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 인생도처유상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만에 출간된 나의 문화 유산답사기 여섯번째 이야기는 내가 살고 있는 서울 그중에서도 조선왕조 500년의 법궁 경복궁 이야기로 시작된다. 문화 유산답사기 첫권을 읽을 때만해도, 나는 단순히 서양문화사(혹은 미술사)에 비해 잘 알지 못하는 우리 나라의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했던 마음이 컷다.

 

 그것은 내가 유홍준 선생의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가 어떤 책인지, 아니 문화유산이 현대인들

에게 주는 가치와 메세지가 무엇인지 잘 몰랐기 때문이었다.

여섯권의 이야기를 읽어가는 동안 내가 얻은 감동은 단순한 문화 유산에 대한 피상적인 지식이

아니었다.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그것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와 삶에 대한 이야기 이다.

그것을 가장 오롯히 느낀 것이 이번 여섯 번째 이야기  "인생도처유상수"이다.

 

경복궁과 광화문의 건립과 소실, 그리고 재건의 역사를 통해 문화 유산속에 담겨저있는 민족의식

-편협적인 문화 우월주의가 아니라, 이땅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의 삶에 대한 긍정성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문화 유산에 대한 사랑과 관심은  삶과 동떨어진 관념으로서의 자기 만족이 아니라, 삶을 살아가게 하는원동력이요, 든든한 기둥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특히나, 광화문광장을 복원하려 했던 유홍준 교수님의 고군 분투 과정을 알게 되었을때, 과연

교수님은 수년 뒤 이 광장에서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의 위대한 정신이 꽃 피우게 될 것을 알고 계셨던 것일까? 민주주의의 위대한  힘은 "광장문화"에서 나온다는 그 고견을 당시에 그 누가 알았으랴

 

 2부격인 선생님의 귀농생활 에피소드는 한편의 잔잔한 수필. 선생의 소박한 생활과 따뜻한 마음을 엿볼 수 있어 읽는 내내 따뜻한 미소가 절로 지어 졌다.

그리고 거창 양민 학살을 읽는 내내 가슴 한켠이 무거웠다. 결코 잊어서는 안되는 동족상잔의

비극적인 역사, 며칠전 남북정상회담이 생각나 다시금 새롭게 다가 왔다.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라는 보물같은 책을 늦게 나마 읽기시작한지 반년이 지났다.

 매달 한권씩 읽었는데, 어느덧 6권 - 출간기준으로 국내편의 반을 넘은듯--

책을 빨리 많이 읽는 편인데,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는 조금씩 아껴 먹는 맛있는 그 무엇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