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지옥의 전쟁, 그리고 반성의 기록, 개정증보판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2
유성룡 지음, 김흥식 옮김 / 서해문집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3

 

227페이지, 24줄, 23자.

 

[징비록 상], [징비록 하] 그리고 [녹후잡기]가 수록된 책입니다. 아마도 1권의 출간물로써 너무 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추가된 것이겠지요. 2단 편집을 하여 안쪽엔 본문이, 바깥쪽엔 주석이 달려 있습니다. 일부 용어나 인물 등은 아래에 배치되었습니다만 많지는 않습니다. 주석이나 해설이 중복되기도 합니다.

 

일단 기록입니다. 혼자의 기록이기 때문에 편향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보통 역사적인 기록이라면, 다른 동시대 인물의 기록을 함께 참고해야 균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래도 유성룡의 시각에서 쓴 것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불리한 용어/내용은 자제한 느낌입니다.

 

한반도의 지리적인 특성 때문에 외부의 적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바다 건너(중국과 일본) 그리고 만주쪽(만주족과 중국). 자연히 어느쪽이든 안정적인 경우 외침이 별로 없습니다. 우리가 배운 대부분의 외침은 이 주변정세가 불안정한 시대에 있었습니다. 뭐 당연하고 상식적인 이야기지만요.

 

그런 곳의 사람은 상비군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냥 시늉만 하면 되는 것이니까요. 그걸 후세 사람들이 이러쿵저러쿵 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당시엔 방치하고 있는 게 옳았거든요. 일본이 그렇게 통일될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그리고 통일된 기념으로(농담입니다) 그 힘을 외부로 돌릴 줄이야.

 

평온하게 살던 사람들이 잘 준비된 적을 만나 지리멸렬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니 이겨낸 것만으로도 칭찬할 만합니다.

 

아무튼 유성룡의 관점에서 바라본 임진왜란 당시의 실상이 나옵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면도 꽤 나옵니다. 심지어는 주석들간에도 충돌이 있을 정도니까요. ㅎㅎㅎ

 

일단은 읽었다는 데 의의가 있겠습니다.

 

옆에 즐비한 주석들이 있는데, 어차피 조금 지나면 잊혀질 것들입니다. 따라서, 말미에 인덱스를 달아서 그 주석이 몇 페이지에 있는지를 알린다면 좀더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했을 것입니다. 종이로 만든 책은 두고두고 보려는 게 1차적인 목적 아니겠습니까? 출판은 목적에 맞게 해야지요.

 

단순히 징비록만 놓고 보자면, 이순신은 유성룡파인 것처럼 보입니다. 6품인 관리를 3품으로 발탁하는 것은 잘 알고 있지 않으면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것도 전시가 아니라 평시였으니 말이지요. 여타 관리들에 대한 평가가 그 때 그 때 달라지는 것을 보면 아마도 단편적인 정보에 의존해서 판단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2009년 5월에 샀었는데 무려 3년 10개월 만에 보게 되었습니다.

 

140328-140402/1404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