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능소화 - 4백 년 전에 부친 편지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6년 9월
평점 :
운명인가 숙명인가?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난 것이고 떠나야 할 때 떠난 것인데, 구구절절이 가슴아픈 이야기만 여운으로 남아있다.
어릴적 사랑이 풋사랑이고 어른이 되어서 하는 것이 참사랑인가?
400여년이 흘러 우리에게 그 사랑을 보여 준 것은 그들의 사랑이 이제 결실을 맺은 것이라해도 되는가?
조선시대의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현대에 다시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다가왔다.
가슴시리도록 사랑을 한 그들은 그래도 참사랑을 한 부부였노라고 보고 싶다.
부모보다 앞서 갔기에 불효자이지만 그래도 자신의 운명을 비키고자 노력한 것이 헛수고였을지언정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인 부모, 먼저간 남편(응태)을 그리며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던 부인(여늬)
하늘의 뜻이지만 자신의 사랑을 위해 이기고자 하여 능소화라 이름붙인 꽃
꽃이 피어 가장 아름다울 때 꽃망울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꽃.
장미처럼 꽃잎이 하나 둘 시들어가는 것이 아닌 아름다움이 절정에 다다랐을 때 그 모습을 간직한 채 생명을 다 하는 꽃.
주인공들의 사랑이 능소화처럼 화려하고 농익었을 때 운명이 다하여 스러진 것을 보여주는 이야기의 전개가 작가의 의도와 딱 맞아떨어진다.
한 무덤에서 미라가 발견되고 고이 접힌 편지속에 애절한 사부곡이 들어있고 400여년이 흘러 빛을 보게 된 운명적인 사랑이야기
전설과 현실과 작가의 상상력이 어우러져 가슴아픈 사랑이 시작되고 결국은 아프게 스러져간다.
아직도 능소화는 돌담길을 따라서 피고 또 지고 있다.
응태와 여늬의 사랑이 오래도록 살아 숨쉴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