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결나면 한꺼번에 몰아서 보려고
알림 신청하고 기다리던 작품.
그런데 중간에 애니가 먼저 공개되었고
1화를 보자마자 만화책보다 떨어지는 작화에
대실망하여 책으로 보기로 결심.

그래서 완결권이 올라왔을 때 이북으로 살까 하다가
종이책과 이북이 700원 차이밖에 나질 않아서 결국
종이책으로 사게 된 작품이다.

일단 대략적이고도 전체적인 감상을 말해보자면
근래 출판만화에서 보기 드문 비극의 요소와 정서를
갖췄달까.
내가 그런 것만 봐서인지 실제로 그런 경향인지는
모르겠지만 언제부턴가 대부분의 컨텐츠가(만화 외에도)
점점 서사보다는 개인을 위주로 흘러가는 듯 하여
전체적으로 컨텐츠가 납작(혹은 가로로 넓어지는)해지는
느낌이었더랬다.

물론 이 작품 또한 왕정사를 개인의 일대기로 바꾼
작품이긴 하다. 허나 속절없이 운명에 휘둘림에도 명예를 위해 싸움을 관철하는 누군가의 일대기는 확실히 근래 보기 드물었던 듯.
그래놓고 또다시 결론은 ‘나 자신을 사랑하라‘ 여서
좀 맥빠지긴 했지만...

세익스피어의 리처드 3세와 헨리 6세를 원작으로 삼아 만들어낸 거라는데 그 원작들이 어떻길래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가 싶어 원작이 좀 읽어보고 싶어졌다.
희곡은 지금껏 두어번 정도밖에 보질 않아
좀 망설여지긴 하지만.


p.s. 왕자의 게임에 동양식 신파를 끼얹으면
이 느낌이려나
예전부터 양덕(서양의 덕후들)은 못 이긴다 는
말을 종종 들었는데 이 작품은 다른 의미로
양덕은 못 이긴다 가 될 듯.
혹은 역사덕후는 못 이긴다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 3개월간 뭔가 뇌에 여유공간이 없어 책을 통 읽지 못 하다가 연휴를 맞아 겨우 한 권 읽어볼 수 있었다.

욘(이하 생략) 작가는 렛미인이란 책을 통해 알고는 있었지만 썩 관심이 가진 않다가 ‘나를 데려가‘ 라는 책을 읽고 매우 흥미로운 지점을 다룬다는 생각이 들어 다른 작품들도 구매하게 되었다.

렛미인을 먼저 읽었고
나를 데려가 를 읽고
오늘 언데드 다루는 법을 읽고 나니

사랑을 기본 정서로 두고
장르물을 쓰는 작가란 생각이 들었다.
보통의 장르물이 사건-결과 의 과정을 보여주는 데 반해 욘(이하 생략) 작가는 그것을 겪는 사람에 더 집중한달까.

아무래도 렛미인을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벤트로 받은 리디 포인트가 소멸된다길래
1,2권을 이북으로 사봤다가
설정과 이야기의 탄탄함 + 엄청난 자료 조사
섬세함의 끝을 달리는 작화 등에 반해서
바로 전권을 질러버린 작품.

아직 완결이 나지 않은 상태라
섣불리 감상을 말하긴 어렵지만
최근 발간된 14권까지의 감상은

...확실히 자료와 이야기와 작화가 탄탄하면
만화의 퀄리티가 달라지는구나.

자료를 어디서 어떻게 조사했는지
기간은 얼마나 걸렸는지 등이
궁금해졌다.

자세한 감상은 완결난 이후에 다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걸 보고 자승자박이라 하는 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컬트인가 했더니
2화쯤부터 사회파 미스터리로 변모.
그리고 마지막은 ‘악귀는 마음 속에 있는 것‘
+ 현재를 사랑하자 라는
다소 맥빠지는 결말로 마무리.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몰입감 있게 진행되긴 했지만
김은희 라는 네임 밸류를 생각하면
다소 미진한 구석이 있음.

사회파를 포기하고 오컬트에 좀 더 집중했으면
어땠을까 싶긴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