 콜필드의 삐딱한 시선, 정제되지 않은 표현 따위가 무척이나 거슬렸다. 모든 것이 불만인 화자는 하나같이 '지겹고' '끔찍하다'고 말한다. 열여섯 고교 퇴학생의 넋두리를 계속해서 듣고 있어야만 하나 사실 지겨웠다. 그렇지만 이번에는 콜필드의 시선을 끝까지 따라가기로 했다. 이참에 그 원인모를 강박관념에서도 벗어날 겸 말이다.

 

부러 이 작품에 대한 어떠한 사전지식을 배제한 나는 도대체 제목이 가지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읽는 내내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절반쯤 읽다 보니까 드디어 '호밀밭'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교회에서 돌아오는 것처럼 보이는 가족이 내 앞에서 걸어가고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 여섯 살쯤 되어 보이는 꼬마였다. --- 부부는 서로 이야기를 나누면서 걸어가고 있었는데, 아이에게 전혀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았다. 그 아이가 정말 재미있었다. 인도가 아니라 차도로 걸어가고 있었는데, 인도와 차도 사이에 놓인 연석 바로 옆을 겉고 있었다. 아이들이 흔히 그러는 것처럼 그 꼬마도 똑바로만 걸어가고 싶었던 모양이었다. 걸어가는 내내 콧노래를 흥얼거리고 있었다. 난 좀더 가까이 다가가 꼬마가 무슨 노래를 부르는지를 들어보았다. [호밀밭에 들어오는 사람을 잡는다면]이라는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아주 작은 목소리. 꼬마는 그저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차들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지나갔고, 브레이크를 밟는 소리도 여기저기서 시끄럽게 들리고 있었다. 꼬마의 부모는 아이에겐 전혀 관심을 보여주고 있지 않았다. 그 애는 그저 연석 옆에 붙어 차도를 걸어가며, [호밀밭에 들어오는 사람을 잡는다면]을 부르고 있었다. 그 모습을 보고 나니 기분이 좀 나아지는 것 같았다. 더 이상 우울하지 않았다.(민음사  156p)

 

아직 모르겠다. 우선 [호밀밭에 들어오는 사람을 잡는다면]이라는 노래가 어떤 내용인지 모르니까 이 단락이 무엇을 내포하는지 가늠하기 힘들었다. 한참 지나가니 콜필드가 동생 피비와 대화하는 중에 다시 한번 '호밀밭'이 등장한다. 이번에는 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다.

 

"내가 뭘 하고 싶은지 알고 싶어? 내가 뭐가 되고 싶은지 말해 줄까? 만약 내가 그놈의 선택이라는 걸 할 수 있다면 말이야"

"뭔데? 말 좀 곱게 하라니까"

"너 '호밀밭을 지나가는 사람을 붙잡는다면'이라는 노래 알지? 내가 되고 싶은 것...."

"그 노래는 '호밀밭을 걸어오는 누군가와 만난다면'이야" 피비가 말했다. "그건 시야. 로버트 번스가 쓴 거잖아"

"로버트 번스가 쓴 시라는 것쯤은 나도 알고 있어"

그렇지만 피비가 옳았다. [호밀밭을 걸어오는 누군가와 만난다면]이 맞다. 사실 난 그 시를 잘 모르고 있다.

"내가 '잡는다면'으로 잘못 알고 있었나 봐"나는 말을 이었다. "그건 그렇다치고, 나는 늘 넓은 호밀밭에서 꼬마들이 재미있게 놀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곤 했어. 어린애들만 수 천명이 있을 뿐 주위에 어른이라고는 나밖에 없는 거야. 그리고 난 아득한 절벽 옆에 서 있어. 내가 할 일은 아이들이 절벽으로 떨어질 것 같으면, 재빨리 붙잡아주는 거야. 애들이란 앞뒤 생각 없이 마구 달리는 법이니까 말이야. 그럴 때 어딘가에서 내가 나타나서는 꼬마가 떨어지지 않도록 붙잡아 주는 거지. 온종일 그 일만 하는 거야. 말하자면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고 싶다고나 할까. 바보 같은 얘기라는 건 알고 있어. 하지만 정말 내가 되고 싶은 건 그거야. 바보 같겠지만 말이야" 229~230p

 

이제 좀 윤곽이 잡힌다. 나는 간과하고 있었다. 주인공 홀든 콜필드는 이제 막 다니던 고등학교에서 성적부진으로 퇴학을 당한 16살 짜리 철부지라는 것을. 더군다나 이번 학교가 세번째 학교이니 퇴학도 세번째, 내가 16살의 콜필드였다 하더라도 세상이 바로 보일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전에 두번의 퇴학은 무엇때문인지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대충 상상할 수 있겠다. 누가 말거는 행위 자체도 때로는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는 나이, 언제든지 용수철처럼 튀어 오를 수 있는 시기, 혼란의 연속, 스스로도 무엇때문에 불만인지 고백할 수 없는 그 시간의 간격에서 주인공은 방황하고 있다. 주인공은 뉴욕의 거리를 방황하고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시간 속을 헤매고 있는 것이 아닐까?

 

'콜필드 신드롬'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을 정도로 이 작품에서 드러나는 콜필드의 대책없는 반항적 행동은 기성세대에게 항변한다. 누구나 겪게되는 불안할 수 밖에 없는 시한폭탄 같은 사춘기 시절, 이 시기에는 일종의 특권과도 같은 반항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그리고 답변을 요구한다. '나는 반항한다. 나는 방황한다. 나는 벼랑 끝에 서있다. 누가 나를 벼랑끝에서 붙잡아 줄 것인가?'라고. 기성세대든 아니면 국가가 만든 어떤 제도는 누군가는 또는 무엇인가는 청춘을 위한 파수꾼이 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P.S. 로버트 번스의  [호밀밭을 걸어오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원문을 싣는다. 어디에서는 스코틀랜드의 민요라고도 하는데 무엇이 맞는 것인지는 모르겠다.

 

Comin Thro' The Rye (Coming Through The Rye)

 

                                         Robert Burns

 

Coming Through The Rye.  호밀밭을 거닐어요

O Jenny is all wet, poor body, 이런, 제니는 다 젖었군요, 가엾기도하지.

Jenny is seldom dry;  그치만 잘 마르질 않네요

She draggled all ger petticoats, 제니는 페티코트를 질질끌며 터벅터벅 걸어가지요

Coming through the rye! 호밀밭을 거닐면서 말이죠^^

Coming through the rye, poor body, 가엾어라, 호밀밭을 걸어오네.

Coming through the rye, 호밀밭을 걸어오네

She draggled all ger petticoats,  페티코트를 질질끌며 터벅터벅 걸어오는구나

Coming through the rye!   호밀밭을 거닐면서 말이죠

Should a body meet a body   따뜻한 몸으로 안아주어야 할텐데

Coming through the rye,  호밀밭을 걸어오네요

Should a body kiss a body  키스해 주어야 할텐데

Need a body cry?  울고싶나요?

Should a body meet a body  따뜻한 몸으로 안아주어야 할텐데

Coming through the glen,  계곡을 걸어오네요

Should a body kiss a body  키스해 주어야 할텐데

Need the world know  사람들이 알까요?

Should a body meet a body  따뜻하게 안아주어야 하는데

Coming through the grain  밭을 거닐어 오고 있어요

Should a body kiss a body  키스해 줘요

The thing is a body's own  제니가 원하고 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