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바다는 왜? - 대한민국 IT는 왜 세계적인 스타를 만들지 못하는가
김태훈.양정환 지음 / 현실문화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3

 

267페이지, 22줄, 27자.

 

아내가 빌려오라고 해서 빌려왔는데, 정작 아내는 왜 빌려오라고 했는지를 그 새 잊어버렸습니다. 어쨌거나 빌려왔으니 읽어야지요.

 

제목처럼 '소리바다' 라는 것의 탄생, 그에 대한 저항, 그리고 타협과 변화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 중 하나는 소리바다의 주역이고 하나는 정부측 인사를 잠시 지낸 바 있습니다. 반대측 이야기는 몇 가지 성명서로만 제시되기 때문에 약간 편향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가 옳으나냐 아니라 어느 한쪽으로 쏠린다는 뜻입니다.

 

결국 소리바다에 대해서는 변호 내지 옹호하는 입장의 글이 더 많고, 그에 따라 대항되는 기업의 움직임이나 관료적인 면들은 부정적으로 그려집니다. 어쩌면 저자들의 주장이 옳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세상에서는 옳고 그런 것은 개별적인 사안을 파악할 때 중요하긴 하지만 그와 무관하게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합니다. 사회가 합의하여 수용한 게 최상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어쩌다 보니 망하게 되었다거나 흥하게 되었다는 게 역사에선 비일비재하였습니다. 그리고 앞에 서면 튀는 것이 되므로 지지를 받든 공격을 받든 화제의 중심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판사들도 사람이기 때문에 법률적인 것만 따지는 게 아니라 (사회의 압력, 자신의 이념 등에 의하여) 눈치를 보게 됩니다. 그리고 그에 따라 판결이 굽어지기도 하는 것이지요. 기계적인 구분이 가능했다면 기계가 재판을 하는 게 나았을 것입니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라 인간이 재판을 하도록 한 체제에서 살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이고요. 아직은 기계적인 재단이 더 불안한가 봅니다.

 

111210-111210/111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