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투자은행 2
구로키 료 지음, 최고은 옮김 / 펄프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3.8

 

668페이지, 21줄, 24자.

 

2권에서는 류지의 비중이 조금 많아졌습니다만 가쓰라기가 그래도 가장 많네요. 에필로그 쪽으로 가면 가쓰라기가 마무리 하니 주인공인 모양입니다.

 

이야기야 몇 사람을 중심으로 흘러가지만 결국은 이른바 증권맨의 이야기입니다. 시대적 상황이 폭발적인 성장을 하는 그리고 곧바로 전락이 있던 시기였으니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 수 있었을 것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과다한 세금징수가 공개적으로 있습니다. 비공개적으로는 상품에 붙어 있는 세금들이지요. 이건 각자가 사용한 만큼 내는 것이니 소득이 적은 사람에겐 상대적으로 비중이 커지고 그래서 사회경제주의자들에겐 간접세 비중을 낮춰야 한다는 식으로 떠드는 주요 소재가 됩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생필품은 이 세금이 면제된 상태입니다. 나머지는 소비가 모든 이에게 일어나는 게 아니라 선택한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제품이니 간접비가 사회악은 아니지요.

 

저도 근 30년 전에는 거의 면세점 수준의 소득세를 납부했었습니다. 평균 근로시간은 대략 주당 70시간 정도였고. 4년간 그랬죠. 연소득은 대략 천만 원이 조금 안되던 때인데(마지막 해까지 미달 상태), 연말정산을 하면 전체 기납부 소득세가 30만원이 안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물론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게 아니라 기억에 왜곡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연전에 당시의 명세서철을 어디서 본 듯도 한데, 다시 사무실을 옮기느라 파묻혔습니다.

 

작년(그러니까 올해 한 연말정산)엔 소득이 3년 전보다 앞에서 두번째 자리에서 1이 늘었더군요. 그래서 새삼스레 놀랐습니다. 늘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거든요. 그런데 세금도 같은 액수가 늘어서 실질소득은 변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작년부턴 기부금을 절반으로 줄였습니다. 원래 소득의 25% 수준을 꾸준히 유지해 왔었는데 애들도 크고 노후생활도 슬슬 염려되니 어쩔 수 없습니다. 게다가 기대했었던 이자소득이 현 시점에선 거의 기대할 가치가 없는 비율로 낮아졌으니 말이지요. 이젠 일부를 이자로 충당하겠다는 젊었을 때의 계획을 버리고, 원금에서 꾸준히 소모해야 하는 체제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원금 자체를 불려놓아야 조금이나마 안심할 수 있겠습니다. 하긴 누군가가 말하기를 개인이 저축해둔 것으로 노후를 보내지 말고, 연금으로 하라고 하는 말이 옳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경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을 때가 꽤 어렸을 때인데, 그 땐 연금이란 소수만이 누릴 수 있는 제도였거든요. 그래서 머리에 내가 내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게 단단히 박혀 있습니다.

 

다시 기부금으로 둘아가서, 종교단체가 아닌 복지단체에 내는 기부금은 전액 세액공제를 해줘도 본인에겐 이득이 전혀 없는 것인데 말입니다. (아, 딱 하나 있지요. 기부금을 냈다는 기록 하나뿐.) 소득세도 내고 기부도 하고 하면 (공제를 받아도) 기부액만큼의 지출이 생깁니다. 아직은 기부 문화가 정착하기 어려운 사회입니다.

 

150505-150505/1505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