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명을 묻다 - 과학이 놓치고 있는 생명에 대한 15가지 질문
정우현 지음 / 이른비 / 2022년 7월
평점 :
과학이 놓치고 있는 생명에 대한 15가지 질문.
1.생명은 우연인가?
2.생명은 입자인가?
3.생명은 물질인가?
4.생명은 어디에서 왔는가?
5.생명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6.생명은 우열이 있는가?
7.생명에 법칙이 있는가?
8.생명을 결정하는 것은 본성인가?
9.생명은 이기적인가?
10.생명은 아름다운가?
11.생물학은 무엇을 탐구하는가?
12.생명은 만들 수 있는가?
13. 생명은 결국 죽는가?
14.생명은 무엇이 되려하는가?
15. 생명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생명에 대한 15가지 질문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과학적 지식을 전달함과 동시에 철학적인 질문을 통해, 과학이란 사실의 나열이 아닌 의미와 가치를 찾아가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가 말한 이 질문들은 과학자이자 생물학자인 자신이 생명과학을 하면서 스스로에게 가장 많이 한 질문들이라고 한다.
저자는 생명이 기계적이고 환원론적으로 설명되는 것을 거부한다.
다윈의 진화론, 그리고 dna의 나선구조가 발견되고,
도킨스의 이기적인 유전자가 출간된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생명이란 dna 를 전달하기 위한 개체에 불과하다고 믿고,
인간과 생명과 자연에 대해 목적론적이고 기계론적인 사고가 만연하는 것을 비판한다.
인간은 모든 생명체와 더불어 공존하며 살아가는 존재이고,
적자생존이라는 방식이 아닌 공진화를 통해 생명이 존재하고 이어져 나간다고 한다.
과학책이지만, 저자의 가치판단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다.
그래서 좀 거부감이 들기도 하지만, 저자가 던진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면서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각자 생각하다보면 단순한 생물학적 지식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