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어느 곳에 효성이 지극한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어머니가 목이 붓고 곪아 터지는 연주창이라는 병에 걸렸습니다. 온갖 약을 다 써보았지만 연주창은 고치기 어려운 병이라 조금도 효과가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에 약장수가 왔습니다. 약장수는 이 마을은 산과 들에 좋은 약초가 많다며 한 번 오면 몇 달씩 머물러 있으면서 약초를 캐기도 하고 팔기도 했습니다. 젊은이는 약장수를 찾아가서 어머니의 병세를 말하고 간절히 부탁을 했습니다. 약장수는 대수롭지도 않은 병을 가지고 무슨 호들갑이냐는 듯이 말했습니다. 약장수는 곧바로 산으로 가더니 자주색 꽃이 핀 들풀을 꺾어 왔습니다. 젊은이는 약장수가 시키는 대로 했습니다. 약을 먹은 어머니는 며칠이 지나자 매우 기분이 좋아져서 아들에게 말했습니다.
“얘야, 그 약이 정말 좋구나. 목이 부드러워지고 상처도 많이 아문 것 같다.
어머니 목을 살펴보니, 곪아서 흐르던 진물도 걷히고 목 속에 있던 멍울도 많이 가라앉았습니다. 며칠이 지나자 진물이 흐르던 자리에 앉았던 딱지가 떨어지면서 뽀오얀 새살이 돋아나고 있었습니다. 어머니의 병이 완전히 나은 것입니다. 어머니는 약장수가 너무도 고마웠습니다. 그래서 거리의 주막에 묵고 있는 약장수를 집으로 데리고 왔습니다. 약장수는 낮이면 산에 가서 약초를 캐다가 팔고 저녁에는 젊은이의 집으로 왔습니다. 젊은이는 약초에 대한 공부를 하고 싶어서 약장수를 따라 다니며 약초를 캤습니다. 약장수는 새로운 약초를 발견하면 캐기 전에 그 생김새를 자세히 보게 했습니다.
“이 풀을 자세히 보아라. 꿀풀이라고 하는 것인데 연한 잎은 나물로 먹지만 꽃은 오줌이 나오지 않을 때 쓰고, 줄기는 잘 낫지 않는 종기에 쓴다. 너의 어머니의 연주창을 고친 약초가 이것이다. 산과 들 어디에나 있는 흔한 풀이지.
약장수는 이렇게 약초의 쓰임과 캐는 방법 등을 하나하나 설명했습니다. 정말 산과 들에 자라는 풀은 어느 것 하나 약이 되지 않는 것이 없었습니다.
일 년이 지났습니다. 젊은이도 이제는 약초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알 것 같았습니다.
“내가 자네 집에 신세를 진 것도 벌써 일 년이 지났군. 이제는 고향으로 가봐야 되겠네.
“가시겠다고요? 어머니가 섭섭해 하실 거예요. 좀 더 계십시오.
“아니야, 그동안 머물러 있은 것도 자네에게 약초를 가르쳐 주기 위해서였어. 이젠 자네 혼자서도 약초를 캐서 팔 수 있을 것 같아서 떠나려는 거야.
“이제 저도 약초를 캐서 팔 수 있다고요?
“그래, 약초를 팔아서 어머니를 잘 모시도록 하게나.
어머니와 젊은이는 약장수를 떠나보내기가 서운했지만 그에게도 집에서 기다리는 가족이 있으니 붙잡아 둘 수도 없었습니다.
약장수가 떠난 지 석 달이 지나 가을이 되었습니다. 목이 붓고 곪아 터지는 연주창과 비슷한 만성 종창인 나력이라는 병에 걸렸습니다. 용하다는 의원은 다 불러서 치료하고 좋다는 약은 다 써 보았지만 전혀 효과가 없었습니다. 원님은 누구든지 자기 어머니의 병을 낫게 해주면 후한 상을 내리겠다고 했습니다.
“원님 어머니의 병은 우리 어머니가 앓았던 병과 똑같은 거야. 꿀풀의 꽃을 달여 먹으면 거뜬히 나을 수 있어.” 
 젊은이는 원님에게 가서 병을 고칠 약초를 구해 오겠다고 말하고는 산으로 갔습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그렇게 많던 꿀풀이 하나도 없었습니다. 헛걸음을 치고 힘없이 집으로 돌아오니 원님의 포졸들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젊은이, 약초는 구했겠지?
“못 구했습니다. 전에는 있었는데 지금 가보니 그 약초가 없었습니다.
“거짓말 마라. 너는 상이 탐나서 원님을 속인 거야. 어서 가자.
젊은이는 포졸들에게 끌려가 원님을 속인 죄로 곤장 오십 대를 맞고 초죽음이 되어 돌아왔습니다. 약장수가 원망스러웠습니다.
다음 해 여름이 되자 약장수가 다시 찾아 왔습니다. 젊은이는 약장수를 보자 화를 버럭 내며 약초 때문에 곤장을 맞은 일을 말했습니다.
“그럼 가보세. 꿀풀이 없다니 그게 무슨 소리야.
약장수를 따라 가보니 들판에는 길다란 솔방울 모양의 보라색 꽃송이가 가득히 깔려 있었습니다. 그것이 모두 꿀풀이었습니다.
“ 이 꿀풀은 여름이 지나면 죽어버린다고 하지 않았던가? 필요할 때 쓰려면 제 때에 미리 구해 두어야 하는 거야,
젊은이는 그제서야 약장수의 말이 생각나서 약장수를 원망했던 것을 사과했습니다.
젊은이는 이 꿀풀은 여름(:여름하)이 지나면 말라 없어지는 (:마를고) (:풀초)이라 하여 하고초(夏故草)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그 때부터 꿀풀을 한약으로는 하고초라고 부르게 되었답니다. -출처 네이버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0-05-19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전설까지 있는 하고초^^

후애(厚愛) 2010-05-20 06:58   좋아요 0 | URL
전설이 있는 꽃들이 좀 많은 것 같아요.^^

하늘바람 2010-05-19 0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나 신기하네요. 음 지나가다 만나면 아는 척해야겠어요

후애(厚愛) 2010-05-20 06:59   좋아요 0 | URL
저도 보고 신기했습니다.
잘 지내시죠?^^

마녀고양이 2010-05-19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 하고초. 이름 번듯하네요. 그래도 꿀풀이 더 이뻐.
전설까지 곁들여지니 더욱 정감이 가네요~ 감사, 후애님. 쪽!

후애(厚愛) 2010-05-20 06:59   좋아요 0 | URL
재미나게 읽어주시니 제가 더 감사하지요.^^

L.SHIN 2010-05-19 1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아- 재밌다! ^ㅡ^
나, 여기서 교훈 하나 얻었어요.
"필요할 때 쓰려면 제 때에 미리 구해 두어야 하는 거야"

전래동화 읽는 거 같았어요(웃음) 이런 거 또 올려주세요,후애님.헤헤헷.

후애(厚愛) 2010-05-20 07:00   좋아요 0 | URL
"필요할 때 쓰려면 제 때에 미리 구해 두어야 하는 거야" 저도 이 글이 마음에 와 닿았어요.^^

네 앞으로 찾아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