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베르크 프로젝트 프로젝트 3부작
다비드 카라 지음, 허지은 옮김 / 느낌이있는책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3.6

 

336페이지, 23줄, 25자.

 

제레미 노바체크(코빈), 재키 월스, 에이탄 모르그(모르겐스테른), 버나드 딘, 빅터 블레이베르크.

 

이야기는 주식중개인 제레미 코빈이 25년 전 자신과 어머니를 버린(!) 아버지 대니얼 코빈 공군중장의 사망 소식을 듣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래서 요양원에서 사는 어머니에게 가서 소식을 알려주는데 어머니는 펜던트 하나를 주면서 내막을 알고 싶을 때 다시 오라고 합니다. 펜던트 안에는 나치 문양을 한 열쇠가 들어 있습니다. 대니얼은 뭔가를 추적하느라 가족을 안전한 곳에 두기 위하여 별거를 택한 것입니다. 그 추적의 시작에는 빅터 블레이베르크가 시작한 방사선을 이용한 유전자 조작이 있습니다.

 

번역가는 문법/맞춤법에 통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아니라 다른 여러 사람이 그 글을 읽기 때문이지요. 작가는 좀 틀려도 되지만(유명해지면 편집자가 붙기 때문에) 번역가는 스스로 계속 노력을 해야 합니다. 책을 펼치고 얼마 안 있어 나온 단어 "언제나처럼"이 눈에 거슬립니다. "언제나"는 부사입니다. "처럼"은 조사이니 둘이 결합될 수는 없지요. 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야 하거든요. 인터넷에서 자주 쓰는 틀린 단어 "언제나처럼"을 대신 할 것으로는 "여느 때처럼"이나 "평소처럼", "평소같이" 등등을 쓰면 됩니다.

 

뒤이어 나오는 용례 "-마냥". 마냥도 부사입니다. 조사처럼 쓰면 안됩니다. 이것은 "-인 양"과 비슷하기에 흔히 잘못 쓰는 것일 것입니다. 조사를 쓰려면 "-처럼"이 적절하고, "양"을 꼭 넣고 싶으면 "-인 양"으로 쓰면 됩니다.

 

왜 이렇게 길게 썼냐 하면, 잘못된 것을 보면 작품에 대한 감상이 방해를 받기 때문입니다. 번역가와 편집자에 대한 분노가 작품으로 번지면, 손해 보는 건 독자입니다. 사실 "언제나처럼"은 대략 4-5번 정도만 나왔습니다. 그래도 짜증 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또 하나 짜증 나는 것은 전부 읽으면 -그리고 기억을 한다면- 상관없겠지만 쓸데없이 - 아니 독자 혼동용을 빼고- 잘라 놓은 이야기들 때문입니다. 기술적으로 잘 잘라서 끼우면 괜찮은데 그냥 잘라 놓았거든요. 실마리를 하나씩 던지는 것 같지만, 어지간한 사람이면 이미 다 꿰뚫어 볼 흐름입니다. 그러니 혹시 의도했을지 모르는 순차적 실마리 던지기는 간데없고 호흡을 흩어지게 하는 것만 남았습니다. 뭐 그래도 시간 보내기엔 적절하니 평가를 너무 박하게 할 수는 없겠네요.

 

140118-140118/140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