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 안 치우기 ㅣ 지원이와 병관이 6
고대영 글, 김영진 그림 / 길벗어린이 / 2010년 7월
평점 :
고대영 글과 김영진 그림의 지원이 병관이 시리즈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그림책이다.
마치 자기들 이야기를 보는 것 같은 동질감을 느끼기 때문이리라.^^
'집 안 치우기'라는 제목도 책 속에 숨겨놓은 그림처럼 재미있다.
집을 안 치우는 것과 집 밖이 아닌 안을 치운다 것, 두 가지 의미로 읽힌다.
놀기 좋아하는 아이들이지만 치우기는 싫어한다. 물론 어른들도 좋아서 집을 치우는 건 아니다.
그래서 이 책을 보는 어린이 뿐 아니라 어른도 부끄러운 마음이 들 수도 있겠다.
사실은 나도 컴퓨터 앞이나 거실 책상 위에 늘어놓은 게 많아, 우리집은 완전 카오스다. ㅠㅠ
자~ 병관이와 지원이는 어떻게 하는지 들여다보자.
병관이 시리즈의 재미는 숨어 있는 그림을 찾는 것도 한 몫한다.
집 안 치우기에 숨어 있는 건 어떤 것일까?
눈썰미 있는 독자라면 첫 장면에서도 금세 발견할 수 있다.
엄마가 외출한 해방공간에서 제 마음대로 놀고 먹고 신나는 병관이~
누나랑 알까기를 하려고 바둑판을 가져오다 와르르~~~~~ 쏟아져 버렸다.
하지만 치우는 건 나중이고, 일단 놀기부터~~~~ 평소엔 티격태격하던 남매는 의기투합이 되었다.ㅋㅋ
여기서 한 발 더 나간 병관이~~~~ 엄마없는 해방공간의 자유를 만끽한다.
놀고 싶은 거 다 꺼내서 놀고, 먹고 싶은 것도 난리를 쳐가며 먹는다.
하지만, 외출에서 돌아온 엄마는 난장판이 된 집구석을 보고 청소를 하자는데~~~~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07/pimg_714960143710179.jpg)
병관이는 어떻게 했을까?
다음 장을 넘기기 전에 상상력을 발휘해보자, 나라면 어떻게 했을지...
병관이라면 어떻게 했을지... 녀석의 성격에 맞는 행동은 어떠했을지 즐거운 상상이 떠올려보자.
역시 독자를 실망시키지 않는 개구쟁이 병관이다.ㅋㅋ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07/pimg_714960143710188.jpg)
자, 병관이의 행동은 독자들의 상상과 맞아 떨어졌을까?^^
장난감을 치우라는 엄마 말을 안 듣더니, 집을 나가라는 엄마 말에 블록을 들고 집을 나가버렸다.
제가 뛰어야 벼룩이지! 어디로 가겠어?ㅋㅋ
블록을 다 만들고 날도 저물고 배도 고픈 병관이는 또 어떻게 했을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07/pimg_71496014371019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07/pimg_71496014371019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07/pimg_714960143710195.jpg)
병관이는 참 넉살도 좋고 성격도 좋은 거 같다.
말 안들은 병관이를 위해서도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을 차려놓은 엄마의 사랑을 병관이는 알까? "
따뜻한 밥을 먹고 엄마가 알려주신 대로 장난감을 정리한다.
안 갖고 노는 것은 정리상자에 담으려는데 뭘 치워야 할지 생각처럼 쉽지 않아 넣었다 뺐다 결정하기가 어렵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07/pimg_714960143710201.jpg)
그림책 속에 숨어 있는 펭귄, 토기, 양, 고래를 닮은 물고기는를 다 찾았을까요?
앞뒤 표지를 들추면 손톱 스케치(썸네일 스케치)라는 작업변화과정을 정리해 놓은 게 들어 있어
그림을 그리는 화가가 글작가의 글을 받아 어떻게 그림책을 완성하는지 알게 돼 보너스를 받을 기분이다.
김영진 화가는 이 책을 완성하는데 2009년 10월에서 2010년 5월까지 8개월이 걸렸다.
우리는 휘리릭 넘겨보는 그림책을 만드는데 얼마나 많은 공력이 드는지 새삼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