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서로 읽는 조선 규장각 교양총서 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 정호훈 기획 / 글항아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3

 

350페이지, 24줄, 26자.

 

총 12개 장으로 된 책소개입니다. 각 장마다 저자가 다르기 때문에 형식이 제각각입니다. 어떤 이는 특정 서책을 자세히 설명하고 다른 것은 제목만 나열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대략적인 내용을 언급하기도 합니다. 꽤 많은 양(어쩌면 글자가 차지한 면적보다 더 넓을 듯)의 사진(그림, 사진)이 첨부되어 있는데, 때로는 왜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심지어 앞뒤 어디에도 언급되지 않은 자료도 있는 것 같습니다. 추측형으로 쓴 것은, 제가 혹시 실수를 할 가능성을 대비해서입니다.

 

[조선관료에게 필요한 모든 지식을 담다-고사촬요] [선비가 꽃을 키우는 법-양화소록] [실학의 시대에 꽃피운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 [조선 후기 의서들, 실용지학의 정점에 이르다] [소송의 나라 조선, 그 해결 방법] [편지만이 오직 뜻을 통하게 한다] [불임을 치료하고 아들 낳는 비법을 기록하다] [한자의 그늘을 걷어준 실용서들] [과학과 미신의 이중주] [정초 신년 운수에 거는 희망과 기대] [귀로 스치는 소리를 책으로 간직하다] [조선의 맛을 탐색하다]

 

읽고 나면 소제목이 뜻하는 바를 알겠는데, 읽기 전에 짐작하지 못하는 것들도 상당수 있습니다. 뭐 원래 다 그런 것이니까 탓하는 것은 아닙니다.

 

213페이지 사진의 설명에 있는 '조고리'는 '저고리'의 잘못인가요?

 

인용한 것은(번역한 것 포함) 독특한 서체를 사용하였는데 가독성이 심히 떨어집니다. 고어체로 된 것도 있는데다가 가독성이 떨어지는 서체여서 더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다른 책을 낼 때나 2판을 낼 때에는 읽기 편한 서체로 했으면 합니다. 특이하게 보이는 것만이 최종 목적은 아닐 겁니다. 어쨌든 (편하게) 읽을 수 있어야 하니 다음에는 꼭 고려했으면 합니다. 그래서 두툼해 보이는 비싼 종이지만 편집 점수를 하나 깍았습니다.

 

140604-140604/1406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