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점 ㅣ 피터 레이놀즈 시리즈 3
피터 레이놀즈 지음, 김지효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10월
평점 :
아~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터져 나온 건, 바로 신음같은 감탄이었어요. 어린이 그림책에 이런 걸 담을 수 있는 작가에게 경배하고 싶은 심정이었죠. 내게 각인된 이름 '피터 레이놀즈'의 '점'을 아직 못 보셨다면 빨리 만나보기를 권합니다. 특히 선생님과 부모들이 꼭 봐야할 책이랍니다.
선생님이라면 바로 여기에 나오는 선생님 같아야 되는데 이런 선생님을 만나는 행운은 쉽지 않지요. 하지만 주인공 베티는 정말 좋은 선생님을 만났어요. 바람직한 교사의 본보기를 보여주는 미술선생님은 베티를 멋진 화가로 이끌어 줍니다. 아무 것도 그릴 줄 몰랐던 베티가 어떻게 화가가 될 수 있었을까요?
미술시간이 끝나도록 아무 것도 그리지 못한 베티를 보고도 선생님은 화내거나 독촉하지 않고 기다려 주지요. "어떤 것이라도 좋으니 한번 시작해 보렴. 그냥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해 봐." 우리 교육현장에서 이런 이야기는 좀체로 듣기 힘든 말씀이지요. 네 맘대로 하라니요? 아마도 시키는 대로 안했다고 꾸중하거나 벌세우지 않으면 다행이겠죠.ㅜㅜ베티는 그림을 그리는 게 처음이라서 두렵고 떨렸을까요? 우리 아이들의 교실풍경이라면 미술학원을 다니지 않아서 못 그려요. 라는 대답이 나왔을지도 모르지요. 처음이란 두려움과 자신감이 없어 망설이고 있는 베티에게 내린 선생님의 처방은 단번에 효과가 있었지요. 베티는 힘껏 점 하나를 내리 찍었으니까요.^^


다음 날, 선생님은 멋진 액자에 베티의 그림을 담아 '점'이란 제목까지 붙여 책상 위에 걸어두었어요. '아~~~ 저것 보다 더 잘 그릴 수 있었는데...' 생각하는 베티는 이미 자신감을 회복했네요. 

베티는 한번도 써본적 없는 수채물감을 꺼내 아주 신이 나서 점을 그려요. 노란 점 초록 점 빨간 점 파란 점, 파란색과 빨간색을 섞어서 보라색도 만들고, 큰 점 작은 점을 그리다가 색칠하지 않고도 점을 그려냈어요. ^^ 그 후 베티의 학교에서 그림 전시회가 열렸어요. 베티의 점들은 인기가 굉장했어요.


베티는 이제 꼬마 화가가 되었어요. 베티처럼 아무 것도 그릴 줄 모르는 소년은 베티가 부럽답니다.
"누난 정말 굉장해."
"너도 할 수 있어."
"내가? 아니야, 난 정말 못 그려."
"한번 그려 봐."
베티는 이젠 선생님의 경지에 올라 두려워하던 소년을 그림의 세계로 인도합니다. 자기가 그랬던 것처럼 똑같이 ^^ 선생님이 된 베티를 지켜보는 일도 즐겁습니다. 자기 선생님이 하셨던 것처럼 똑같이 해보라며 격려할 줄 하는 베티는 이젠 훌륭한 교육철학자가 되었네요.^^
부모나 선생님들은 여기 나온 미술선생님처럼 인내하고 지켜보는 게 중요하지요. 교육이란 자신감을 불어넣고 기다려 주는 것, 아이 스스로 즐겁게 하도록 기회를 주는 것, 그것이 진정한 교육자의 몫이고 교육철학의 실천이라 생각됩니다. 어린이가 자유로운 생각을 펼치도록 기회를 주는 것, 곧 창의성을 기르는 지름길이겠죠. 이 책을 볼때마다 모름지기 교육은 이런 거라고 새삼 내 마음도 다잡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