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월, 도쿄의 거리에서 - 1923년 간토대지진 대량학살의 잔향 카이로스총서 37
가토 나오키 지음, 서울리다리티 옮김 / 갈무리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 다닐 때 일본어 담당 교수님이 어제 백화점에 갔는데 일본어 안내방송을 잘하긴 했는데 그 발음은 틀렸다 라고 하신적이 있다. 한국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본어 발음이 있다. 만약에 내가 일본 여행중에 일본어 발음을 시키면 난 어떨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명색이 일본어를 전공했지만 나 역시 발음에 취약하다.

 

다중지성의 정원에서 저자 강연회를 다녀왔는데  블로그에 올린 글을 책으로 냈는데 1년만에 1만부가 팔렸다고 한다. 그만큼 일본에서는 험한파들의 대두와 우익화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3년 간토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학살 현장을 지도와 현재 사진을 첨부해서 현장감을 살렸다. 이 책 역시 일본 논픽션책들의 장점인 자료를 뒤지고 발로 뛰면서 현장을 취재하는 점이 돋보인다.   

증언한 조선인이라는 집단으로 취급하지 않고 이름으로 불러줬다. 조선인 이전에 이름을 가진 인격체이고 개개인의 사연을 알면 그들의 학살에 분노하고 만약 학살 현장에 마주치더라도 쉽게 죽이진 못할 것이다.

중국인들 300명이 학살당했다와 27세의 중국인 왕희천이 학살당한것은 받아들이는 느낌이 다르다.    

당시 조선인은 물론 중국인들도 학살당했고 운좋게 살아나간 조선인들도 있었지만 사투리 때문에 발음을 정확히 못하는 일본인들도 학살당하는 일도 있었다.

일본 전역에서 조선인 학살이 벌어졌지만 작은 지역은 마을 사람들이 조선인들을 보호해주었다.  도시에 살던 조선인들이 학살당했던 반면에 그들은 조선인 이전에 이름으로 불렸고 지역 주민들과 사회 관계망을 형성했기에 살아남았다.  일본인 중에서도 군중 앞에서 학살에 반대한 분들도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는 점이 수확이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미국 뉴올린언스를 덮쳐서 지역이 물에 잠기는 일이 발생했다.  저자는  백인들이 조직한 자경단이 남겨진 흑인들에게 총격을 가한 점을 소개하면서 등골이 오싹했다고 표현했다.

재해로 인한 인종주의, 유언비어, 행정관료의 책임 떠넘기기, 자경단의 결성, 치안 공백을 소수자 탓으로 돌리면서 희생양 만들기 과정은 지금도 여전하다.       

저자가 찾은 문헌들은 다 일본 자료들이다. 간토 대학살에 분노하지만 한국의 연구 현황은 어떠한가? 우리는 분노만 할뿐 조사는 하지 않는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일본의 만행에 분노하지만 지금 한국을 생각했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아서 다문화를 외치지만 반감도 상당하다. 우리도 1931년 중국에서 일어난 만보산 사건으로 조선에서 중국인들을 죽이고 상점을 약탈한 전례가 있다.  당시 촉발한 신문사의 오보였지만 저임금의 중국인 노동자들 때문에 일자리를 잃은 조선인들의 분노가 숨어 있었다. 간토 대학살하고 유사하지 않은가?

 

일베라는 온라인 테두리안에서 혐오발언을 즐기는 부류들도 있다.  개인으로는 선량하겠지만 집단속에서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우리는 나와 다르고, 약하면 집단 안에서 배제한다. 차별하기 위해서 차이를 찾아내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할까?  인격과 사연을 가진 인간으로 만나고 연대하는 것이 앞으로 닥칠 제2의 갖토 대학살을 방지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