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김동춘 지음 / 창비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어가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놀잇감으로 전락한 사회, 국가가 일방적으로 설정한 갸념과 정의가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면서 일부 생각있는 사람들이 품은 다른 개념이나 접근법을 완전히 눌러버리는 사회, 의견이나 담론이 시민사회 차원에서 제기되지 않고 오직 정부나 거대 미디어에서 주어지는 사회, 사람들이 진정으로 궁굼해하는 쟁점들이 논의되지 않는 사회, 온갖 유언비어는 난무하는데 무엇이 진실인지는 한번도 진지하게 토론하지 않는 사회, 반대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분위기 때문에 의견 내놓기를 꺼리는 사회가 바로 전쟁중의 미국이다. – 247쪽

오늘의 한국을 알기 위해서는 그 원조인 미국을 이해해야 하고, 미국을 알아야 오늘의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미국을 말하고 있지만 미국을 통해서 오늘날의 우리 모습을 볼 수 있다. 미국과 한국은 유사한 점이 많다. 언론의 선정주의적 보도와 침묵, 돈을 숭배하는 풍조, 이해관계를 따지는 사회, 복지 보다는 시장에 중점을 두고 군사비 지출이 많다는 점, 풍요롭지만 행복하지 않은 사회 라는 점등이 그렇다.
미국을 이해하는 키워드는 전쟁과 시장이다. 미국은 국제경찰을 자임하면서 냉전시대에는 소련과 맞섰고 냉전해체이후에는 보이지 않는 테러세력과 싸우고 있다. 이라크에서의 전쟁도 석유 보다는 군수산업을 위한 것이고, 이라크가 유로화로 결제하면서 달러화가 가치하락 될것을 우려해서이다. 
미국은 군-산-정의 복합체로서 군수산업체의 전쟁을 부추기고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과거에는 공산주의를 막고, 이제는 테러를 종식시키다는 명목으로 전쟁에 참여한다. 이라크 처럼 직접 참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칠레 아엔데 정권를 전복시키거나, 인도네시아 수하르트 정권의 등장 등 배후에서 조종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국민들이 얻는 풍요로움은 제3세계 국민들의 피와 땀의 결과인데 미국인들은 남의 아픔에는 침묵하고 있다.
미국인들의 좁은 세계관은 22%만이 해외여행을 경험했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평생 미국에서 자기 주 밖으로는 나간적이 없는 미국인도 많고 편협적인 언론이 전달해주는 정보에만 의지하면서 살고 있다.
언론이 미국민을 우민화 시키고 지식인들도 미국의 잘못된 선택에는 침묵한다. 미국 정책에 불만을 표시하면 즉각 제재가 따르는 나라를 자유의 국가라고 할 수 있을까?
지역이라는 단위로 제3세계라는 말이 사라지고 이제는 그 나라안에서 제1세계, 제3세계가 존재한다. 미국내에서도 빈부격차는 커지고 있고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미군들도 사회 하류층들이 다수였고 명문대를 졸업한 중산층 출신은 드물다.


대중소비사회, 전체주의사회, 파시즘사회의 특징은 대중들이 정서적 안정, 혹은 물질적 보상을 얻는 대신 인간으로서 자주적인 판단과 비판능력을 포기하여 선동정치의 꼭두각시가 되거나 거대한 관료제의 그물망 속에 들어가 무기력하게 조직의 명령에 복종 한다는 점이다. 파시즘하에서 대중들은 약육강식과 상품화의 논리에 흡수되고, 권위에 복종하는 경향이 있으며, 선정주의적인 언론은 대중의 정치적 무관심을 조장한다. 그런 사회에서 대중들은 권력자들이 가장 쉽게 조종할 수 있는 노예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성향을 갖게 된다. – 3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