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에 개봉한 김기영의 "살인나비를 쫓는 여자"는 그의 감독 편력에 있어서 가장 난해하고 독특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흔히 김기영의 영화는 '컬트', '오컬트', '괴작', '초현실주의' 등과 같은 수식들이 붙는 편인데 이 작품은 그러한 수식들을 전부 망라하고, 감당할 만한 특징들을 포괄하고 있다. 부언하면 "살인나비를 쫓는 여자"는 김기영 특유의 자의식과 파토스가, 가장 정제되지 않은 형태로 분출된 작품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에는 세 가지 에피소드들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첫 번째는 비현실적 호러극(삶의 의지를 역설하는 책장수 노인의 죽음과 그의 사후 귀환), 두 번째는 몽환적인 멜로(사후 이천 년이 지나서 부활한 여인과의 로맨스), 세 번째는 미스터리적인 잔혹극(암 선고를 받은 여인에게 반강제적으로 자신의 머리를 내주게 된 남자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에피소드들은 개별적 독립성이 강한 데다가 주인공의 환상과 착각이 여러 겹으로 중첩되어 있어서 그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영화의 결말에는 앞에서 나왔던 세 가지 에피소드들을 일종의 몽환으로 치부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주인공 신변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관람자에 따라서 여러 각도로 이해할 수 있으며 굳이 해석의 노력을 더하지 않더라도 몇몇 이미지를 보는 것만으로 모종의 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 예컨대 매장과 화장을 당했던 책장수 노인이 해골로 부활하여 ‘의지의 승리’를 외치며 주인공의 자살 기도를 방해하는 장면, 사후 이천 년 만에 부활한 신라 여성이 뻥튀기 기계 앞에서 주인공과 정사를 벌이는 장면, 고고학자의 자택에 남자들의 머리가 주기적으로 배달되어 오는 장면, 시한부 인생인 여성이 죽기 직전에 주인공의 머리와 키스를 나누는 장면, 머리만 남은 주인공이 고고학자가 찌른 칼을 앞니로 물고는 자기는 죽지 않는다고 외치는 장면, 고고학자와 딸이 사후 나비가 되어서 하늘로 떠오르는 장면 등등 이 영화에는 영문을 알기 어려운 희한한 이미지들이 범람한다. 시청자들은 이러한 이미지들을 보면서 (공포감을 느끼건 구토감을 느끼건 간에) 기존의 영화에서 만나기 어려웠던 신선한 충격을 받게 된다.
그래도 이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키워드를 잡아 보자면 바로 ‘찌질한 남성’이다. 주인공을 포함한 작중 남자들은 현실에서 그다지 쓰이지 않는, 문어체 대사를 주로 구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겉보기에만 근사한 어법에는 실천력이나 행동력이 수반되지 않거나, 만일 그러한 노력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종의 도로徒勞에 그치고 만다. 예컨대 책장수 노인은 삶의 의지를 번번이 역설하나 자신에게 닥친 매장과 화장의 위협에 조금도 저항하지 못한다. 그가 유일하게 할 줄 아는 일은 자신의 육체의 죽음이 경과한 뒤에도, 오로지 입만 살아서 ‘의지의 승리’와 같은 헛소리를 되풀이하는 것뿐이다. 그리고 고고학자는 남부럽지 않은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거만한 인물이나 결국에는 머리만 남은 주인공(!)과의 싸움에서 패배해 어이없는 죽음을 맞는다. 마지막으로 주인공은 어깨와 목청에 후카시를 넣고 죽음에의 강박과 매혹을 수시로 말하고 있지만 결정적인 순간(신라 여성의 간 요구, 암 투병 여인의 동반 죽음 등)이 닥치면 적극적으로 자신을 방어하기에 급급할 따름이다.
이러한 남성에의 조롱과 희화는 김기영의 이전 작품에서도 발견된다. 예컨대 “하녀”의 남주인공 동식은 젊고도 가난한 하녀下女의 육체에 탐닉하면서도 그녀가 가부장제의 질서와 안정을 깨는 것을 원하지는 않는다. 그렇기에 동식은 하녀가 자신의 아이를 유산했어도 심각한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하녀가 본부인의 머리채를 잡고 흔들고 생업 도구인 피아노를 거칠게 두들겨도 그녀와의 육체적 관계를 유지하고픈 마음에 미지근한 태도를 보인다. 즉, 동식은 젊은 육체에의 집착과 가부장제의 수호라는 갈림길 사이에서 분명한 선택을 내리지 못하고 죽음에 이르기 직전까지, 어리석고 우유부단한 모습만 보여줄 뿐이다. 이러한 동식의 성격은 “살인나비를 쫓는 여자”의 남자 인물들에게도 얼마간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김기영은 그 옛날 아버지(들)의 시대에 생래적으로 적대감과 반감을 가졌던 감독인 것으로 짐작된다. 그는 누군가가 한국에 군림하는 커다란 아버지들(박정희, 이병철 등)에게 맞서서 영웅적 투쟁을 벌인다고 해도 그 역시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라고 판단한 듯싶다. 남근을 지향하는 아버지는 청와대나 삼성의 내부가 아니라 이 작은 마을, 이 작은 가정에도 버젓이 온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김기영은 풍자나 희화와 같은 수법으로, 남자라는 존재들을 한번 웃기고 실없고 '찌질하게' 비틀어 보는 방식으로 자신의 작품을 만들어 나간 듯하다. 바로 이러한 노력과 열정에 그의 위대함과 대단함이 수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