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라미 세상이야 스콜라 창작 그림책 57
하야시 기린 지음, 쇼노 나오코 그림, 황진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야시 기린 글, 소노 나오코 그림의 세 번째 우화 그림책이 발간되었다. 두 작가의 경이로운 협업은 항상 옳다.

"그 소문 들었어?", "이 세상 최고의 딸기"에 이은 신작 "동그라미 세상이야"를 소개한다.

책 속 등장하는 인물은 모두 직립보행하는 동물들이다.
동물들의 천연덕스럽고 풍부한 표정은 이야기의 감정선을 더욱 몰입하게 해준다. 이들을 통해 이야기의 주제는 더욱 명징하게 드러나고, 독자는 자신을 객관화하여 성찰할 기회를 갖는다.

이 책의 첫 장은 "누가 먼저인지 모르지만, 아무튼 모두 동그라미를 좋아해."라고 시작한다.
유행의 속성은 '아무튼'이나, '무조건' 같은 부사가 참 잘 어울린다. 유행의 시작은 정확하지 않지만, 어느 순간 대세를 장악하며 대다수 무비판적으로 강력하게 휩쓸려 좇게 된다.
동그라미 유행이 퍼지자, 어느덧 온 세상은 동그라미로 변신한다.

책을 읽다 보면, 그림 속 동그라미를 찾는 즐거움이 소소하게 있다.
숨바꼭질처럼 책 속 곳곳 동그라미를 찾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유행처럼 번지게 되는 과정을 간접 경험하게 된다.

동그라미 세상에 살고 있는, 나는 유독 유행에 약하다. 매번 흔들리는 나의 기호는 유행에 너울대는 파도 같다. 왜 이렇게 다른 사람이, 특히 다수가 하는 것을 좋아하고 따르는 것일까?

곰곰히 생각해보면 급격한 변화의 시대, 다른 사람을 모방하는 것은 생존을 위한 본능일지 모르겠다.
유행은, 뒤처지지 않아야 한다는 부담감 속에 다수에 편승하고 싶은 불안한 우리의 내면을 투영한다. 편가르기에서 다수는, 절대적 우위에 서 있다. 다수의 편에 서면, 사회적 소속감과 동질감을 별다른 대가없이 쉽게 공유할 수 있다. 반면 다르다고 튀는 순간, 언제고 타인의 공격에 노출될지도 모른다.

같은 맥락에서 이 책에서는 그 어느 누구도 다른 질문을 하지 않는다.
왜 동그리미가 좋아? 세모는? 네모는 어때? 라는 흔한 질문이 없다.
오로지 동그라미에 대한 찬양의 한 목소리만 나열한다.

만약 작고 귀여운 '동그라미'를 나와 다른 소수와 다수로 대치한다면? 개인의 기호에서 시작한 유행을 '다름'에 대한 사회적 갈등으로 쟁점화될 수 있다. '다름'은 차별과 혐오로 변질되어 다수의 폭력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인지해야 한다. 예로 최근 인터넷상의 여론을 보면, 익명의 다수라는 이유로 비난과 혐오를 담아 마녀사냥으로 폭주하는 경향이 있다. 다수의 날선 공격은 정의 구현의 칼날처럼 쓰이며, 여론은 이에 쉽게 동조하고 무비판적으로 재생산한다.
과연 공동체내 다수의 의견은 옳은가?

다수의 힘과 의견이 지배적인 사회는 결코 건강하지 않다. 소수의 '아니오'도 인정하고, 수용하는 사회적 시스템이 돌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항상 질문을 해야 하고, 스스로 행복한지 끊임없이 근원적인 질문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나다움을 지키는 것, 그 다음에야 타인을 수용하고 세상을 조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을 찾은 건물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62
아오야마 쿠니히코 지음, 이기웅 옮김 / 길벗어린이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을 찾은 건물>

 

"모두가 함께라서 더욱 특별한 "

 

햇살과 바람이 좋은 날이에요.

간만에 집 앞 놀이터에 나가 이 책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여러 사람들이 모여 만든 어떤 행복한 건물에 관한 이야기에요.

어린시절  놀이터 모래밭에 옹기종이 모여 앉아 집을 만들어 놀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자기만의 이야기가 가득 담긴 공간을 만들다 보면,

어느 순간 친구들과 함께 만드는 근사한 마을이 되어있지요.

 

 

" 어떤 집을 만들고 싶나요?"

 

저 역시 행복한 집을 만들고 싶어요.

 

 

 

처음 이 책 제목을 보았을 때

 

행복을 찾은 건물?

 

제목을 <행복한 건물>로 했다면

훨씬 외우기 쉽고, 간단할텐데.....

 의아심이 들었습니다.

읽다보니, 제목을 왜 이렇게 지은 지 자연스레 깨닫습니다.

행복한 결과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인내, 존중, 기다림, 배려, 수용 등등

모두의 노력과 애정이 필요하지요.​

 

 

 

어느 공터에 낡은 건물이 버려진 체 홀로 있었어요.

 

건물은 날마다 슬펐습니다.

 

누군가가 자신에게 들어와주길 바랐지요.

 

그때 한 건축가가 다가와 건물의 간절한 오랜 소망을 들어줍니다.

 

 건축가는 건물에 커다란 안내문을 붙였어요.

 

 

스스로 집을 짓는 사람은 이 건물에 살 수 있습니다.

 

이제 건물에 여러 사람들이 들어옵니다.

 

 철공소 사람들

꽃집 사람들

양복집 재봉사들

과자가게 사람들

시계점 사람들

곡예사 사람들

목수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가장 잘하고 좋아하는 능력을 살려

 공간을 멋지게 꾸밉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점점 자신들의 주장을 내세우며 말다툼을 하게 되요.

 

자신이 좋아하는 것만 고집하거나,

타인의 주장을 그르다고 비난할때 

갈등이 시작됩니다.

 

 

단단하고 강력한 철제를 만든 철물점,

모두에게 맛있는 먹거리를 내어주는 과자점,

아름답고 따스한 의상을 재단하는 양복점,

자연의 식물을 길러내어주는 꽃집,

일상생활가구를 만든 목수,

하루의 소중한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점,

즐거움과 예술적 감흥을 보여주는 공연 곡예사들

모두가 다르지만, 공동체에 꼭 필요한 존재랍니다.​

여러 다양성이 존재하는 공동체는

차이와 다름을 인정할 때

창의력이 샘솟고 즐겁고 행복한 공간으로 변모합니다.

물론 행복에 도달하는 그 과정은

결코 쉽지는 않지만,

 모두가 함께 상생하는 길을 찾아가지요.

낡고 오래된 건물은,

이제 여러 사람의 힘으로 모두의 집이 됩니다.

과연 모두의 집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다 같이 만들어서 즐거운 건물이 된 거란다

”​

 

 

​건축가 아저씨의 마지막 말이 여운이 되어 울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