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시대 조선에서는 만보산 사건으로 화교들이 학살당했고, 중국에서는 민생단 사건으로 조선인들이 죽었다. 서로의 오해와 압박감을 견디지 못한 비극이었다.   

이런 일들이 지금이라고 일어나지 말라는 법은 없다. 강자에게 압박을 받으면 같은 약자끼리 싸우는 현실은 지금도 여전하다.

프락치가 무서운 것은 정보가 새는 것이 아니라 동료들을 믿지 못해서 의심하고, 분열끝에 죽이고, 결국에는 살아남은 자들도 상처받는 점이다.

김연수의 소설은 그동안 막연하게 알았던 민생단 사건을 피부로 와닿게 한다. 민생단 사건이라는 뼈대에 감정이라는 살을 넣었다. 이것이 소설이 힘이다. 아름다운 문장을 보려고 소설을 읽는 것이 아니라 문장이 보여주는 세계에서 상상하고 느끼기 위해서 소설을 읽고 생각한다.

소설 후반부에서 이들의 대화는 이들이 무엇을 위해서 싸우고, 죽어갔는지를 깨닫게 해준다. 소설에서는 이념과 민족, 사랑이 등장하고 이야기는 기쁨과 울분, 아쉬움을 전해준다.     

 

“하지만 나는 톨스토이를 버렸소. 설득과 타협으로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살아가는 이상 세계를 만들겠다는 중학 시절의 드높았던 포부를 버렸소. 가족과 애인과 개인적 미래를 다 버렸소. 그 대가로 나는 진실에 눈뜨게 됐소. 진실이란 전혀 아름답지 않지. 그런 추한 것을 견딜 수 있는 용기를 지닌 사람만이 진실을 보게된다오. 그리하여 이 세계가 너무나 잔혹한 곳이라는 것을, 그 잔혹함마저도 기실은 진실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을, 진실을 알기 위해서는 나 역시 잔혹해져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됐고 받아들이게 됐소.”

 

“어떤 경우에도 인간은 성장한다는 것이오. 그게 힘이라오. 물론 나 역시 사람을 죽인 뒤에 톨스토이의 책을 버렸소. 결국 잔혹함마저도 진리의 한 부분이라고 인정하게 된 것이오. 톨스토이가 10월 혁명을 목격했더라면 어떤 책을 썼을 것 같으오? 그는 세계 속에서 투쟁하는 인간들의 모습에 대한 대서사시를 썼을 것이오. 인도주의는 죽는 그 순간까지 지키고 싶은 아름다운 가치지만, 그래서 목숨이 다하는 그날까지 변화하는 인간의 힘을 믿겠지만, 잔혹함마저도 진리의 한 부분이라는 것만은 톨스토이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오. 나는 오늘 죽을 수도 있었고 살 수도 있었지만, 그런 건 중요하지 않소. 내가 민생단 간첩으로 오해받아 죽든, 일본군과 싸우다가 죽든 그런 건 중요하지 않소. 중요한 것은 인도주의가 진리라면 인도주의 역시 개개인에게는 잔혹함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이오. 거기에 대해서는 아무런 원한도, 분노도 없소. 나는 오직 진리를 위해서만 분노할 뿐이오. 인간은 진리 속에 있을 때만이 인간일 뿐이오. 그리고 진리 속에 있을 때, 인간은 끝없이 변화할 뿐이오. 인간이 변화하는 한, 세계는 바뀌게 되오. 죽는다는 건 더 이상 변화하지 못하는 고정의 존재가 된다는 것. 다만 이 역사 단계에서 더 이상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을 하지 못한다는 것. 죽음은 그 정도로만 아쉬울 뿐이오. 인간이 변화하는 한, 세계는 바뀌게 되오. 죽는다는 건 더 이상 변화하지 못하는 고정의 존재가 된다는 것. 다만 이 역사 단계에서 더 이상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을 하지 못한다는 것. 죽음은 그 정도로만 아쉬울 뿐이오. 내가 죽음으로써 세계가 조금 변화한다면 그 이상 아쉬움은 없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